View : 75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임영방-
dc.contributor.author權赫姬-
dc.creator權赫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4Z-
dc.date.issued1988-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75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6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753-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some reliable and detailed interpretations as well as justly revaluate positions and meanings of the portraits by Vincent van Gogh (1881-189O) in the history of portrait by pursuing analyses of the forms and contents of them. Tn portrait, which tells the personality with physical or mental traits by help of expressional tools like drawings, paintings or sculptures with out regard to whether a subject is the living or not, though one of the basic requirements is to make close discriptions of outer-figurative aspect, namely, likeness, also there is an another discriptive problem which has its own gravity: how internalized properties of a subject should be expressed? As well see, some meaningful answers are given by Vincent van Goho. These two kinds of forementioned properties of portrait had been appeared as contents of various form and features according to pictorial ideologies of each ages and characters of painters until the early nineteenth century, when the one, that is 'likeness' began to lose its ground as the result of the appearance of 'photography'. And still more with the rapid increasement of photo-portrait demand from middle class of citizens since the Industrial Revolution, the portrait having the purpose of mere keeping-on-record could not survive unswervingly maintaing its traditional meaningfulness. Under such a change of the times, Gogh made his firm mind. With his titanic spirit he decided to draw impressive portraits not coping objects just like the case of photographing but by making full use of colors, reflecting modern tastes and knowledges. Consequently, focusing not on the likeness of outer image between the subject and portrait but on the expression of internalized mental properties, he drew such works, from which we can extract the three keynotes: humanity which is closely related to actual life, mental images, and simplified forms of works. And, there were differences in discriptive forms of their developmental processes according to the times of his life. For his early time in Netherlands, most works are depending on the 'line,' and tend to choose models only within the limit of the common people. During the time in Paris he shows his own ripened inner world and full-established techniques mainly producing self-portraits various techniques are claimed. And he further in Arles introduces pure color-planes to the backgrounds of portraits to reflect mental images of characters, and endows colors as such with feelings to emphasize mentality. Again in Saint-Re′my and in Auvers, his own inner images which is relying upon the viewpoint of him-self are subjectively emerged and represented bringing to the fore vividly the meaning of his self- affirmation through the work of portrait. To sum up, these contents and forms of Gogh's portraits have become to create, iconographically, a new type approaching-method in the field of portrait, and also played a role as a form ground for Expressionism which gave to mentality a higher position in it. Vincent van Gogh, a subjective emotion expressionlist, was an praisable artist contributed to modern art of twentieth century very significantly.;본 논문은 뷘센트 봔 고흐(Vincent van Gogh)의 초상화에 관한 연구로, 고흐 초상화의 형식과 내용을 분석하여 초상의 역사에서 고흐 초상화의 의미와 위치는 어떠한 것인가를 밝혀 보고자 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초상화는 故人이든 生存者이든 개별화된 한 인간의 육체와 정신적인 특징을 사실적으로 또는 상상으로 드로잉이나 회화나 조각으로 표현하는 것으로, "유사성(likeness)"이라는 외형적 충실성을 기본 요건으로 하면서 정신적인 특징을 어떻게 표출하느냐 하는 기술적인 문제가 대두되고 있다. 외적 유사성에 관한 문제와 정신성의 표출문제는 각 시대의 회화이념과 화가의 기질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나타나고 있는데, 19세기 초반에 사진기의 출현으로 초상화의 유사성에 대한 기록적인 속성은 그 위치가 흔들리기 시작했다. 게다가 산업혁명 이후 중산층의 사진초상의 수요가 급증하게 되자 단순한 기록적인 초상화는 카메라의 기계적인 정밀성을 도저히 따라 잡을 수 가 없었다. 이러한 시대적 상황하에서 고흐는 자신의 사랑과 존경을 표현하려는 의도로 사진처럼 똑같이 그리는 방법에 의해서가 아니라 현대적 취미와 지식이 반영된 색채에 의해 감동적인 초상화를 그리고자 하였다. 따라서 고흐는 모델의 외적 유사성 보다는 내적 세계인 정신성에 촛점을 맞추어 초상화를 그리게 되었는데 삶과 밀착된 휴머니티, 심상의 표출, 형식의 단순화란 세가지 요인으로 고흐 초상화의 특징을 요약해볼 수 있다. 고흐 초상화의 발전과정은 시기별로 형식상의 차이점을 드러내고 있다. 네델란드 초기에는 주로 선에 의지한 작품으로 모델선택 취향이 평민층으로 국한되어 있고, 파리시기에는 다양한 테크닉이 원용된 자화상으로 자신의 내적 성숙과 테크닉의 완성도를 반영하고 있다. 아를르 시기에는 초상화의 배경에 순수한 색면을 도입하여 인물의 心象을 반영했고 색채 자체에 느낌을 부여하여 정신성을 강조하고 있다. 생레미와 오베르 시기에는 대상의 객관적인 묘사보다는 내적 시각에 의지한 고흐 자신의 이미지가 주관적으로 표출되어 초상화를 통한 자기확인의 의미가 강하게 부각되고 있다. 이와같은 초상화의 형식과 내용은 도상학상의 새로운 초상의 유형을 제시하게 되었고 정신성을 우의로 하는 표현주의의 터전이 되었다. 고흐의 주관적 감정의 표출방법은 20세기 현대미술에서 주요한 근간이 되고 있다는 점으로 평가받을만 하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동기 = 1 B. 연구방법 = 4 Ⅱ. 고흐 초상화의 성격 = 10 A. 고흐 초상화의 분석 = 11 1. 초상화의 개념에 비추어 본 고흐 초상화의 의미 = 11 2. 고흐 초상화의 분류내용 = 27 B. 고흐 초상화의 특징 = 33 1. 삶과 밀착된 휴머니티 = 34 2. 심상의 표출 = 39 3. 형식의 단순화 = 44 Ⅲ. 고흐 초상화의 형식과 내용 = 49 A. 네델란드 시기 (1881. 4~1886. 2) = 50 B. 파리 시기 (1886. 3-1888. 2) = 59 C. 아를르 시기 (1888. 2~1889. 5) = 67 D. 생레미와 오베르 시기 (1889. 5-1890. 7) = 77 Ⅳ. 고흐 초상화의 미술사적인 위치 = 86 A. 도상학상 새로운 초상 유형 = 87 B. 르네상스 이후의 초상술과 비교 = 89 Ⅴ. 결론 = 102 부록 : 고흐 초상화의 분류 내용 참고문헌 = 121 그림 = 128 ABSTRACT = 1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22181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Vincent van Gogh-
dc.subject초상화-
dc.subject고흐-
dc.subject.ddc700-
dc.titleVincent van Gogh의 초상화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1881-1890-
dc.title.translated(A) STUDY UPON THE PORTRAITS BY GOGH-
dc.format.page16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사학과-
dc.date.awarded1988.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