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언효-
dc.contributor.author곽동순-
dc.creator곽동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6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14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60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148-
dc.description.abstract인구증가는 자원부족, 환경오염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여러문제를 야기시키므로 국민의 인구인식을 높이기 위한 교육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나라는 1979년부터 중학교의 사회, 체육, 과학, 가정과에 교육 내용이 분산 삽입되어 인구교육을 실시해오고 있다. 본 논문은 중학교 교육과정에서 인구교육이 바람직한 방향으로 효과있게 이루어지도록 교육과정 개편시에 필요한 정보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연구내용으로 현행 중학교 교과서의 인구교육 내용이 반영된 양을 교과별 영역별로 조사하고 관련교과에서 취급선정된 내용을 살펴보고, 관련교과간의 연계성 조사를 위해 학년별 계속성과 교과간의 통합성, 지도 시기의 연계성을 고찰하였다. 연구방법은 현행 중학교의 인구교육 관련 4개 교과서에 반영된 학년별 교과서 9권을 대상으로 한국교육개발원에서 제시한 인구인식, 인구분석, 환경, 보건, 생식, 가족생활의 6개 구성영역과 영역을 세분한 28개항의 기본개념을 준거로 하여 인구교육내용을 분석 검토하였다. 이상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1 . 교과목별 인구교육 내용을 구성영역별로 빈도를 산출한 결과 과목별로는 사회현상 탐구의 사회과학적 접근이 쉬운 사회과에서 집중적으로 산출되었고 영역별로는 인구인식이다. 2 . 교과와 인구교육 취급 영역과의 관계는 교과에 투입될 지식의 획득을 위한 내용과 인구교육 내용이 일치되기는 하나 과학과의 생식 내용은 인구교육 목표를 위한 내용이기 보다 과학과의 지식내용으로서 필수적인 내용 선정이었다. 3 . 인구교육 관련교과의 연계성을 살펴본 결과 인구교육 내용을 포괄하여 학년별로 볼 때 5개 영역은 학년별 계속성이 있으나 생식영역은 2학년에서 단절되어 있다. 학년별 관련교과의 공통영역을 비교한 결과 1학년에서 사회, 가정체육이 인구인식, 인구분석영역을 공통 취급하고는 있으나 개념별 요소는 공통성이 없어 전체적으로 볼 때 통합성이 미흡한 편이다. 2학년은 영역별 공통 취급과목이 2개 교과 이하로 통합성이 거의 없다. 3학년은 인구인식, 인구분석의 2개 영역이 사회, 과학, 체육에서 공통 취급하고 있으며 환경, 생식, 가족생활영역은 2개 교과가 취급하고 있으나 전체적으로 볼 때 통합이 고려되어 있지 않다. 4 . 인구교육 관련교과의 지도시기가 3, 4월에 걸쳐 지도하게 공통성이 있어 비슷한 시기에 강조될 수 있도록 조직되어 있다.;The role of education is being emphasized to rouse public opinion about the population problem. This is because the increase in population is in relationship so close with the lack of resources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at may cause many social problem. The education about the population, which can be found in the text books of social science, athletics, natural science, and household science in middle school, has been practiced in Korea since in middle school, has been practiced in Korea since 1979. This study was performed to provided informations about the education of population problem in middle school so that the informations can guide a helpful direction when planning a new curriculum. The contents of the current 9 text books from the above 4 subjects in middle school are investigated in relation to the population problem based on the 6 major categories, i.e. concept of population, analysis of population, environment, public health, reproduction, and living of family and 28 basic concepts suggested by KEDI. The contents about the population problem in the text books are examined by the frequency in use for each 6 major categories. And the relationship among the 4 courses are investigated as well as quantitative and content analysis are perform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t is found that the course of social science deals with the problem more frequently than the other courses. And the concept of population among the 5 major categories are most often mentioned. The distribution and movement of population are emphasized as the basic concept of the problem, which implies that the objective of the education concerned with the population problem in the middle school agrees to help solve the population problem as well as make understand the seriousness of the problem. 2. Although the contents about the knowledge in the course agrees with that about the population problem education, the reproduction category in the subject of natural science in concentrated to the specific knowledge inself rather than to the population problem. 3. The 5 categories of the population problem are repeated for each grades, but the reproduction category is not treated in the 2nd grade. In the 1st grade, although the concept and the analysis of population are treated simultanuously in the subject of social science, athletics, and household science, the overall integration does not exist because there is no common components which comprise the major categories. In the 2nd grade, 3 sibkects, social science, athletics, and household science, treat the population problem. But there is no subject mention about the reproduction which is important in population problem. In the 3rd grade, the concept and the analysis of population are appeared in the subject of social science, natural science, and athletics simulatanuously. And the 3 categories of the environment, reproduction, and living of family occur sporadically in two subjects, which results in the lack of integrit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 1 B. 연구문제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인구교육의 개념 및 내용구조 = 3 B. 인구교육을 위한 교육과정 조직 = 8 C. 중학교 인구교육 과정의 목표 = 11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5 A. 분석대상 = 15 B. 분석방법 = 16 Ⅳ. 연구결과 = 18 A. 중학교 인구교육 내용의 양적 분석 = 18 B. 중학교 인구교육 내용분석 = 24 C. 중학교 인구교육 관련교과의 연계성 = 32 Ⅴ. 요약 및 결론 = 39 A. 요약 = 39 B. 결론 = 39 참고문헌 = 42 부록 = 44 ABSTRACT = 4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851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교과서-
dc.subject인구교육-
dc.subject내용분석-
dc.title현행 중학교 교과서에 반영된 인구교육의 내용분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n) Analysis of the Population Education program reflected in text books of middle school-
dc.format.page5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과정분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