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혜경-
dc.contributor.author황미영-
dc.creator황미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9Z-
dc.date.issued1989-
dc.identifier.otherOAK-00000001637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59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6373-
dc.description.abstract본 논문은 우리 사회 도시빈민 문제에 대한 접근방법으로서의 지역사회조직에 관하여 경험적인 사례를 통해, 이들 경험에 기초된 제안들이 지역사회조직방법에 주는 시사점을 탐색하고자 한 사례분석 연구이다. 이에 본 연구는 1980년대 후반, 서울시의 전형적인 도시빈민 밀집지역인 성북구 하월곡동에서 형성되어 지역사회조직 활동을 하고 있는 '우리마을발전추진회'를 사례로 선정하였다. 그리고 연구목적과 관련한 사례분석의 준거점은 York 대학 연구팀이 지역사회조직 분석을 위해 마련한 틀을 참고로 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는 사례연구를 통해, 조직 그 자체의 관점에서 도시빈민이 주체가 되는 지역사회조직의 형성이 가능했던 요인으로 조직형성의 이니셔티브, 조직형성의 단계, 구성원의 참여요인과 토착지도자의 구성, 그리고 지역사회조직의 목적과 이의 달성을 위한 전략 및 지역사회사업가의 역할을 분석하였다. 이같은 범주들에 의해 우리마을발전추진회의 활동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도시빈민이 주체가 되는 지역사회조직의 형성이 가능했던 요인으로서는 첫째, 조직형성의 이니셔티브에 있어 사회 민주화의 흐름과 함께 도시빈민의 생존권 요구가 분출되면서 빈곤문제에 대한 지역사회 주민들의 주체적 해결 노력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고 볼 수 있다. 여기에 지역사회에서 주민복지활동을 통해 이미 주민들의 신뢰를 얻어 왔던 교회라는 후원조직과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고무하는 지역사회사업가들의 역할이 중요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조직 형성의 단계에서는, 우리마을발전추진회가 위치하고 있는 일상적 도시빈민 지역사회의 경우 일시적인 사건에 따른 촉발에 의해서가 아니라 지속적인 모임과 공감대의 확산을 위한 조직화의 과정이 일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세째, 구성원의 참여 요인으로는 스스로와 이웃의 생활의 측면에 대한 관심, 같은 문제를 갖고 있는 사람들이 협력함으로써 최상으로 이루어 낼 수 있다는 신념 등이 작용했다고 할 수 있다. 한편 토착지도자들은 지역사회 주민들로부터 신망이 두텁고 20년 가까이 이 지역사회에 거주한 유지들과, 청소년시절 때부터 지역사회사업가와 함께 빈곤의 사회적 원인과 그 해결을 위한 주체적 노력의 필요성 등에 대해 토론해 온 경험을 갖고 있는 청년층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우리마을발전추진회의 목적은 과업목적이라기보다는 과정목적으로서 지역사회 주민들을 위한 복지 기능 활동 등의 과업보다는, 지역사회의 역량 강화를 위해 민주적인 절차와 방법으로 주민들의 의견을 모아 나가는 과정을 중시한다. 그리고, 이러한 목적 달성에 필요한 자원과 그것을 획득하기 위한 전략 가운데 응집, 연대 강화를 위한 전략은 도시빈민의 일상 생활에 실리실익을 가져오는 활동과 주민의 정서에 맞는 놀이 문화 프로그램의 개발을 통한 것이다. 또한 지식, 신념의 공유를 위한 전략은 지역사회의 삶의 현장에서 해결을 요구하는 구체적인 문제 등을 매개로 하여 지배계급이 선전하는 가치를 그대로 본받지 않도록 건강한 빈민의식을 불어넣는 것이다. 끝으로 역량기반의 확산을 위한 전략은 도시빈민의 가장 민감한 문제인 주거환경개선 문제를 쟁점화하면서 지역 사회 주민들의 참여 의식을 높이고 이러한 쟁점을 매개로 헝성된 협력적 과정을 통해서 주민조직화의 근거를 강화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우리마을발전추진회에서 지역사회사업가의 역할은 조직의 형성과정에서 고무자. 촉매자로서 주민들을 지도하고, 토착 지도자들을 발굴함으로써 이들이 주체적으로 조직을 이끄는 조건을 마련했다는 점에 있다. 그리고 지역사회조직 활동에 있어 도시빈민 문제에 대한 사회구조적 인식을 바탕으로 주민들에 의한 지역사회조직 활동이 이끌어 지도록 토착 지도력의 의사 결정과정을 보조하면서, 조직의 유지, 발전을 위한 재정 발굴 등의 중개자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 이러한 도시빈민 지역사회조직 활동은 불평등한 사회구조에 의해 소외되어 온 도시빈민들이 집단적 자각을 가지고 생활과 복지를 권리로서 지켜 나가려는 조직화의 모형을 제시한다고 하겠다. 그러므로 이같은 도시빈민이 주체가 되는 지역사회조직의 의의는 정부와 외부 기관으로부터의 시혜적 배려에 의존하는 것이 아니라, 도시빈민이 스스로 지역사회의 발전을 책임지고 생활상의 곤란을 야기시키는 구조적 문제를 해결해 나가는 역량을 강화시키는 데에 있다고 할 수 있다. 끝으로 본 논문의 한계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마을발전추진회에 대한 지역사회 주민들의 인식과 활동 등을 간접적으로 다루었을 뿐, 직접 참여에 의해 지역사회조직 활동의 역동성을 제대로 고찰하지 못했다. 둘째 도시빈민의 자발적 참여에 의한 지역사회조직 방법을 더욱 일반적으로 두드러지게 제시하는 데에 필요한 다른 지역사회에서의 주민조직, 복지관 등의 지역사회조직과의 비교 연구를 행하지 못했다. 그리하여 이러한 지역사회조직 실천 방법이 다른 도시빈민 지역사회에서의 조직화에 시삿점을 제공하는 데에 그친다고 할 수 있겠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implications of the urban poor's community organization movement(C0M) to the community organization(C0) methods in the soclal work field. This thesis analyses 'Urimaeul-Baljun-Chujinhoe(UBC) ' as a case of COM, which is located in Hawolgog-dong, Seongbug-gu, one of the urban poor communities in Seoul. In relation to our purpose, the research framework of this study refers to the CO analysis by the research group of York University. Thus, this case study pays attention to the initiatives and the stages in the formation of UBC, as well as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articipation of that members and the composition of the naitive leadership. Then, we explain the goals, the strategies and the roles of the community workers of UBC. Major findings of this case analysis are as follows ; First , with regard to the initiatives in the formation of the CO, the roles of D church as a support organization and the community workers who could encourage the voluntary participation of the urban poor are of importance as well as the social condition suggesting the need to solve the poverty problem by the poor themselves. Second, the stages in the formation of UBC show the continued organizing processes for the spreading of the sympathy rather than the development by the temporary events. Third,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articipation of the members are the interests in the living conditions of themselves and their neibors, as well as the biliefs in the collaboration of that residences. Also, the naitive leaders are composed of the influential figures who have been living in this community for about 20 years, and the young men who have discussed on the social cause of the poverty and the need to solve that problem with the community worker. Fourth, the goals of UBC are not the task goals, but the process goals to strengthen the power base of the community by the democratic procedures and methods. Fifth , the strategies to attain these goals include the strategy for the strengthening of the coherence and solidarity, the strategy for the sharing the knowledges and beliefs, and the strategy for the spreading of the power base. Sixth, the roles of the community workers in UBC are to lead the urban poor as encouragers in the formation processes of that organization, and to creat the condition of the COM by the residences themselves. By the way, the COM by the urban poor proposes the model which they develop their living and welfare as their rights with the collective self -realiza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논문개요 = ⅰ Ⅰ. 머리말 = 1 A. 문제의 제기 = 1 B. 연구의 목적과 구성 = 4 C. 연구의 방법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지역사회조직 접근방법의 제 유형 = 7 B. 도시빈민의 성격과 도시빈민 지역사회조직 = 14 Ⅲ. 분석의 틀 = 19 Ⅳ. 우리마을발전추진회의 활동 = 22 A. 지역사회의 현황 = 22 B. 지역사회조직의 형성배경 = 25 C. 지역사회조직의 형성 = 28 D. 지역사회조직의 목적, 전략, 구조 = 31 E. 지역사회조직의 활동 = 35 Ⅴ. 사례의 분석 = 47 A. 조직의 형성과정 = 47 B. 목적 = 53 C. 전략 = 55 D. 지역사회사업가의 역할 = 59 E. 분석의 결과 = 62 Ⅳ. 맺음말 = 64 참고문헌 = 67 ABSTRACT = 7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78002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도시빈민-
dc.subject지역사회조직-
dc.subject사회사업학-
dc.subject지역사회-
dc.title도시빈민의 지역사회조직 활동에 관한 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ase study on the community organization movement of the urban poor-
dc.format.page8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90.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