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5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오은경-
dc.contributor.author洪貞淑-
dc.creator洪貞淑-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0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4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54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412-
dc.description.abstractIt seems that in order for a school to attain its organizational goals is necessitated an open climate in which its teachers could boost their morale and be satisfied with their responsibilities, so that the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 may sensitively meet and adapt themselves to, changing needs in society.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the school, however, today, stay in a closed climate, severed form communication when seen from social needs and achievements. It is of significance that a school would make by building a sound school system an attempt for growth and development when the organizational members have a sense of identity in stability, and adapt themselves to planned changes. Having carefully scrutinized school organizational climates and soundness, this study examined what type of systematic pattern the given school falls under among four operational systems suggested by Likert, and took as a subject for this study S Junior High School, located in a township of Kyongkido Province to see how the teachers look forward to their futuristic system. The resultant findings are as follows : S Junior High School comes under System Ⅱ in system, representing teachers' dissatisfaction with the school administrative system, of a low rate of achievement, of having less motivation for achievement. In addition, their vulnerable loyalty and cooperation led to less mutual collaboration as well as to a closed climate of less educational effectiveness. But the teaching staff are desirous of forming a healthy, open organizational climate, including a high rate of educational goal achievements, satisfactory human relations between teacher and principal, active participation into group activities, maximization of meeting the requirements, etc. School administrators, therefore, must have a good understanding of the school characteristics, and have adaptability to meet by focussing it on human organizational operation the changes coming from the circumstances, and be capable of reforming their system with effective utilization of resources and problem-solving ability. And then a unified principle of approach to the desired system has to be in practice when the administrative system makes an attempt for transforming the school that now comes under System Ⅱ to that of the recommended System Ⅳ. That is, it appears infeasible to make a choice of the factors only that seem to be best among different systems, with negligence of other variances of the existing system. New changes in the school operational system could only be realized when the administrator tries to make an integrated approach, not employing a few selective factors but general factors of System Ⅳ. ;학교가 조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교의 조직풍토는 사회의 변화 속에서 민감하게 대처하고 이를 수용할 수 있도록 교사들의 사기가 높고, 직무에 대한 만족감을 가질 수 있는 개방적인 풍토가 되어야 한다. 그러나 오늘날의 학교조직 풍토는 사회적인 욕구나 과업성취면에 있어서 구성원들의 불만으로 의사소통이 단절된 폐쇄적인 풍토에 머물고 있다. 조직이 기대하는 과업을 효율적으로 성취하고, 구성원들의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서는 건강한 학교조직이 형성되어 조직구성원들이 안정 속에서 일체감을 갖고 계획된 변화에 적응하면서 성장·발전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문헌을 통하여 학교조직의 특성, 학교조직의 풍토, 학교조직의 건강, 체제접근 개념들을 살펴본 후, 어느 특정 학교의 체제유형이 Likert가 제시하고 있는 네 가지 경영체제 중에서 현재 어떤 특성을 보이고 있는가를 진단하고, 교사들이 기대하는 미래의 체제를 알아보기 위해서 경기도 내 군 지역에 위치한 S중학교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S중학교의 현재의 조직 특성은 체제 2로 교직원들이 경영체제에 만족하지 않으며, 목표의 성취율이 낮고 과업성취에 대한 동기와 만족감이 미약하다. 또한 집단에의 충성심이 약하고 협동이 잘 안되어 상호 조력이 줄어들며, 교육의 효율성이 낮은 폐쇄적인 풍토였다. 그러나 S중학교의 교직원들은 학교 교육목표의 높은 성취율, 교장과 교사들 간의 만족한 인간관계, 적극적인 집단활동 참여 및 욕구충족의 극대화 등 건강하고 개방된 조직풍토인 체제 4의 경영체제를 조성하기 바라고 있다. 그러므로, 학교행정가는 학교조직의 특성을 이해하여 인간조직의 경영에 촛점을 맞추면서 환경의 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해 나가는 적응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하며, 자원의 활용도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문제해결 능력을 가지고 있어서 스스로 혁신할 줄도 알아야 한다. 다음은, 현재 체제 2의 경영체제를 보이고 있는 학교의 행정가가 바람직한 경영체제인 체제 4로 변화를 시도할 때에는, 일관성 있는 체제접근의 원칙을 지켜야 한다. 즉, 바람직한 경영체제로 변화시키고자 현재 체제의 다른 변인들을 무시하고 제각기 다른 경영체제에서 최상이라는 변인만을 선택하여 적용할 수는 없다. 따라서, 체제 2에 해당하는 학교행정가가 체제 4의 어느 한 두 변인만을 적용하지 말고, 체제 4의 변인을 모두 적용하여 전체제적인 접근을 시도할 때에 학교경영 체제의 변화가 실현될 수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 2 C. 연구의 제한점 = 2 Ⅱ. 이론적 배경 = 3 A. 학교조직의 특성 = 3 B. 학교조직의 풍토 = 8 C. 학교조직의 건강 = 18 D. 체제접근 = 25 Ⅲ. 연구방법 = 32 A. 연구의 대상 = 32 B. 조사도구 = 32 C. 자료처리 = 33 Ⅳ. 연구결과 및 해석 = 35 A. 지도력과정 = 35 B. 동기요인 = 37 C. 의사소통과정 = 39 D. 상호작용과 영향력과정 = 42 E. 결정과정 = 43 F. 목표설정과 명령 = 46 G. 통제과정 = 47 H. 성취목표와 훈련 = 49 Ⅴ. 요약 및 결론 = 55 A. 요약 = 55 B. 결론 = 59 참고문헌 = 62 부록 = 65 ABSTRACT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658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학교조직-
dc.subject교육행정-
dc.subjectSchool system-
dc.title학교조직의 특성진단-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경기도내 S중학교의 경우-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Identification of characteristics in the School system-
dc.format.page8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행정분야-
dc.date.awarded198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