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유봉호-
dc.contributor.author염경애-
dc.creator염경애-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2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40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53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401-
dc.description.abstractThe principal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iew the changes of middle school curriculum which practically experienced an extensive revision over four times ever since the advent of the Government of the Republic of Korea, and to evaluate the ultimate goal of English curriculum in middle school, guiding materials, the changes of whatever about the attention so far paid to the guide to middle school English. Main gist of what this thesis means to reveal goes as follows: First, the curriculum of Korea have so far been subject to the trends of its educational thoughts. Second, the general objective of the whole curriculum in Korea was to realize the arrangement and the embodiment of an ideal humanity demanded of our society in Korea, Starting directions in Korea offered to the curricular objective may be stated in the following ways. a) there is no denying the fact that the first curriculum in Korea came fully at out own initiative, and yet it was nothing but an acceptance of the progressive theory of education without full regard to the tasks to be urgently settled, and only an emphasis on hard work and moral education, as well. b) The second curriculum employed in Korea at once concentrated itself on independence, productivity, utility, rationality, locality and so forth, and on curricular activities, anticommunism, moralism and extraordinary activities off the regular curriculum. c) the third curriculum, which was a revision of the second one, set the goal at self-realization, and materialization of the national and democratic value based on the "National Charter of Education." At the stage of the third curriculum, the subject, which titled " a life attached to anti-communism and morality, "was turned into one called "Dodok Gyokwa which we interpret as moral curriculum." On top of that, Korea history course was newly established that was independent of the "social course." d) The fourth curriculum went oriented toward the systematization of the spiritual education of the nation, the education loyal to bringing-up of the whole man, and the strengthening of the education of the science and the technology. Referring to the activities, the fourth curriculum employed the regular curricular activities and the extraordinary curricular activities. A system under which a course, in necessary, may be optionally taken was provided to make allowances for the situation under which the local schools and local society stood. The system also admists of the choice of the necessary educational materials at the option of school principals. Third, when it comes to the general objective of the curriculum of middle school English, it always focuses itself on the following three statements, despite the detailed difference in expression : a) As a means of obtaining a successful communications, the objective was to acquire the comprehensive linguistic skills such a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b) Through the learning foreign language may there be an elevation of international understanding and cooperation. c) It is possible that the learning of foreign language enables us to come to an understanding of the way of thinking adhered to by foreigners themselves and foreign culture, and them let foreign counterparts appreciate and introduce internationally the real value of our culture. Fourth, it is interesting to note that the guiding approach to English course in middle schools in Korea gives itself to promoting the applied capacity for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setting a significant limitation on sentences and vocabularies. Fifth, the guiding attention of English curriculum is paid primarily to integrated practical use and illustrations of English designed for cultivating the communicative competence.;본 연구는 문헌을 통해서 정부 수립후 1955년(제1차)에 제정되어서, 1963년(제2차), 1973(제3차), 1981년(제4차), 3차에 걸쳐 전면 개정된 중학교 교육과정의 변천 내용을 개관하고, 중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목표, 지도내용, 지도상의 유의점이 어떻게 변천되어 왔는가를 분석하였다. 제Ⅱ장에서 이론적 배경으로 언어의 본질, 언어학습 이론, 학습지도를, 제Ⅲ장에서는 우리나라 교육과정의 4차에 걸친 변천을 개관하고, 중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일반목표, 지도내용, 지도상의 유의점을 비교·분석하였다. 이와같은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 나라의 교육과정은 교육사조의 변천에 따라 교과중심 교육과정기, 생활중심 교육과정기, 학문중심 교육과정기, 인간중심 교육과정기로 구분되는 변천을 이루어 왔다. 둘째, 전체 교육과정 구성의 일반목표는 우리 사회에서 요청되는 인간상의 정립과 구현을 위한 기본방침을 목표로 하고 있으며, 제1차 교육과정은 우리 손으로 만들어 진 최초의 교육과정이긴 했으나 우리의 당면과제들을 무시한 채 진보주의 교육이론의 수용에 불과했고 노작교육과 도의교육을 강조하였다. 제2차 교육과정은 자주성, 생산성, 유용성, 합리성, 지역성을 강조하였고 교과활동, 반공·도덕생활, 특별활동으로 구성하였으며, 제3차 교육과정에서는 국민교육헌장의 이념 구현을 위해서 자아실현과 국가 민주적 가치관 형성을 목표로 반공·도덕생활을 도덕교과로 전환하고 국사과를 사회과에서 독립 신설하였으며, 제4차 교육과정에서는 국민정신교육의 체계화, 전인교육의 충실, 과학·기술교육의 강화를 강조하고 교과활동으로 나누고 자유선택교과를 신설하여 학교와 지역사회의 특징을 살려서 학교장 재량으로 교육의 내용을 선정하여 지도하도록 하고 있다. 세째, 중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일반목표는 표현상의 세부적인 차이는 있으나 한결같이 다음의 세가지를 강조하고 있다. 1. 의사소통 수단으로서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종합적 언어기능의 습득 2. 외국어 학습을 통한 국제사회의 이해 및 국제 협력심의 앙양 3. 외국인의 사고방식 및 외국문화의 이해, 이를 통한 우리 문화가치의 이해 및 해외 소개 제1차 교육과정은 체계적인 교육과정의 효시였다는 점에서는 그 가치를 인정하겠으나, 너무 이상과 이론에 치우쳐져서 우리나라의 교육 실정에 맞지 않았으며, 교육목표의 중점사항으로 영어와 국어의 상이점 인식과 문화가치의 비교인식을 들고 있으며, 막연히 이해력과 발표력을 가지게 한다고 하여 실용적 언어력 훈련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제2차 교육과정은 교육과정 전개의 실제면에서 요구되는 사항을 나열적으로 제시하여 구체적인 학생의 언어력 향상에 효과를 올리지 못하는 현실을 급속히 시정하고자 하였으며, 듣고 말하는 훈련을 교육의 첫째 목표로 중시하고, 읽고 쓰는 것을 둘째 목표로 하여 음성 언어를 우선 제시하고 기록영어를 다음목표로 놓아 영어교육의 큰 방향을 잡아주고 있으며, 실용적 언어력 훈련방법을 간이한 영어로 구체적으로 제시하여 해석주의, 문법주의를 탈피하고자 하였다. 제3차 교육과정은 영어학습을 통한 바람직한 태도변화와 가치관 형성에 관한 쉬운 내용의 영어를 읽고, 들어 이해할 수 있게 하는데 목표를 두었으나 정의적 목표로서 국제사회에 참여할 수 있는 바탕마련, 영어사용 국민의 문화 이해를 통한 자아발견을 두고있고, 인지적 목표로서 언어기능 배양을 설정하고 있어서 정의적 목표가 인지적 목표보다 강조되어 있으며 언어외적 요소의 내용에 비중을 높이 두고 있으며, 학년별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제4차 교육과정은 전문과 구체적 목표로 구분 제시하였는데 전문에서는 영어사용능력의 배양→영어상용 국민의 문화이해→우리문화 발전에 기여로 잡고있는데 언어기능적 목표와 언어외적 목표의 비중을 평형적으로 도입하지 못하고 있다. 또, 학년목표는 듣기, 읽기능력의 이해력 신장과 말하기, 쓰기능력의 생성력 신장이라는 학년목표위에 대화능력 신장을 독립항으로 제시하여 강조하고 있다. 네째, 중학교 영어와 교육과정의 지도내용은 문형, 어휘등을 철저히 제한하여 학습부담을 줄이면서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응용능력을 기르도록 하고 있다. 제1차 교육과정의 지도내용은 학년별로 구분하여 1학년은 일상영어의 입문적 이해력과 발표력을 훈련하며, 2학년은 1학년의 학습내용을 토대로 새로운 내용을 추가하여 간이한 영어의 이해력과 발표력을 훈련하며, 3학년은 1, 2학년의 학습내용을 토대로 기초영어의 이해와 발표로 구분하고 있다. 제2차 교육과정의 지도내용은 발음, 철자, 어휘, 관용구, 문형을 미국영어로 채택하였으며, 언어재는 구상적이면서도 활용빈도가 높은 어휘, 관용구, 문형을 중심으로 대화체, 설화체로 구성하고 있으며, 어휘는 실물제시나 그림제시가 가능한 활용빈도가 높은 것으로 하고 이들을 관용구속에 적용하고 있다. 제3차 교육과정의 지도내용은 문법발전중심체계를 택하였으며, 언어자료는 문형과 문법사항으로 나누어 제시하였고, 언어 기능별로 학습할 내용 및 도달목표를 제시하여 1학년은 구두 및 청취훈련을, 2·3학년은 구두훈련 및 읽고 쓰는 능력을 개발하도록 되어있다. 제4차 교육과정의 지도내용은 문형·문법사항은 필수적인 것으로 한정하고, 영어표현을 활용·용례중심의 표현위주로 전환하였으며, 소재는 학습자의 생활주변에서 시작하여 학교생활, 사회생활, 국가, 외국으로 확산되어 나선형으로 조직되었으며, 구체적 묘사에서 추상적 표현으로 전개하였고, 언어재료는 국적있는 가치관 확립을 위해 국민정신교육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반영되고 있다. 다섯째, 영어과 교육과정의 지도상의 유의점은 모두 의사소통능력의 배양을 위해 종합적인 활용·용례중심의 지도내용을 실천할 것을 강조하고 있으며, 제1차 교육과정을 제외한 제2, 3, 4차 교육과정에서는 지도내용의 실천방안을 지도상의 유의점에서 구체적으로 잘 표현하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문제 = 2 C. 연구의 방법 = 2 D. 연구의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4 A. 언어의 본질 = 4 B. 언어학습의 이론 = 7 C. 학습지도 = 8 Ⅲ. 중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변천 = 17 A. 중학교 교육과정의 변천 = 18 B. 중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일반목표 비교 = 26 C. 중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지도내용 분석 = 32 D. 중학교 영어과 교육과정의 지도상의 유의점 분석 = 38 Ⅳ. 요약 및 결론 = 42 A. 요약 = 42 B. 결론 = 43 참고문헌 = 46 ABSTRACT = 5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30871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중학교-
dc.subject영어교육과정-
dc.subject영어교육-
dc.subject교육과정-
dc.title중학교 영어교육과정의 변천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Curricular Vicissitude of English of Middle Schools in Korea-
dc.format.page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과정분야-
dc.date.awarded198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