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0 Download: 0

글자 재인의 반응에 대한 간섭효과를 통한 연속모델과 비연속모델의 비교

Title
글자 재인의 반응에 대한 간섭효과를 통한 연속모델과 비연속모델의 비교
Other Titles
(The) Distinction between discrete Model and continuous Model in interference effect of response time about letter recognition
Authors
심은진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심리학과
Keywords
글자 재인간섭효과반응연속모델비연속모델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본 연구는 정보처리과정 분야에서 연속모델과 비연속모델을 비교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반응준비성이 야기되는 상황에서 간섭효과가 일어나는 시간추이(time course)를 알아보고자, 분할된 주의(divided attention) 가 요구되는 사지 선택 과제 (four choice selection task)를 실시하였다. 이 실험은 연속모델에서는 탐사자극(target stimuli)과 동일한 반응 키이가 요구되는 두번째 주의과제에서 그 탐사자극에 대한 반응준비성(response preparation)이 활성될 경우는 반응시간이 빠르며, 비연속 모델은 계열적 정보처리이므로 그런 효과가 없다는 가정을 전제로 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반대로 이런 효과를 간섭측면에서 행해지는 시간추이를 봄으로써 두 모델간을 비교 해보았다. 또한 Miller가 주장하는 ADC Model의 타당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독립변인은 반응준비성의 정도 (반응준비성이 높은 동일한 배치 조건 대 반응준비성이 낮은 상이한 배치 조건), 그리고 변별과제 난이도 (글자획 두께의 변별이 어려운 조건 대 쉬운 조건) 와 자극이 제시되는 시간간격 (100, 300, 500, 1000, 2000 msec) 으로 이루어진 2 × 2 × 5 요인의 반복측정 설계이다. 그리고 종속변인은 재인반응 시간과 재인률이다. 피험자는 이화여자대학교 심리학개론 수걍생 96명이 참가했다. 실험은 개별적으로 실시되었으며, 피험자는 반응준비성과 변별과제의 수준에 완전히 무선적으로 할당되었고, 시간간격도 무선적 순서로 제시되었다. 실험도구는 IBM PC 컴퓨터와 그에 필요한 Turbo-C program이 사용되었고 자료처리는 반복측정의 변량분석과 검증을 행하였다. 본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간섭상황에서 방해자극에 의한 정사각형의 반응시간은 일치도 조건일때가 불일치도 조건일때보다 느렸다. 일치도 조건에서의 이런 간섭의 효과는 자극이 연속적으로 처리되어 간다는 연구결과(Miller, 1982) 와 일치한다. 2. 방해자극을 탐사자극에 대한 2가지 속성으로 분류하였을때 자극의 글자 두께획 속성이 방해자극인 경우는 탐사자극에 대한 반응 준비성이 활성회 되었지만 자극의 범주가 방해자극인 경우는 활성화가 일어나지 않았다. 이런 실험결과 자극의 정보처리 과정은 Miller(1984)가 주장한 자극부호화 속성을 지지하며 이는 또한 한 자극내의 차원에서 이뤄지고 범주적 차원에서는 일어나지 않음을 함축한다. 3. Reeve와 Proctor (1984)는 Miller가 반응준비성의 효율성 정도를 조작키 위해 사용한 손-배치 패러다임은 부적합하다고 보았다. 그러나 실험결과 간섭효과가 없는 경우 동일한 배치가 상이한 배치보다 자극에 대한 반응이 빨랐으며, 간섭상황인 경우는 방해자극의 일치도 조건에서 그 반응시간이 느렸다. 이런 결과는 동일한 배치가 반응준비성 면에서 효율적이라는 것을 의미하대 손-배치 패러다임의 타당성을 지지해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정보처리 과정이 연속적으로 처리되어 간다는 이전의 연구결과들을 확인하였고, 방해자극이 탐사자극에 대한 반응준비성의 효과를 가져온다는 ADC 모델의 자극부호 활성화 개념을 살펴보았다. 나아가서 이런 반응준비성이 자극내의 범주적 유형보다는 물리적 속성에 따라 일어남이 밝혀졌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istinction of discrete and continuous model according to interference effects in the divided attention situation. Discrete information processing models assume that one mental process must finish before a subsequent mental process can begin, so different processes operate in a strict sequential manner. Continuous models assume that a process can transmit partial or prelimiuary output before it is completely finished. Subsequent processes can use preliminary output to begin working before the previous process has completely finished. In this situation, preliminary response activations produced by stimuli on one channel were revealed through their effects on one response to stimuli on a secondary probe channel. So, this response activations to probe square will be slower if a distractor letter just presented simultaneously before it had same name as the target letter corresponding to that square than if the distractor letter had a different name. The time course of this effect will demonstrated that preparation was based on preliminary information about distractor name that was available before distractor width had been determined. Subjects in four groups tested four blocks of trials.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Response to square in consistency condition were slower than unconsistency condition in interference situation. 2. Letter width distractor as probe stimuli were activated response preparation, but category distractor as probe stimuli were not. 3. Same-hand preparation advantage-response preparation is more efficient when two response fingers on the same hand are prepared simultaneously than when two response fingers on different hands were given the evidance of validity of the results which same mapping were faster than different mapping in no interference condition. In this study, the results of previous studies were confirmed that information processing is continuously and processing is discrete with respect to stimulus code rather than entire stimuli and support for the asynchronous discrete coding model in which response preparation can begin only after recognition processes have completely activated a code used in categorizing the stimulus. Further it was revealed that stimuli activation code would perform a physical attribute within stimuli than category of stimuli.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