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영숙-
dc.contributor.author조경혜-
dc.creator조경혜-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5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385-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4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385-
dc.description.abstract급속한 산업화와 국제화의 시대적 조류에 따라 외국어, 특히 영어의 듣기, 말하기, 읽기, 쓰기의 기본능력을 갖추고 변천하는 산업사회에 능동적으로 적응할 수 있고 국제문화의 안목을 갖출 중견직업인인 전문요원의 필요성이 높아져 가고 있다. 그러나 전문직업인 양성을 교육목적으로 하고 있는 4년제 대학의 영어교육에 대한 연구는 상당히 되어 있는 반면 전문대학의 일반적인 영어교육에 대해서는 전문적인 연구가 희소한 상황에 있다. 시대적 변화에 맞추어 전문대학에서의 영어교육의 현황을 살펴보고 문제점을 밝힌 다음, 보다 바람직한 교재, 교육과정, 교수법의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마련하는 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의견조사의 대상은 서울시의 4개 학교와 지방의 1개 학교를 포함한 5개 전문대학 학생들 중에 교양영어와 실무영어를 수강한 적이 있는 350명의 2학년 학생들이다. 1986 년 11월에 조사회수한 이 설문조사의 응답자 학과들은 관광경영학과, 공업경영학과 경영학과, 무역학과, 관광통역학과( 영어 ) 그리고 영어통역과이었다. 본 연구에서의 한계점은 첫째, 교양영어는 전문대학의 어느 학과를 막론하고 거의 실시되고 있지만 실무영어까지 함께 실시되고 있는 학과가 많지 않아 조사대상자 수가 제한되었다는 점이다. 둘째, 질문지의 대상학교로서 지방에서는 1학교 만 포함되어서 지방전문대학에 대해 조사가 불충분하였다. 셋째, 대상학과가 6개 학과만 대상이 되었다. 넷째, 교양영어에 대한 조사는 실무영어를 동시에 수강하는 학생들만 포함시켰기 때문에 교양영어만 수강하는 학생들의 의견을 포함시키지 못하였다. 다섯째, 교양영어와 실무영어의 각 문제점에 대해서, 보다 깊이있고 구체적인 개선책 마련은 시간제약상 불가능하였고 단지 진단효과를 위한 개선책 방향만 제시하였다. 제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방법 그리고 제한점에 관해서, 제Ⅱ장에서는 전문대학 영어교육의 목적과 각 학과의 교양영어, 실무영어의 교과과정 편성표를 제시하였다. 제Ⅲ장에서는 교양영어를 중심으로 전체적인 전문대학 영어교육의 4기능을, 제Ⅳ장에서는 몇몇 학과에서 실시되고 있는 실무영어를 위한 제도와 교육내용에 관해 학생들의 의견을 중심으로 조사하였다. 현재의 전문대학에서 실시되고 있는 영어교육에서 문제점으로 들 수 있는 것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문대학생들은 교양영어와 실무영어를 배우는 목적으로 실용적 가치에 비중을 두고 있다. 둘째, 학생들이 생각하는 영어교육의 중점순위는 회화-독해-문법-작문의 순이므로 교양영어에서는 회화중심의 학습기회를 많이 주고 전공과목의 이해를 위한 독해력은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ESP)과목을 통하여 강화하는 것이 좋다. 셋째, 교양영어의 시간수는 두배 정도로 늘이고 실무영어도 모든 학과 학생들에게 수강 기회를 주어야 한다. 넷째, 실무영어의 교육내용이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도록 일관성 있고 체계적으로 짜여져야 하고 영어교과는 전공이나 실력차에 의하여 반편성을 하는 것이 더 효율적이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English courses in the junior colleges. This study was conducted in view of the increasing value of English knowledge and the necessity of its systematie education. Students' opinions regarding problems with English courses were evaluated as well as more affective ways of teaching English at the junior college level. As an aid to this study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350 students at 5 junior colleges. The limitation to this study is the fact that it only covers 4junior colleges in Seoul and 1 junior college outside of Seoul. Difficulties were encountered in finding departments which teach Business English and Freshman English courses. Although this study includes Business English and Freshman English, I was unable to obtain opinions of those students who are enrolled in Freshman English only. Findings and recommendations based on the questionnaires areas follows: A. Findings 1. Students place more emphasis on oral communication rather than written communication in the order of precedence of English education. 2. Students' interest in Business English (92.9%) is higher than their interest in Freshman English (63.9%). 3. Students are not satisfied with the contents of Freshman English courses (79.4%), and they do not think the class hours for Freshman English (56.0%) and Business English (82.0%) are sufficient. 4. 62.6% of students have had some experience with outside English courses for the purpose of refining and developing their abilities. 5. The reasons for the loss of their interest in Business English are: first, they (33.7%) are not satisfied with the teaching methods or the content of the texts; second, they (28.6%) are unable to follow the classroom curriculum because of their lack of knowledge in English. B. Recommendations 1. Teaching methods of Freshman English should emphasize oral communication more. 2. Curricula should be changed characteristically according to the junior colleges' educational purpose and should not imitate those of the universities. 3. Texts of Business English in each grade should be selected systematically and with consistency. 4. Chances of learning Business English should be given to all student in all departments. 5. Different English levels should also be provided for each student depending on their abilities. 6. Every department should have an English for Specific purpose (ESP) course as a part of Business English rather than junior college students' studying the same methods of freshman English as they did in high school, which is basically written English.-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과 방법 = 1 B. 연구의 제한점 = 3 Ⅱ. 전문대학 영어교육 = 4 A. 전문대학 영어교육의 일반적인 목표 = 4 B. 교양영어의 교육과정 = 8 C. 영어전공학과의 영어 교육과정 = 10 D. 일반학과의 영어 교육과정 = 11 Ⅲ. 전문대학 교양영어 = 13 A. 영어 4기능의 중점순위 = 13 B. 교양영어의 교육내용 = 16 Ⅳ. 전문대학 실무영어 = 22 A. 실무영어를 위한 제도 = 23 B. 실무영어의 교육내용 = 25 C. English for Specific Purposes(ESP)의 필요성 = 32 Ⅴ. 결론 = 36 참고문헌 = 38 부록 (A) = 41 부록 (B) = 58 ABSTRACT = 63-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1582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전문대학-
dc.subject영어교육-
dc.subject실태조사-
dc.title전문대학 영어교육의 실태조사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English Education Research in Junior Colleges-
dc.format.page7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영어교육분야-
dc.date.awarded1987.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