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
dc.contributor.author박인희-
dc.creator박인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6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13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42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131-
dc.description.abstractSince the liveration to now, The Korean painting circles have been in the confiliction between "tradition succession" and "the introduction of western plastical method". In the view point of understanding history of Art to be history of spirit, the introduction of western plastical Mehtod Can be understood the conversion of spirit resulted from charging of traditon society being modernized. Accodingly the influence about traditional painting style and the change resulting from it is important problem. Also in my work, I have been in trouble between the traditional Mothod and western plastical Method. In this point, I think the right direction of Korean Modern Art painting should be developted through the work of right understanding about national Art painting and it's superity through thousands of history. The dominence of our Art-that is tradition-takes it's core of essencial by sowering the Spritual world of national Art in canvas and the element of the lines in the ink of the brush. But, in the confiliction and acceptance of western civilization with modernization. Is today's painting in Korea going to the right way? It is our real problem to find the right direction of our Korean painting in the settlization of dialectic which is occuring in the course of settlization and the acceptance of foreign culture. This view point could be realized by making effort to digest and recover foreign thing in the standpoint of more individualistic. So, In the etheic, I want to distinguish between the western lines and lines through lines which is essencial in the Korean traditional. Art, and in many expressional objet, I chose figure painting and explained the introduction process of western Muthod to be divided in to Method which developes it's work in the standpoint of independence, another is experimental Method which boldly escape the conventional Method. Therefore through analyzing may works made by in the Standpoint of succession of our national tradition and absorption foreign plastic method, I want to check myself where I am in the long stream of Korean Art, and also examine my work direction for the future.;解放이후 現代까지 韓國畵檀은 "傳統繼承"과 "서양식 造形方法적 導入"사이에서 갈등을 격고있다. 美術吏로 精神史로 이해한다는 입장에서 볼때 서양식 조형방법의 도입은 전통사회가 現代化되면서 변화되는 정신적 轉換으로 把握된다. 따라서 전통적인 회화양식에 미치는 영향과 그로 인해서 생기는 방법론의 변화는 중요한 문제가 되는 것이며 본인의 작업에 있어서도 전통과 서양식 造形方法에서 오는 갈등으로 苦心하게 된다. 이러한 시점에서, 現代繪畵의 올바른 방향은 역시 수 천년 동안 이어져 온 우리 美術이 갖는 우수성과 民族繪畵를 참되게 이해하는 작업 속에서 부터 展開되어야 하지 않을까 한다. 우리미술이 갖는 우수성, 즉 전통계승은 畵面에 있어서 민족회화의 정신세계와 筆墨의 線的요소를 음미함으로서 그 眞體를 이어받는다. 그러나 근대화 작업과 합께 西歐文化에 대한 受容과 갈등 속에서 오늘의 미술이 과연 바람직한 방향으로 가고 있는가? 「외래문화의 移植과 정착과정에서 일어나는 변증법적인 논리의 土着化에서 올바른 우리미술의 맥락을 잡아야 하는 것은 우리의 절실한 과제다.」^(1)) 이와같은 입장은 보다 주체적인 입장에서 서구의 것을 소화하고 극복해 나가려함으로서만 그 가능성이 나타나리라 본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동양의 繪畵傳統의 중요한 요소인 線을 通하여 서양의 스메치的 線과 구별하려 하였으며 여러가지 표현대상 중에서도 인물을 소재로한 그림과 연결시켜 역사적인 맥락에서 대략 다루었다. 그리고 서양식 방법의 導入과정은 시대상한선을 해방 이후로 설정하여 화면을 주체적인 입장에서 전개해 나가는 傳統尊重主義 방법과 재래양식을 과감하게 벗어나려는 실험적 입장으로 나누어 설명했다. 이렇게하여 우리 민족의 傳統繼承의 입장과 서양식 造形方法의 소화라는 자세에서 제작한 자신의 작품분석을 통하여 本人이 오랜 한 한국회화의 흐름속에 어디쯤 서 있는가를 점검해 보며 앞으로 작업 해 나갈 방향을 摸索해 보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論文槪要 = ⅰ Ⅰ. 序論 = 1 Ⅱ. 線을 通한 人物書의 특성 = 3 A. 線 = 3 1. 線의 본질 = 3 2. 筆과 墨 = 8 B. 한국의 入物畵 = 11 1. 人物畵의 회화적성격 = 11 2. 이조시대 人物畵의 흐름 = 14 C. 새로운 표현방법의 모색 = 20 1. 전통과 서양회화의 갈등 = 20 2. 1950년대 이후의 한국동양화 = 22 D. 作品 分析 = 28 1. 제작의도 = 28 2. 作品 分析 = 30 Ⅲ. 結論 = 51 參考文獻 = 53 ABSTRACT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62596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
dc.subject동양화-
dc.subject미술-
dc.subject인물화-
dc.title線을 통한 人物畵의 새로운 방법 모색-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new expressive method in figure painting through the lines-
dc.format.page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동양화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