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귀윤-
dc.contributor.author유은선-
dc.creator유은선-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1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96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41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960-
dc.description.abstract학교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요구가 증가함에 따라 교육과정 평가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이 높아졌다. 바람직한 교육과정 계획, 시행과 교육과정 개선은 효율적인 교육과정 평가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과정 평가의 의미와 목적을 밝히고, 학교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종합 모형을 제시하려는 것이다. 본 연구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교육과정 평가의 일반적 개념 2. 교육과정 평가의 제모형 3. 학교 교육과정 평가를 위한 종합 모형 교육과정 평가는 교육과정의 다양한 사상, 조건 상태를 평가하려는 것으로 여러 가치문제와 관련이 있다. 따라서 교육과정 평가는 교육과정의 의사결정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해 주고 장점과 가치를 결정한다. 여러가지 평가모형의 특성은 다음과 같다. 전통주의적 평가모형은 교육목표에 입각하여 학생의 행동적 변화를 정확하게 측적하려는 것으로 교육과정 결과의 평가이다. Scriven, Stake, Stufflebeam의 체제적 평가모형은 교육과정 계획, 개발, 보급의 과정을 체계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그 구성요소들을 평가 대상으로 단계별 평가 과정을 제시한다. 질적 평가모형은 계획보다 교육과정의 시행에 대한 평가를 강조하며 교육과정에 관련된 복잡한 실제에 대하여 종합적인 이해를 제공한다. 여러 평가모형들을 이론적 근거로 연구자는 교육과정 목표- 교육과정 계획-교육과정 시행-교육과정 평가의 절차에 따라 학교 교육 과정 평가를 위한 모형을 제안한다. 제안된 평가모형의 절차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목표평가-교육과정 일반목표의 가치, 학습자·교사· 지역사회의 특성, 교사와 학생의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 학교 환경. 2. 계획평가-교육과정 내용선정과 조직·수업전략·수업자료·학습활동 운영방법의 적절성. 3. 시행평가-시행평가는 두 가지 평가활동으로 이루어진다. 3-1 수업내용평가 -학습자에게 전달되는 교육과정 내용, 수업전략의 시행, 수업자료의 활용, 수업진행에서의 표현적 목표, 예기치 않은 학습. 3-2 수업과정평가 -교사와 학생의 언어적·비언어적 활동, 학생들간의 관계, 교실에서의 우연한 사건. 4. 총합평가-학습자의 교육적 경험의 결과, 교육과정 계획과 시행에서의 교사의 경험, 교사·학생의 반응, 교육과정 목표달성도, 각 단계별 평가활동의 관계, 평가계획과 방법의 효율성 평가 5. 해석과 판단-총합평가 자료를 근거로 깊이 있는 분석과 가치판단. 6. 보고-평가청취자를 위한 평가내용의 문서화. 평가활동은 체계적인 절차에 따라 평가자와 교사의 상호작용에 의해 이루어진다. 평가과정에서 양적, 질적 방법이 적절히 이용되며 평가활동에서 나온 정보와 판단자료는 교육과정과 수업개선을 위해 목표평가로 피이드백된다.;Curriculum evaluation becomes a central parts of educational improvement among concerned educators.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clarify the meaning and purpose of curriculum evaluation and to develope comprehenive model for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The following are main problems related to this study. 1. Concept of curriculum evaluation. 2. Models of curriculum evaluation. 3. Comprehenive model for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Curriculum evaluation involves stats and conditions of curriculum with value problems. Therefore, curriculum evaluation provides information in the process of decision-making and it determines the merit and value of curriculum. The characteristics of curriculum evaluation models are as follows. Traditional models, which measure the behavioral change of a student on the basis of objectives. Systematical models of Scriven, Stake, Stufflebeam expand the evaluation into the whole of curriculum and provide the process on evaluation at each step. Qualitative models emphasize the evaluation of the implementation and process of the practical activity of curriculum. On the theoretical basis of several curriculum evaluation models, this study proposes comprehensive model of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according to curriculum planning process - curriculum objective, design, implementation, evaluation. The procedure and content of the proposed curriculum evaluation are follows. 1. Objectiv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tudent the teacher and community, the need about curriculum of students and teachers, school environment. 2. Design Evaluation - The relevance of the selection and organization on contentㆍinstructional stratagyㆍinstructional resourcesㆍmanagemental methods of learning activity. 3. Implementation Evaluation consists of two evaluation procedures. 3-1 Instructional content evaluation - The curriculum content delivered to the learner, the implementation of instructional strategy, the use of instructional resources, the unexpected learning, expressive objectives. 3-2 Instructional process evaluation - The speech and non-speech activities of the student and the teacher, the relation among students, the accidents in the classroom. 4. Summative Evaluation - The results of learner's educational experience, the teacher' experience in planning and implementing curriculum, the degree of the achivement of curriculum objectives, the whole connection of evaluation at each step, the efficiency of curriculum evaluation planning and methods. 5. Interpretation and Judgement - Deep analysis and value judgement made on the basis of resources derived from Summative Evaluation. 6. Reporting - Documentation of curriculum evaluation contents for evaluation audience. Each evaluation activity is made by the interaction of the evaluator and the teacher and qualitative, qualitative methods are properly us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are properly used according to the evaluation context. The evaluation information derived form evaluation activity is feedback to Objective Evaluation for improving school curriculum and instruct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ⅲ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연구문제 = 1 B. 연구방법 및 제한점 = 4 Ⅱ. 교육과정 평가의 개념 = 5 A. 교육과정과 평가관의 변화 = 5 B. 교육과정 평가의 정의 = 11 Ⅲ. 교육과정 평가의 제모형 = 18 A. 전통주의적 평가모형 = 19 B. 체제적 평가모형 = 22 C. 질적 평가모형 = 30 Ⅳ. 교육과정 평가의 종합 모형 = 37 A. 모형의 이론적 배경 = 37 B. 교육과정 평가의 종합 모형 = 39 Ⅴ. 요약 및 결론 = 57 참고문헌 = 61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53356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교육과정평가-
dc.subject종합모형-
dc.subject교육학-
dc.subject교육-
dc.subject.ddc300-
dc.title교육과정평가의 종합모형-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omprehensive model for curriculum evaluation-
dc.format.page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교육학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