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0 Download: 0

CRT 텍스트 디자인에 관한 실험연구

Title
CRT 텍스트 디자인에 관한 실험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SIGNING OF CRT TEXT
Authors
김성남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공학과
Keywords
CRT텍스트 디자인DESIGNING OF CRT TEXT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수
Abstract
컴퓨터의 교육적 적용이 증대됨에 따라 컴퓨터 보조학습의 효과를 검증하는 연구가 많이 진행되고 있는 것에 반해, 컴퓨터를 이용한 학습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의 하나로서 CRT 화면에 제시되는 텍스트 디자인에 대한 연구는 많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우수한 교육용 컴퓨터 소프트웨어의 개발을 위해서는 컴퓨터에 의한 텍스트의 제시 즉, CRT 화면 디자인에 관한 원리와 지침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다. 그것은 컴퓨터 CRT 화면에 제시되는 텍스트의 시각적 조직화는 텍스트 이해를 좌우하는 매우 중요한 요인의 하나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우수한 교육용 코오스웨어의 개발을 위한 CRT 화면 텍스트 디자인에 대한 기초 연구의 일환으로서 CRT 텍스트 디자인 변인인 레딩(leading), 지시큐(directive cues), 헤딩의 위치(heading location) 그리고 하이퍼텍스트(hypertext)가 CRT 텍스트의 'legibility' 및 CRT 텍스트의 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 분석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문제는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다. 1. 텍스트 디자인의 4가지 요인 즉 레딩, 지시큐, 헤딩의 위치 그리고 하이퍼텍스트는 CRT 텍스트의 'legibility'에 영향을 미치는가? 2. 4가지 텍스트 디자인 요인이 CRT 텍스트의 정연하고, 여유가 있고, 조직적이고, 좋으며, 흥미로운지의 속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3. CRT 텍스트의 구조, 간결성 그리고 여백의 측면에서 학생들이 가장 바람직한 것으로 지명한 텍스트 그리고 가장 바람직하지 못한 것으로 지명한 텍스트에는 어떠한 디자인 요인이 관련되고 있는가? 또한 이들 CRT 텍스트의 구조와 간결성 그리고 여백의 속성간에는 상관관계가 있는가? 4. CRT 텍스트 디자인의 4가지 변인의 속성에 즉, 싱글 스페이스와 더블 스페이스간, 플래시큐와 비지시큐와 역상큐간, 임베디드 헤딩(embedded heading)과 독립헤딩(isolated heading)간, 하이퍼텍스트 사용과 하이퍼텍스트 비사용에 대한 학생들의 선호경향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E여대 3학년 학생 49명 그리고 4학년 학생 47명으로 구성된 총 96명을 대상으로 실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CRT 텍스트 디자인 변인인 레딩, 지시큐, 헤딩의 위치 그리고 하이퍼텍스트의 4요인으로 구성된 2x3x2x2x 팩토리알 디자인(factorial design)에 의해 구성된 24종의 CRT 텍스트 모델과 이를 컴퓨터 프린터로 인쇄한 24종의 인쇄된 텍스트 자료를 실험자료로 하여 실험이 실시되었다. 그리고 평가도구로는 CRT 텍스트 디자인의 4가지 변인이 텍스트의 'legibility' 및 텍스트의 정연성, 여백, 조직성, 선호성, 흥미도등을 측정하기 위한 총 13문항으로 구성된 태도 측정지를 사용하였다. 예비실험이 1988년 9월 16일에 실시되었으며, 이를 기초로 수정 보완된 실험 자료와 실험절차에 의해 본 연구가 1988년 9월 21일에서 9월 23일에 걸쳐 실시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집약하면 다음과 같다. 1. CRT 텍스트 디자인 변인인 레딩, 지시큐, 헤딩위치 그리고 하이퍼텍스트중에서 헤딩위치는 CRT 텍스트의 'legibility'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CRT 텍스트의 헤딩위치가 텍스트와 분리된 독립헤딩일 때 텍스트의 'legibility'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CRT 텍스트의 'legibility'에 있어서 레딩과 하이퍼텍스트, 헤딩위치와 하이퍼텍스트간에 유의한 상호작용효과가 나타났다. 즉, 하이퍼텍스트가 사용되고 더블 스페이스일때와 하이퍼텍스트가 사용되고 헤딩이 독립헤딩인 경우에 텍스트의 'legibility'가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 CRT 텍스트의 '어수선하다-정연하다, 복잡하다-여유가 있다, 비조직적이다-조직적이다, 나쁘다-좋다 그리고 싫증난다-흥미롭다' 속성에 있어서 레딩, 지시큐, 헤딩위치 그리고 하이퍼텍스트 변인중에서 레딩과 헤딩위치는 CRT 텍스트의 속성인 '복잡하다-여유가 있다, 나쁘다-좋다, 싫증난다-흥미롭다'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CRT 텍스트가 더블 스페이스로 작성되고 헤딩이 텍스트와 분리된 독립헤딩일때 CRT 텍스트의 속성에 대한 의견이 긍정적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헤딩위치와 하이퍼텍스트간의 상호작용효과는 '어수선하다-정연하다, 비조직적이다-조직적이다, 싫증난다-흥미롭다'면에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하이퍼텍스트가 사용되고 헤딩이 텍스트와 분리된 독립헤딩일때 CRT 텍스트가 더욱 정연하고, 조직적이며 흥미로와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3. CRT 텍스트의 레딩이 더블 스페이스이고, 헤딩이 텍스트 컬럼과 분리되어 좌측 여백에 설정된 독립헤딩이며, 플래시 큐와 하이퍼텍스트가 사용된 텍스트에 대해 학생들은 가장 긍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반면에 텍스트의 레딩이 싱글 스페이스이고, 헤딩이 텍스트 컬럼과 분리되어 있고, 지시큐와 하이퍼텍스트가 사용되지 않은 텍스트에 대해 가장 부정적인 반응을 나타냈다. 4. CRT 텍스트의 구조, 간결성 그리고 여백의 측면에서 텍스트의 레딩이 더블 스페이스이고 플래시 큐가 사용되고 헤딩이 텍스트와 분리되어 좌측 여백에 설정되어 있으며 하이퍼텍스트가 사용된 텍스트 모델의 지명도가 가장 높은 것으로 지적되었다. 반면에 레딩이 싱글 스페이스이고 지시큐가 사용되지 않고 헤딩이 텍스트내에 포함되어 있으며 하이퍼 텍스트가 사용되지 않은 텍스트 모델의 지명도가 가장 낮은 것으로 지적 되었다. CRT 텍스트의 속성인 구조, 간결성 그리고 여백간에는 서로 높은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이러한 결과는 CRT 텍스트가 간결하면 텍스트에 적절한 여백이 있으며 또한 텍스트는 구조화되어 있다는 것을 시사한다. 그러므로 CRT 텍스트 디자인에 있어서는 구조, 간결성 그리고 여백이 동시에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받을 수 있다. 5. CRT 화면에 제시되는 4가지 텍스트 디자인 요인중에서 학생들은 텍스트의 레딩이 싱글 스페이스보다는 더블 스페이스로 제시되는 것을 선호하였고, 지시큐가 사용되지 않은 것보다 플래시나 역상과 같은 지시큐의 사용을 선호하였고, 헤딩 위치에서는 헤딩이 텍스트내에 삽입된 임베디드 헤딩보다 헤딩이 텍스트 컬럼과 분리 되어 설정된 독립 헤딩을 선호하였다. 그리고 하이퍼텍스트의 유무에서는 하이퍼텍스트가 사용되는 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The focus of this study is on the effect of four independent variables that affect format, or appearance of CRT publications (leading, directive cue, heading location and use of hypertext) on legibility and five attributes of the CRT text. The general questions investigated are : 1. Are there any specific effects of format variables on the legibility of CRT text ? 2. Are there any specific effects of format variables on attr-ibutes of CRT text ? 3. Are there any specific effects of format variables on the structure, simplicity and spaciousness of CRT text ? and what is the correlationship between the structure, simplicity spacious -ness of CRT text ? 4. How is the preference for the design values ; single spac-ing, double spacing, flash cue, inverse cue, no cue presentation, embedded heading, isolated heading, use of hypertext and no hyper- text ? The sample was composed of 49 junior and 47 senior volunteers from Ewha Womans University. In this study, the 2×3×2×2 design presented 24 possible stim-lus screen design combinations. Each e was designed on an IBM compatible PC computer with word processor and GWBASIC program. The stimuli pages were printed on a dot-matricx printer and then enlarged copies more closely resembled the size of a typical CRT screen. Stimuli were designed to use some of the variables that have been researched in both print and CRT legibility research. The stimuli represent formats of text design that may be found when reading computer-generated text. A method called "notation" was used to prevent contamination from content variables. The stimuli were designed to reflect 4 format variables used in publication design. A series of questions were used as a guide for interpreting the 4-way ANOVA data. Findings were such as follows : 1. Out of four format variables the heading location affected the 'legibility' of CRT text. The 'legibility' of GRT text model with isolated heading was rated higher than models with embedded heading. And interactions between leading and hypertext, heading location and hypertext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legi-bility' of CRT text. The 'legibility' of CRT text model with hypertext, double spacing and isolated heading rated higher than models with no hypertext, single spacing and embedded heading. 2. Out of 4 format variables leading and heading location affected attributes such as 'crowded-spatious', 'bad-good' and 'boring-interesting'. When the text model was double spaced, and heading was isolated in a seperate column, subjects considered it as a spatious, good and interesting text. And the interaction between heading location and hypertext were statisticallly signi-ficant in some attributes such as 'unorganized -organized', 'messy-neat' and 'boring-interesting'. That is to say, subjects regarded the text model with hypertext and isolated heading as a neat, organized and interesting text. 3 . The text model with double spacing, isolated heading, flas-h cue and hypertext was best in the structure, simplicity and spaciousness of CRT text. And the structure, simplicity and spaciousness of CRT text were highly correlated one another. 4. In the preference for design values, double spacing was prefered more than single spacing, flash cue and inverse cues as a directive cue was prefered more than no use of directive cues, use of hypertext was prefered more than no use of hypertext and isolated headings were prefered more than embedded headings by subjects to judge the stimuli.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공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