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6 Download: 0

만성 신부전환자에서 당불인내성 예견지표로서의 serum reverse T_(3)에 관한 연구

Title
만성 신부전환자에서 당불인내성 예견지표로서의 serum reverse T_(3)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SERUM REVERSE T_(3) ASSAY FOR PREDICTING GLUCOSE INTOLER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Authors
孫賢珠
Issue Date
1988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학과
Keywords
만성 신부전환자당불인내성예견지표serum reverse T_(3)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경란호
Abstract
만성 신부전 환자의 반 수 이상에서 내당력의 변화가 나타나며 이는 혈중 갑상선 호르몬, 특히 rT_(3)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저자는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갑상선 호르몬 농도의 변화와 당불인내성이 갑상선 호르몬 농도에 미치는 영향, 그리고 당불인내성을 예견하는 지표로서의 rT_(3)의 유용도를 관찰하고자, 혈액투석요법을 받고 있는 만성 신부전 환자 17예와 정상대조군 20예를 대상으로 갑상선 호르몬 농도, HbA_(1)C및 경구 당부하검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만성 신부전 환자의 혈청 T_(3)치와 T_(4)치는 각각 89.11±14.11ng/dl과 4.93±0.92□g/dl로 정상대조군의 156.80±21.38ng/dl 및 9.11±1.65□g/dl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의의있게 저하되었다. 2. 혈청 rT_(3)는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정상 또는 감소소견을 보였으나 평균농도(183.92±52.40pg/㎖)는 정상대조군(250.54±25.75pg/㎖)에 비해 저하되었다. 3. 혈청 TSH는 만성 신부전 환자군(2.68±1.18□u/㎖)과 정상대조군(2.08±1.00□u/㎖) 사이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4. 혈청 TBG는 만성 신부전 환자(18.32±4.39□g/㎖)에서 정상범위에 속하였으나 정상대조군(28.50±8.97□g/㎖)에 비하여는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저하되었다. 5. 만성 신부전환자 17예 중 당불인내성을 보인 8예의 혈청 rT_(3)치(226.10±45.97pg/㎖)는 정상반응을 보인 9예의 rT_(3)(146.42± 16.78pg/㎖)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증가되었고,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의 헐청 rT_(3)와 혈당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 6.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당불인내성 예견지표로서의 rT_(3)민감도는 88%이고 특이도는 100%였다. 7. 당불인내성 예견지표로서 HbA_(2)C는 의의가 없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만성 신부전 환자에서 갑상선 호르몬 농도는 변화하며, 특히 당불인내성은 rT_(3)에 영향을 미치므로 이들에게서 당불인내성을 예견하는데 혈청 rT_(3)가 간편하면서도 유용한 지표가 됨을 알 수 있다.;To investigate the thyroid hormonal change and the usefulness of serum reverse T3 (rT3) assay in predicting glucose intolerance in patients with chronic renal failure (CRF), we measured the serum thyroid hormone using ra-dioimmunoassay and HbAIC. Also we performed oral glucose tolerance test (OGTT) in 17 patients with CRF on hemodialysis therapy and 20 normal control subjects (NS).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The serum T3 and T4 concentrations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atients with CRF (89.11±14.11 ng/dl and 4.93±0.92㎍/d1, respectively) than in NS (156.80±21.38 ng/dl and 9.1l±1.65㎍/dl, respectively). 2) The serum rT3 concentration in patients with CRF was within and below the normal range, but the mean (183.92±52.40pg/㎖)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in NS(250.54±25.75pg/㎖). 3) The serum TSH concentration was within the normal range in patients with CRF. And the mean serum TSH (2.68±1.18μu/㎖)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from that of NS(2.08±1.00μu/㎖). 4) The serum TBG concentration was within the normal range in patients with CRF. But the mean serum TBG(18.32±4.39㎍/㎖)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of NS (28.50±8.97㎍/㎖). 5) The serum rT3 concentration of eight patients with CRF who showed impaired OGTT (226.10±45.97pg/d1)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at of nine patients with CRF who showed normal OGTT (146.42±16.78pg/d1). And in the whole patients with CRF, there was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blood glucose levels and serum rT3 concentrations. 6) In Patients with CRF, the serum rT3 assay showed a specificity of 100% and a sensitivity of 88% in predicting glucose intolerance. 7) HbA1C was not good indicator for assessing carbohydrate metabolic state in patients with CRF. It was concluded that the serum rT3 could be useful indicator for predicting glucose intolerance in patients with CRF. Future study for rT3 in patients with CRF on hemodialysis and peritoneal dialysis will be needed for practical u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