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지-
dc.contributor.author김정순-
dc.creator김정순-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7Z-
dc.date.issued198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6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36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692-
dc.description.abstractAs technological civilization and medical science were developed, standards of living have improved and human life expectancy has been extended. But the incidence and mortality rate of cancer have been gradually increasing due to pollution of the environment. Even though cancer is still a great threat to human beings, the etiology and appropriate cure for cancer have not yet been discovered. The early detection and treatment of cancer is urgently needed. In these day, the field of Health Management Enterprise put the importance on identifying the preventing behavior from illness and a11 the relative variables by proper nursing intervention. This study concentrates on the health behavior of women regarding the breast self-examination for early detection of breast cancer. It was done in order to provide a direction for scientific health education materials by investigating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 and compliance for breast self-examinat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made up of 180 women, who are aged from 20 to 60 living in Buk -Ahyun -Dong, Seodaemoon-Ku, Seoul. The study method used, was a questionnaire. The period for data collection was from September 12th to October 2nd,1985.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health belief, knowledge about breast cancer and compliance for breast self-examination, questionnaire to measure health belief , which is developed by Lee Jong Kyung, was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e investigator, and questionnaire to measure knowledge about breast cancer and compliance for breast self-examination, was modified and implemented by the investigator from literature review. Analysis of the data was done using percentage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and Stepwise Multiple Re- gression. The result of study were as follows. 1. The hypotheses tested were based on the health belief model: The first hypothesis, "The higher level of health concern, the higher level of compliance for breast self-examination", was accepted (r=0.236, p=0.036), The second hypothesis, 'The higher level of knowledge of breast cancer, the higher level of compliance for breast self-examination", was accepted (r=0.291,p=0.013). The third hypothesis, "The higher level of susceptibility of breast cancer, the high level of compliance for breast self-examination", was rejected (r=0.022, p=O.433 ). The fourth hypothesis, "The higher level of severity of breast cancer, The higher level of compliance for breast self-examination'', was rejected (r=0.084, p = 0.263). The fifth hypothesis, "The higher level of benefit (over cost) of breast self-examination, the higher level of compliance for breast self-examination", was rejected (4=0.055, p=O.340). These results show that health concern and knowledge of breast concer influence compliance for breast self-examination in this study. 2. In the correlation among variables, it was found that the severity of breast cancer and benefit (over cost) of breast self-examination were negatively correlated (r=-0.161, p < 0.05), bebefit (over cost) of breast self-examination and knowledge of breast cancer were positively correlated (r=0.222, p<0.05), benefit (over cost) of breast self-examination and health concern were positively correlated (0.229, P<0.05), knowledge of breast cancer and health concern were positively correlated (r=0.178, p<0.05). Therefore the compliance rate of women may be raised through health education by increasing health concern and knowledge of breast cancer of the individual. 3. The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between compliance for breast self-examination and variables. I) The factor "knowledge of breast cancer'' could account for compliance for breast self-examination in 8.48% of the sample. (F=5.27996, P<0.05). 2) When the factor 'Health concern" is added to this, it accounts for 12.96% of compliance for breast self-examination. (F=4.16991, P<0.05). 3 ) When the factor "Susceptibility" is also included, it accounts for 13.35% of compliance for breast self-examination. (F=2.82340, P<0.05) 4 ) When the factor "Benefit (over cost)" is included, it accounts for 13.44% of compliance for breast self-examination. (F=2.09574, P<0.05) This means that other factors appear to influence compliance for breast self-examination, since the combination of variables explains only 13.44% of compliance for breast self-examination. Therefore further study to investigate the predictors of compliance for breast self-examination is necessary.;기계문명이 발달하고 의학이 발전함에 따라 국민건강수준이 향상되고 평균수명이 연장된 반면 환경오염과 더불어 암의 발생과 이로 인한 사망율이 증가추세에 있다. 암은 인류생존에 커다란 위협으로 남아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 원인이나 결정적인 치료대책이 밝혀지지 않은 실정이어서 암의 조기진단과 조기치료가 절실히 요청된다. 오늘날 건강을 유지, 증진할 수 있도록 하는 건강관리사업분야에서는 적합한 간호중재에 의해 질병예방행위와 이에 관련된 모든 변수들을 확인하는데 그 중요성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유방암조기발견을 위하여 예방적 건강행위인 유방자가검진이행과 건강신념과의 관계를 파악하여 건강교육을 위한 과학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서대문구 북아현동 주민중에서 20세에서 60세 이하의 여성으로서, 현재는 특별한 질환이 없는 건강한 생활을 하는 여성 180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1985년 9월 12일부터 10월 2일까지였다. 연구도구중, 건강신념도는 이 종경이 개발한 건강신념모형을 중심으로 수정·보완하였으며 지식 척도와 유방자가검진이행척도는 참고문헌을 기초로 본 연주자가 작성한 후 지도교수의 조언을 참고로 질문지문항을 재작성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백분율, t - test ,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Stepwise Mul tiple Regression등의 통계방법으로 처리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가설검정에서는, 제 1가설인, "대상자의 건강관심도 측정치가 높을수록 유방자가검진이행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되었다( r=0.236, P<0.036 ). 제 2가설인, "대상자의 유암에 대한 지식정도가 높을수록 유방자가검진이행도가 높을 것 이다."는 지지되었다 ( r=0 .291, P<0.013). 제 3가설인, "대상자의 유암에 대한 지각된 민감성 측정치가 높을수록 유방자가검진이행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받지 못하였다 ( r=0.022, P<0.433 ). 제 4가절인, "대상자의 유암에 대한 지각된 심각성 측정치가 높을수록 유방자가검진이행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받지 못하였다 ( r=0.084, P< 0.263) 제 5가설인, "대상자의 유방자가검진에 대한 지각된 유익성 측정치가 높을수록 유방자가검진이행도가 높을 것이다."는 지지받지 못하였다( r=0.055, P<0.340 ). 2. 주요변수들간의 상관관계에 있어서는, 심각성과 유익성은 서로 역상관관계를 보여 주었고( r=-0.161 , p<0.05) ,유익성과 지식은 순상관관계 ( r=0.222, P<0.05), 유익성과 건강관심도도 순상관관계 ( r=0.229, P<0.05 ) ,또 지식과 건강관심도는 순상관관계 ( r=0.l78, P< 0.05 )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므로 건강교육을 통해 유암에 대한 지식과 건강관심도를 높여줌으로써 예방적 건강행위인 유방자가검진이행율이 높아질 것으로 사려된다. 3. 유항자가검진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들을 알아보기 위하여 단계적 중회귀분석을 시도한 결과, 유방자가검진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는 건강관심도, 지식, 지각된 민감성, 유익성등이었다. 유방자가검진이행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 변수로는 지식으로서 그 기여도는 8 48%였으며, 지식에 건강관심도를 추가한 기여도는 12.96%였다. 이에 지각된 민감성을 더 추가한 기여도는 13.35%로 약간 증가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지각된 유익성을 더 추가한 기여도는 모두 13.44%에 불과하였다. 네변수 모두를 합하여도 유방자가검진이행을 13.4%밖에 설명할 수 없음을 볼 때, 네변수 외에 다른 요인이 있음을 할 수 있으므로 다른 변수를 찾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본다. 이와같은 연구결과를 간호업무에 적용시켜 보면, 유방자가검진이행을 증진시키기 위한 간호중재는 건강관심도와 유암에 대한 지식을 증가시키는 측면으로 구성·조직되어야 함을 시사해 준다고 본다. 본 연구결과를 기반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유방자가검진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유암에 대한지식과 건강관심도로 나타났으나, 유방자가검진이행을 설명하는 건강신념 변수들의 설명력은 13.4%밖에 안되므로 유방자가검진이행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가 이뤄져야 함을 제언한다. 2. 건강신념변수와 유방자가검진이행과의 관계에서 간호중재를 매개로 하였을 때의 관계변화에 대한 연구 및 효과적인 간호중재를 마련할 수 있는 연구를 시도해 볼 것을 제언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연구문제진술 = 5 D. 가설 = 6 E. 용어 정의 = 6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9 A. 건강신념모형 및 예방적 건강행위 = 9 B. 본 연구의 이론적 기틀 = 13 Ⅲ. 연구방법 = 16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방법 = 16 B. 연구도구 = 16 1. 건강신념척도 = 17 2. 지식척도 = 18 3. 유방자가검진이행척도 = 18 C.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 19 D. 연구의 한계 = 19 Ⅳ. 연구결과 및 고질 = 20 A. 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및 기타 제특성 = 20 1. 대상자의 일반적 배경 = 20 2. 기타 제특성 = 26 B. 유방자가검진이행과 주요변수들과의 관계 (가설검정) = 29 1. 가설검정을 위한 주요변수의 분석 = 29 2. 가설검정 = 29 3. 주요변수들간의 상관관계 = 32 C. 유방자가검진이행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변수의 규명 = 33 D. 대상자의 일반적 배경과 주요변수들과의 관계 = 35 1. 건강관심도와 일반적 배경 = 35 2. 지식과 일반적 배경 = 38 3. 지각된 민감성과 일반적 배경 = 41 4. 지각된 심각성과 일반적 배경 = 44 5. 지각된 유익성과 일반적 배경 = 47 6. 유방자가검진이행과 일반적 배경 = 50 Ⅴ. 결론 및 제언 = 55 A. 결론 = 55 B. 제언 = 59 참고문헌 = 60 부록 = 69 ABSTRACT = 8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952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건강신념-
dc.subject유방-
dc.subject자가검진-
dc.subject연구-
dc.title건강신념과 유방자가검진 이행과의 관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relationship between health belief and compliance for breast self-examination-
dc.format.page10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