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98 Download: 0

응급실 환자의 불안에 관한 연구

Title
응급실 환자의 불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ABOUT ANXIETY OF PATIENT EMERGENCY ROOM
Authors
유미영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Keywords
응급실환자불안간호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복잡한 사회와 기계화에 따른 사고의 발생과 생의 과정중에 갑자기 발병하는 질병과 만성질환등으로 응급실을 찾는 환자의 수가 늘어나고 있으며 한편, 이러한 갑작스런 질병의 발생과 사고는 개체의 다양한 심리적 반응 특히 불안을 야기시키고 이 불만으로 인해 많은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응급실을 내원하는 환자의 불안정도를 파악하여 불안감소를 통한 효과적인 응급환자 간호중재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져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서울시내 4개 종합병원 응급실을 내원한 환자 76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수집기간은 1987년 4월4일 부터 4월 20일 까지였으며 연구도구는 Beverly J. Volicer와 M.W. Bohannon이 개발한 입원불안 척도를 기초로 문헌고찰과 연구자의 임상관찰을 통해 설문문항을 작성한 뒤 임상 전문가 4인과 간호학 교수에 의한 구성타당도를 거친 후 환자에게 사전조사를 하여 문항을 수정, 보완 재작성하였다. 자료분석방법은 SPSS program을 이용하여 t-teat, ANOVA,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로 통계처리 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응급실을 내원하는 환자가 느끼는 가장 높은 불안문항은 「정상적인 생활을 할 수 없을까봐 불안하다」 (M=2.474, SD=1.205) 와 「학교나 직장, 가정생활에 지장을 주어서 불안하다」 (M=2.474, SD=1.172) 였고, 두번째는 「수술을 하게 될까봐 불안하다」 (M=2.241, SD=1.268), 세번째는 「증상이 더 심해질까봐 불안하다」 (M=2.408, SD=1.191)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2. 불안요인간의 관계에서는 「신체적 요인과 관련된 불안」 (M=2.292, SD=0.823), 「사회경제적 요인과 관련된 불안」 (M=2.274 SD=0.794), 「의료인과 관련된 불안」 (M=1.821, SD=0.680) ,「병환경과 관련된 불안」 (M= 1.808, SD=0.668)순으로 나타났고 이들은 P< 0.002 수준에서 순상관관계를 보였다. 3. 환자의 특성에 따른 불안정도를 보면 성별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M=58.9211, SD=16.222:M=52.0789, SD=17.486), 연령은 평균연령 36세 미만에서 36세 이상보다(M=56.0851, SD=15.335:M=54.5517, SD=19.892), 결혼상태는 결혼한 사람이 미혼인 사람보다 (M=55.5581, SD=19.307:M=55.4242, SD=14.011) 불안이 높게 나타났으며 종교는 종교가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M=59.9024, SD=19.326:M=50.3429, SD=12.454) 불안이 높게 나타났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1) 학력은 고졸이상이 중졸이하보다(M=57.3696, SD=17.448:M=52.6333, SD=16.435), 직업은 직업이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 보다(M=55.7391, SD=17.967:M=55.1333, SD=15.980), 보험유무에서는 보험이 있는 사람이 없는 사람보다(M=56.2500, SD=17.017:M=52.6875, SD=17.689), 내원횟수는 2회 이상 내원한 사람이 처음 내원한 사람보다(M=63.6000, SD=19.315: M=50.2174, SD=13.223 ) 불안이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2) 내원시간은 오후 8시에서 오전 8시 사이에 내원한 사람이 오전 8시에서 오후 8시 사이에 내원한 사람보다(M=57.2692, SD=19.042:M=54.5800, SD=16.131), 내원동기는 장기질환이나 다른병원에서 이송된 사람이 급환이나 사고환자보다(M=65.1538, SD=20.379:M=51..8519, SD=12.2998:M=54.7500, SD=18.0719), 질병의 심각도는 1, 2순위의 심각도를 가진 사람이 3순위의 심각도를 가진 사람보다(M=58.5476, SD=18.112:M=51.7353, SD=15.192) 불안이 높게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하여 갑작스런 질병이나 사고, 장기질환으로 응급실을 내원하는 환자는 질병자체, 의료인. 병원환경, 사회경제적 문제에 대해 불안을 가지고 있고 또한 질병자체에 관한 불안이 가장 높으며 이들은 상관관계가 있다는 사실에 비추어 의료인의 환자에 대한 올바른 태도, 환자의 안정에 영향을 미치는 병원환경의 조절, 사회적인 지지등을 통한 중재로 질병으로 인한 불만을 감소시킬 수 있다는 것을 예측할 수 있다.;The more complex and technologically advanced social life becomes, the greater the number of patients needing emergency care for accidents and life stress. These phenomena may create psychological changes and social problems for the persons involved. This study tried to provide database for nursing intervention to reduce anxiety of patient, to identify the level of anxiety of patient in emergency room. A questionnaire was administered to 76 emergency care patients in four general hospitals in Seoul between April 4th and 20th, 1987 The questionnaire was based on the Hospital Anxiety Scale developed by Beverly 3. Volicer and M.W. Bohannon, revised according to the nursing literature and clinical observations and in consultation with four, clinicious and nursing educators, and refined affer as pretest with patients in emergency room. Data was analyzed in a SPSS program using the t-test,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Results included the following: 1. The item patients reported causing them the most anxiety was "I wonder whether I will be able to live a normal life." (M=2.474, SD=1.205) and "I wonder whether I will have difficulty carrying an at school, home or at work." (M=2.474, SD=1.172) Next, "I wonder whether I will have to have an operation." (M=2.421, SD=1.268), "I wonder whether the symptoms are getting worse." (M=2.408, SD=1.191) were ranked. 2. The result of anxiety factor, "Physical factor" (M=2.292, SD=0.823) "social and economic factor." (M=2.274, SD=0.794), "factor pertaining to medical team" (M=l.821, SD=0.680), "Hospital environmental factor" (M=1.808, SD=0.668) were ranked orderly and they have positive relationships in level of P<0.002. 3. The level of anxiety according to characteristics of patient was as follows; sex : woman more than man (M=58,9211, SD=16.222 : M=52,0789, SD=17.486) age : mean age - 36 ↑ (M=54.5581, SD=19892) 36 ↓ (M=56.0851, SD=15.335) marital status : married person more than unmarried person (M=55.5581, SD=19.307 : M=55.4242, SD=14.011) religion : religious person more than nonreligious person (M=59.9024, SD=19.326: M=50.3429, SD=12.454) education level : graduate of high school more than graduate of middle school (M=57.3696, SD=17.448 : M=52.6333, SD=16.435) occupation : occupational person more than non occupational person (M=55.7391, SD=17.967: M=55.1333, SD=15.980) insurance : beneficiary more than nonbeneficiary (M=56.2500, SD=17.017: M=52.6875, SD=17.689) visiting experience : previous experience more than the first time (M=63.6000, SD=17.315 : M=50.2174, SD=13.223) visiting time : night time more than daytime (M=57.2692, SD=19.042 : M=54.5800, SD=16.131) visiting cause : chronic illness or transferation from another hospital more than emergencies or accidents (M=65.1538, SD=20.379: M=54.7500, SD=18.0719) severity of disease : the first and second priority more than the third priority (M=58.5476. SD=18.112 : M=51.7353. SD=15.192) Patients of emergency room have anxiety about physical, medical team, hospital environment, socio-economic problem and they have positive relationships. The most anxiety of them is physical problem. Thus, intervention through proper attitude to patients, control of hospital environment, social support is able to reduce physical anxiety or anxiety about diseas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