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문인숙-
dc.contributor.author이영희-
dc.creator이영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9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9Z-
dc.date.issued1987-
dc.identifier.otherOAK-00000001509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3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5092-
dc.description.abstract한국의 가족구조는 산업화 및 도시화에 따른 사회 변동의 영향으로 전통적 확대가족 구조에서 핵가족으로 변화하고 있으며 핵가족의 수가 점차 늘고 있다. 그러나 주거단위상으로 볼때 이미 핵가족화 되었다 하더라도 모든 면에서 완전히 독립되어 있는 것은 아니어서 확대가족적 성향도 부분적으로 유지되고 있다. 즉 물리적으로는 분가하여 부부 중심의 독자적인 생활을 영위하면서도 가족 기능 수행시에는 확대가족적 성향을 발휘하여 시부모나 친정부모로부터 영향을 받고 있는 것이다. 시부모 뿐만이 아니라 친정부모로부터도 영향을 받는다는 것은 핵가족화 해가는 과정에서의 하나의 부산물이라 할 수 있는데 전통적 사회에서 볼 수 있었던 부계만인 확대가족의 영향과는 다른 유형의 양계적 성향이 나타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가족 기능중 의사결정면에 있어서 친정부모의 영향력이 어느정도 행사되고 있는지 또 시부모나 친정부모중 어느쪽의 영향력 행사가 더 큰가를 실증조사를 통하여 알아보았다. 본 연구자는 의사결정의 영역을 가족계획, 자녀관계, 가족행사, 재산관리, 살림관리, 사회참여 그리고 시가 및 친가와의 관계들에 한정시켰으며 이에 영향을 미치는 가족환경 변수로는 주부의 연령, 교육수준, 직업유무, 월평균수입, 형제순위, 시가 및 친가와의 거리, 시부모 및 친정부모로부터의 도움여부, 그리고 시부모 및 친정부모를 돕는 여부 등을 보았다. 연구방법으로는 서울시 아파트에 거주하며 시부모나 친정부모 가운데 한분이라도 생존해 있는 핵가족의 주부 32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SAS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System) 을 이용하여 통계 처리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시부모와 친정부모의 영향력을 전반적으로 비교해 보면 시부모의 영향력이 친정부모의 영향력보다 크다는 것이 P<0.01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타났다. 세부적으로 의사결정의 영역을 구분해 볼때 가족계획, 자녀관계, 가족행사, 재산관리, 시가 및 친가와의 관계의 5개 영역의 의사결정시에는 시부모의 영향력이 친정부모의 영향력 보다 크다는 것이 P<0.01 수준에서 유의도를 보였으나 나머지 2개의 영역인 살림관리와 사회참여와 경우에는 P<0.05 수준에도 미치지 못하여 시부모의 영향력이 친정부모의 영향력 보다 더 크지는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가족환경변수와 시부모와 친정부모가 의사결정에 미치는 영향력과의 상관관계의 검증결과에 따르면 전통적인 시부모의 영향력의 범위가 축소되어가고 있는 반면에 친정부모의 영향력의 범위가 확대되어가고 있는 경향을 보여주고 있다.;With rapid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in Korea today, the family structure has been steadily changing from traditionally oriented extended family to nuclear family. Along with increasing number of nuclear family, the husband-wife centered families are formed physically apart from the in-law families. However, this does not necessarily mean its complete independence from parents-in-law, particularly, in the area of decision-making on the family matters. The fact that both the parental groups, that is, the parents-in-law and the wife's parents, have influence upon nuclear family is different from the patriarchal family system in which the parents-in-law had been the sole factor in exercising influence upon the nuclear family. This paper attempts to study the following questions with empirical method; first, the degree of influence the wife's parents have on decision-making in a nuclear family and, secondly, the relative weight of influence being exercised by the two groups of parents. It is noted in the study that nuclear family decision-making covers the wide area of family planning, upbringing of children, major family events, property management, household management, social participation, and relationships with both parental groups. While these are dependent variables, explanatory variables are as follows: the age of housewife, her level of education, her occupation, the monthly average income of the family, seniority among brothers and sisters, the physical distance to the abode of each parental group, and the economic assistance available mutually between the nuclear family and the parental group o r groups. The analytical method employed in this study is based on sample survey with 320 observations, all dealing with housewives living at apartments in the metropolitan city of Seoul. These housewives have at least one parent surviving on either side. The data of these questionnaires are treated with Statistical Analysis Program System.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e analysis it is concluded that the parents-in-law generally have more influence upon the nuclear family than the wife's parents with under 1% level of statistical significance. To be more specific, five out of seven decision-making variables such as family planning, upbringing and education of children, major family events, property management, and relationships with both parental groups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1% level, whereas the remaining two decision-making variables, household management and social participation, a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at 5% level. As the correlation matrix of Appendix Ⅱ attached here shows, the correlation between explanatory variables and dependent variables clearly indicates that with decreasing dominant role on the part of parents-in-law, that of the wife's parents is becoming increasingly more influential to the decision-making in a nuclear fami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ⅰ 논문개요 = ⅳ Ⅰ. 서론 = 1 A. 문제 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3 C.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4 Ⅱ. 이론적 배경 = 6 Ⅲ. 조사 방법 = 12 A. 표본 추출 방법 = 12 B. 조사도구 및 측정 방법 = 13 C. 자료 수집 = 15 D. 분석 방법 = 16 Ⅳ. 분석 결과 및 해석 = 17 A.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성격 = 17 B. 시부모의 영향력과 친정부모의 영향력 비교 = 22 C. 가족환경 제변수와 영향력의 상관관계 = 27 Ⅴ. 결론 = 39 참고문헌 = 44 부록 = 49 부록Ⅰ = 49 부록Ⅱ = 58 부록Ⅲ = 61 ABSTRACT = 6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924793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핵가족-
dc.subject의사결정-
dc.subject시가-
dc.subject친가-
dc.title핵가족의 의사결정에 미치는 시가 및 친가의 영향력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시 아파트 주부들을 대상으로-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ing Power Structure of Parents-In-Law and Wife's Parents on Nuclear Family : An Empirical Study-
dc.format.page7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87.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