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9 Download: 0

국민학교 국어과 언어 지식 학습내용에 관한 연구

Title
국민학교 국어과 언어 지식 학습내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Linguistic Knowledge in Elementary School Korean : with the 3rd, 4th, and 5th curriculums and textbooks as the major subjects of investigation
Authors
류덕엽
Issue Date
1989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어학교육전공한국어교육분야
Keywords
국민학교국어과언어지식학습내용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붕배
Abstract
모든 언어는 각기 일정한 형식과 체계를 가지고 있으며 언어를 통한 표현과 이해는 이 체계를 통하여 이루어진다.그러므로 발음, 글자, 어휘, 구문 등의 언어 지식의 체계를 바르게 지도하는 일은 언어교육의 필수적인 과제라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국어과 교육과정에는 언어 지식에 관한 내용이 설정되고 있다. 그런데 언어 행동에 중점을 두되 언어 체계를 부수적으로 하는 관점에서 편성되었던 제 3차 교육과정과는 달리 제4·5차 교육과정에는 표현·이해의 능력 신장에 도움을 주기 위한 내용으로서 '언어' 영역이 따로 선정·조직되어 있다. 교육과정은 구체적이고 실질적인 교육의 뼈대로서 교육의 방향, 내용, 방법, 평가 등을 이끌고 가는 막대한 영향력을 가지고 있으므로 다각적이면서도 상세하게 검토되고 논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본 연구는 국민학교 국어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있어서 언어 지식 내용의 바람직한 설정을 위하여 제 3·4·5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언어 지식의 요소들을 분석·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내용으로서 첫째, 국민학교 국어과 교육과정상에 나타난 언어 지식 요소들을 사적(史的)으로 비교하여 그 변천 양상을 살펴보고, 둘째, 교육과정별로 각 학년 단계에 따른 연계성을 중학교 단계까지 관련지어 살펴보았으며, 셋째, 교육과정의 언어 지식 내용이 교과서에 반영된 정도를 고찰하였다. 이상과 같은 연구로써 도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에 설정된 언어 지식의 요소들을 글자, 발음, 어휘, 구문으로 나누어 각 교육과정별로 비교해본 결과, 제 3·4차 교육과정에 비하여 제 5차 교육과정 언어 지식 내용이 비교적 체계적으로 제시되어 있다. 둘째, 국민학교와 중학교 단계에서 언어 지식의 학년별 연계성을 살펴본 결과 제 3차 교육과정의 경우는 각 요소들이 단계적으로 반복·심화되는 바람직한 경향을 보이고 있는데, 제 4차 교육과정의 경우는 학년간 단계에서 주로 추가된 내용이 설정되어 고학년으로 갈수록 실제 학습량이 많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 제 5차 교육과정의 경우 국민학교 단계에서는 추가되는 내용이 많고, 중학교 단계에서는 반복성이 두드러지고 있다. 셋째, 교육과정과 교과서에 제시된 언어 지식의 학년별 내용을 대조해본 결과 교육과정과 교과서가 서로 일치되지 않는 것이 상당수에 이른다. 이는 제 3·4·5차 교육과정에서 모두 드러나는 현상으로서, 학년 구분이 일치하지 않는 경우, 교육과정에 제시되지 않는 내용이 교과서에 실려 있는 경우, 교육과정에 제시된 내용이 교과서에 실려 있지 않는 경우 등이 있다. 이상과 같은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서는 교육의 토대가 되는 교육과정의 언어 지식 내용이 학교급별 및 학년별 발달 단계와 부합되도록 설정되고 조직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육과정에 제시된 '언어' 영역의 목표 및 내용이 교과서에 충실히 반영되어야 할 것이다.;Every language has its own system or rules, through which linguistic meanings are expressed and understood. Therefore, it can be confidently said that it is very important to teach the linguistic norm or rules, including pronunciation, spelling, vocabularies, structures, and so on, correctly and accurately. For this reason, 'linguistic knowledge' has been established as an essential part of teaching Korean in the Korean-teaching curriculums. In addition, contrary to the 3rd Korean-teaching curriculum, which puts an emphasis on 'linguistic behavior (utterances)' and in which 'linguistic system' is secondary, the 4th and 5th Korean-teaching curriculums both have established the part of 'language' separately and independently in them, and regarded it as a guide to improving the ability to express and understand linguistic meanings. On the other hand, a curriculum - the concrete and practical essence of education - has a great influence on education. So the curriculum has to be precisely investigated, and properly and fully discussed. This study lays stress on investigating the elements of linguistic knowledge carefully to establish the adequate range of linguistic knowledge for the Korean-teaching curriculum and Korean textbooks which can be used in elementary school stages. The following methods are taken in this research. First, this study examines and compares the elements of linguistic knowledge in the three Korean-teaching curriculums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hen finds out the changes of the elements related to linguistic knowledge in those curriculums. Second, this study investigates how closely each element of linguistic knowledge is connected between all the states of development from the elementary school to the middle school. Third, this study considers how much the details of the curricula are actually reflected on the textbooks for students in each grade. This research shows the following facts. First, the 5th Korean-teaching curriculum establishes the elements of linguistic knowledge more concretely and systematically than the 3rd and 4th curriculums do. Second, each element of linguistic knowledge in the 3rd curriculum shows a desirable tendency to be generally repeated and gradually developed. In the 4th, some new elements are added in each grade. As the result, the higher a student's grade becomes, the more the student has to study linguistic knowledge. In the 5th, the curriculum for th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hows the addition of some new elements in each grade, but the curriculum for the middle school students shows the repetition of each element conspicuously. Third, as contrasted by the standard of each grade, linguistic knowledge established in curriculums and linguistic materials actually displayed in textbooks show a great many differences, which is common to the 3rd, 4th, and 5th curriculums. For example, the materials included in the textbooks for each grade are not arranged according to the related curriculums. Besides, linguistic knowledge not established in curriculums is displayed in textbooks, and vice versa. From the point of these evident facts, it can be concluded that to overcome the problems which have been treated and discussed in this research, the Korean-teaching curriculum has to be chosen prudently and established properly, and the curriculum has to be suitable for each developmental stage from the elementary school to the middle school. In addition, the curriculum has to be reflected on textbooks substantially and perfect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