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4 Download: 0

高等學校 合唱敎育에 관한 硏究

Title
高等學校 合唱敎育에 관한 硏究
Other Titles
(A) STUDY ON CHORAL TEACHING IN HIGH SCHOOL
Authors
李松梅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교육전공
Keywords
고등학교합창교육음악교육CHORAL TEACHING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태열
Abstract
Although every curriculum has some or other significance of its own, of primary importance above all are the art courses, since prominent among formulations of objectives in education we usually find some such statement as the following: "to enlarge human spiritual capability, and cultivate our creative power and enriched emotion with a view to moulding a proper personality." The priority among the art courses given by students would account for music being the vigorous agency for everyone's feelings of happiness. Thus music teaching in high school has a more enhanced significance because it covers the students who are in the most sensitive period of life. Although it has been allowed that music teaching is necessary for some talented students to develop their special ability and that other students are to be satisfied with the opportunity of listening and appreciation, it is in choral activity where every student is able to take part in an active course of music, enjoying and singing in unison. The first requirement for an appropriate activity of choral teaching may be well provided for in teachers' enthusiastic attitudes, with which the teachers' vigour can satisfy the laborsome constant control of students' activities and their harmony of voices. Secondly, the teacher should be able to select from and and deal with proper texts, because more successful choral teaching may be accomplished by means of well selected pieces of music. According to the above mentioned principles, this thesis aims at the development of the choral teaching method, by investigating the degree of teachers, interest in chorus teaching in high school and surveying the problems through analysing the pieces of choral music involved in high school music text. In this thesis the first chapter is devoted to investigating the degree of high school music teachers' interest in choral teaching, and the problems concerned, and the second chapter, to surveying the problems brought up from the analysis of trios and quarters among 12 pieces in the high school music text book. The methodology adopted here is as follows: at first the reference data concerned are delved from the investigation of the present state of choral teaching by means of the questionnaire which is given to the teachers in active service in the Seoul area and in the vicinity of Kyong-Ki-Do. Secondly, through the detailed analysts of choruses in music text book, the problems concerned are presented. As a conclusion it may be suggested that although music teachers' interest in chorus teaching is very great, in reality they do not carry out satisfactory choral teaching. Above all it can be taken into consideration that the teachers' pedagogical exercise, the lukewarm financial support by the authorities concerned and the students' lower musical level are not fitted for our expectations. In addition it may be indicated as problems that most of the choruses as the basic materials for choral teaching are simple in crordal composition and there are some portions where the accent between melody and text is not corresponding, and that the form of chorus music ate fixed in limited frame and that there are occasional pieces of chorus in which the use of chord is not suitable. If school education as a whole is expected to be accomplisher only in the form of a trinity, namely, teacher, student, and text book, the music text book is the foundation of musical activities and this is the fundamental element saying the teachers' time to contrive out the text material and idea for it. Moreover, choral teaching is a field hard to lead with poor materials. Music education in school will be developed, provided that a devoted teacher leads the teaching activity with a text book suitable for every student's participation.;학생들이 학교에서 배우는 교육과정은 모두 다 중요하다. 그 중에서도 예술과목들은 무시할 수 없는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그것은 우리 인간의 정신세계를 수양시키고 인격형성을 위한 신선한 창작능력과 풍부한 감정을 개발시키는 정서교육이기 때문이다. 예술과목에서 더욱 두드러지게 학생들의 호응을 얻는것이 음악이 아닌가 생각된다. 음악은 누구나를 즐겁게 해 주는 활력적 요소이기 때문이다. 고등학교 음악교육은 가장 민감한 시기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이므로 매우 중요하다. 간혹 음악은, 몇몇 재질있는 학생들의 특기교육으로만 필요한 것으로 잘못 인식되고 그외의 학생들은 듣고 즐기는 것으로 만족하는 경우를 본다. 이것은 학교의 음악교육에서 전 학생이 활동할 수 있는 분야를 소홀히 다루었는가를 생각해 볼 문제이다. 모든 학생들이 동참의식을 가지고 즐길 수 있는 분야는 합창교육이라고 본다. 합창교육이 활발하게 이루어 질 수 있는 요소로는 첫째, 교사의 열성적인 관심을 말할 수 있다. 전체 학생의 동태 파악과 소리의 어울림을 들으면서 세밀하게 지도하려면 상당히 정렬적이어야 하기 때문이다. 둘째로 합창교육의 자료가 되는 교과서를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 만족할만한 내용의 합창곡은 성공적인 합창곡을 이룰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서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등학교 합창교육에 대한 음악 교사들의 관심도와 현황을 검토하고 고등학교 음악 교과서의 합창곡을 분석하여 합창교육 분야의 문제점을 밝혀봄으로서 합창교육의 발전을 모색하자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에서 제2장은 고등학교 음악교사들의 합창교육에 대한 실태와 문제점을 연구하였고 제3장은 음악교과서에 있는 12곡의 3부, 4부 합창곡을 분석하여 그에 따른 문제점을 연구하였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서울지역과 인근의 경기지역에 근무하는 현직 고등학교 음악교사들에게 합창교육 현황을 질문지로 조사하여 그에 따른 문제점을 발견하는 참고자료로 하였고 음악교과서의 합창곡을 세부적으로 분석하여 교과서안의 합창곡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제 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으로 우리나라 고등학교 음악교사들의 합창지도에 따른 관심도는 매우 높으나 실제로는 만족할만한 합창교육을 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교사들의 교수활동이 관심만큼 미치지 못하는 원인은 미온적인 학교지원의 배경, 학생들의 저조한 음악수준, 교사자신의 실천력 부족등을 들 수 있겠다. 그리고 음악교육의 기초자료가 되는 교과서내의 합창곡에도 몇가지 문제점을 발견할 수 있다. 그것은 합창곡 대부분이 원래의 합창곡이 아닌 편곡된 곡이며 화음구성이 단순하고 가락과 가사의 액센트가 일치하지 않은곳이 있고 곡의 형식이 2부 또는 3부 가요형식의 틀안에 고정되다싶이 하였고 화성의 쓰임이 간혹 부적당한 곡들도 있다는 것이다. 학교의 모든 교육은 교사와 학생, 그리고 교과서의 삼위일체로 이루어진다고 볼 때 음악교과서는 노래와 그외의 음악적인 활동을 마련해 주는 원천이다. 그리고 교사가 자료와 착상을 모색하는 시간을 아낄 수 있는 근본 요소이다.^(1)) 더욱이 합창교육은 자료의 빈곤으로는 이끌어 가기 힘든 분야이다. 사명감을 가진 교사가 모든 학생이 참여할 수 있는 전체적인 합창교육을 수준에 맞는 음악교과서를 지침으로 이끌어 나아갈 때 학교의 음악교육은 보다 성숙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