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병호-
dc.contributor.author宋銘姬-
dc.creator宋銘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1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60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20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604-
dc.description.abstract巫俗은 民衆속에서 춤과 노래로써 하늘과 땅, 神靈과 人間이 하나로 되어 새로운 生命과 文化를 창조하는 原始民間 信仰으로 남아 오늘날까지 傳來된 것이다. 巫俗의 類型중에서 死靈굿은 삶과 죽음의 분리를 圖謀하여 死者의 極樂天道와 生者의 發福을 祈願하는 굿이다. 이러한 祭儀式을 통해서 죽음을 자연의 속성으로 받아들이고 자기에게 주어진 삶 속에서 죽음이라는 限界를 극복해 내려는 意志가 死靈굿이 지닌 중요한 意味이다. 死靈굿인 서울진오귀굿과 평안도다리굿, 동해안수망오귀굿은 巫堂의 性洛에 따라서 祭儀式에는 많은 차이점이 발견된다. 서울진오귀굿과 평안도다리굿은 神이 巫堂에게 내림으로써 巫病않을 앓고 巫堂이 된 降神巫이다. 巫堂은 神의 자격으로 굿을 주관하게 되며 巫舞는 접신을 위한 주술적인 수단으로 나타난다. 동해안수망오귀굿은 代代로 司祭觀이 계승되어 人爲的으로 成巫한 世襲巫이다. 巫堂은 人問의 자격으로 神에게 축원하는 성격의 굿을 주관하므로 巫舞는 축원적인 예능의 요소가 豊富하다. 또한 서울진오귀굿과 평안도다리굿, 그리고 동해안수망오귀굿의 굿춤에는 각기 나름대로는 특이한 춤사위의 형태가 있다. 서울진오귀굿 '도드림'의 독특한 Step이 사용되며, 跳舞가 많이 사용된다. 돋음型과 공수를 하기 前에 왼쪽으로 '워 '하면서 360°회전하는 특색이 있다. 평안도다리굿은 발디딤이 곱고 기본적인 형태가 혼합된 움직임으로 되어 있다. 도약의 효과를 높히기 위해서 '坐 '의 類型이 많이 사용되며 단순한 춤사위가 여러번 반복된다. 동해안수망오귀굿은 娛神의 기능이 발달되어 예능적으로 세련되어 있다. 겹디딤과 자진발의 step이 사용되며 동작이 다양하게 쓰여진다. 이상으로 볼 때 우리 춤의 脈絡은 基層文化에서 자연발생적으로 뿌리 내렸던 巫舞에서 찾을 수 있겠다. 오늘날 한국무용을 낳게 해 준 母體는 宗敎儀式에서 시작된 巫舞라고 할 수 있으므로 地域에 따라 다양하게 분포되어 있는 巫舞를 조직적으로 비교, 연구하는 것은 한국무용의 체계화와 창작작업에 중요한 意味를 지닌다고 하겠다.;Shamanism remained and was transmitted up to this time asa form of primitive popular beliefs which create new life and culture by heaven and earth or the divinity and the mortal being in a body with dance and song. Out of types of shamanism 'Sha-Roung-Gud' devises to seperate life and death and the shaman prays for a departed soul's euthanasis and a living person's favorable change in fortune. Through these rites, a mortal would accept death as a natural course and have will to overcome the limit of death in his own given life. This is the important meaning of 'Sha-Roung-Gud'.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shaman, there are many differences in rites of 'Sha-Roung-Gud' such as Seoul 'Jin-O-Gwee-Gud', 'Pyong-An-Do-Dari-Gud' and East coastal 'Su-Mang-O-Gwee-Gud'. Seoul 'Jin-O-Gwee-Gud', and 'Pyong-An-Do-Dari-Gud' are among the servies of divinity descending shaman. In these Guds, a person who was divined and suffered from exorsistic desease and become a shaman. The shaman holds Gud as a god, and shaman dance appears the incantatory means for being possessed by a spirit. East coastal 'Su-Mang-0-Gwee-Gud' is among the servies of divinity hereditary shaman. In this Gud, the shaman inherited the power of a celebrant from generation to generation and achieved her dance artificially. As the shaman holds gud as a man to pray to Gud, shaman dance have a lot of artistic elements. There is it's own peculiar type of movement in 'Gud-dance' of Seoul 'Jin-O-Gwee-Gud', 'Pyong-An-Do-Dari-Gud' and East costal 'Su-Mang-O-Gwee-Gud'. In Seoul 'Jin-O-Gwee-Gud' there is an unique step "Dodrim" and movement of foot is used very much. Another feature is the movement of turning as much an 360° shouting "Whua" before turning and language. In 'Pyong-An-Do-Dari-Gud' the movement of foot is very fine and the primary type is composed of compounded movements. To increase the effect of Jump, the position of "Ja" is much used and simple movements are repeated many times. East coastal 'Su-Mang-O-Gwee-Gud' is artificially refined as the function of Gud of entertainment is developed. There are double stepping and fast stepping and movements are used variously. As mentioned above, the veins of our dance could be found in shaman dance which has taken root in fundamental culture naturally. The mother of Korean dances of nowadays dare to called shaman dance originating from religious rites. Therefore it would be very meaningful to compare and research shaman dance systematically which is distributed in many regions variously for organization and creative work of Korean danc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ⅵ Ⅰ. 緖論 = 1 A. 硏究目的 = 1 B. 硏究方法과 對象 = 3 Ⅱ. 巫俗의 理論的 背景 = 4 A. 巫俗의 槪念 = 4 B. 巫堂의 形成 = 7 Ⅲ. 3個地域 巫俗의 實態 = 11 A. 굿의 由來와 目的 = 11 B. 굿의 祭儀節次 = 14 C. 굿의 形式 = 27 1. 巫服과 巫具 = 27 2. 巫樂 = 30 3. 巫歌 = 33 4. 神堂 = 34 Ⅳ. 3個地域굿의 춤에 대한 考察 = 37 A. 춤의 形態와 機能 = 37 1. 춤의 形態 = 37 2. 춤의 機能 = 41 B. 춤사위 = 43 1. 步法(발동작) = 43 가. 서울진오귀굿 = 44 나. 평안도 다리굿 = 52 다. 동해안 수망오귀굿 = 57 2. 춤사위의 構造 = 59 가. 춤사위의 動作素 = 59 나. 動作素의 配列 = 60 다. 춤사위의 構造表 = 62 3. 3個地域 굿춤의 特性 比較 = 63 가. 굿춤의 形態와 機能 = 63 나. 춤사위 = 67 다. 춤사위 構造의 分析 = 70 Ⅴ. 結論 = 75 參考文獻 = 78 ABSTRACT = 7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534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사령굿-
dc.subject무무-
dc.subject서울진오귀굿-
dc.subject평안도 다리굿-
dc.subject동해안 수망오귀굿-
dc.subject.ddc700-
dc.title死靈굿의 巫舞에 관한 硏究-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서울진오귀굿, 평안도 다리굿, 동해안 수망오귀굿을 中心으로-
dc.title.translatedComparative Study for Shaman Dances of 'Sha-Roung-Cud' : Focusing on shamanism of Seoul, Pyong-An province and east coastal region-
dc.format.page8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