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명흥-
dc.contributor.author이신영-
dc.creator이신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3Z-
dc.date.issued1983-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02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17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022-
dc.description.abstract산업화·도시화로 인해 점차 핵가족화됨에 따라 가정의 중추가 되는 부부관계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되고 있다. 부부는 교육, 종교, 성장과정, 가정환경등의 이유로 생활조건과 경험이 다른 남녀의 결합이므로 결혼생활의 상호적응 과정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갈등과 충돌이 있게 마련이다. 그런데 갈등으로 인해 부부관계가 원만하지 못하면 가족구성원들에게 영향을 끼쳐 문제아나 가출 혹은 비행 청소년을 유발시키기도 하며, 또는 부부갈등이 심화되어 이혼위기에 까지 도달하게 된다. 따라서 본 논문은 부부갈등의 요인에 관한 연구를 통해 갈등을 감소 또는 제거시켜 원만한 부부관계를 이루도록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방법으로는 결혼한지 5년 이하의 주부 300명을 대상으로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고,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인자분석과 중다회귀분석 등의 통계처리를 하였다. 조사결과를 보면 이론적으로 연구된 부부갈등 요인들 즉 시가족, 성격, 경제력, 커뮤니케이션 요인들이 인자분석을 통해 실질적으로 검증되었다. 그리고 중다회귀분석 결과는 갈등요인들이 P < 0.01 수준에서 모두 유의적으로 나타났으며, 부부갈등의 43%를 설명해 주었다. 또 커뮤니케이션 요인이 부부갈등에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다음이 성격, 시가족, 경제적 요인이었다. 이러한 부부갈등을 줄이거나 해소시키기 위해서는 가정, 학교, 사회에서 결혼에 관한 교육이 실시되어 결혼에 대한 올바른 지식 및 결혼관을 심어주어야 하겠고, 갈등을 자발적으로 해결하지 못하고 도움을 요청하는 사람들을 위해 전문적 지식과 기술을 사용한 상담이 요구된다.;The major attempt of this study is to ascertain whether significant relationships can in fact be found between the marital conflict and in-laws, communication, economy, and character. The data in this study are obtained from a survey by means of a questionnaire to 210 married woman.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applied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Each of the four independent variables were regressed on the marital conflict. The mathematical model for all analyses was Y = a + b_(1) X_(1) + b_(2) X_(2) + b_(3) X_(3) + b_(4) X_(4) + e where Y is the dependent variable, X_(1) is the in-laws, X_(2) is the character, X_(3) is the communication, X_(4) is the economy. The multiple correlation coefficient, which is the product moment correlation between observed dependent variable and independent variable, was R = 0.65770, and the model accounts for 43 percent of the total variance in the marital conflict. The F-ratio for the full model was 39.07032 with 4 and 205 degrees of freedom at probability 99 percentile confidence. The computed F-ratios for the independent variables all exceeded the critical values (3.41) of standard which indicates the significant nature of variabl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ⅴ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 = 1 B. 연구의 범위 및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갈등의 정의 및 유형 = 6 B. 부부갈등과 갈등의 제요인 = 9 Ⅲ. 조사방법 및 절차 = 23 A. 표본 (Sample) = 23 B. 설문작성 및 사전조사 = 24 C. 자료수집 = 25 D. 통계모델 = 26 Ⅳ. 자료분석 및 결과 = 27 A.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성격 = 27 B. 부부갈등요인들의 실질적 검증 = 33 Ⅴ. 결론 = 45 참고문헌 = 47 ABSTRACT = 50 부록 =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219729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결혼초기-
dc.subject부부갈등-
dc.subjectConflict Marriage-
dc.title결혼초기의 부부갈등에 관한 조사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Marital Conflict in the Early of the Marriage-
dc.format.page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회사업학과-
dc.date.awarded1984.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