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신단려-
dc.creator신단려-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3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32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016-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17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016-
dc.description.abstractIn human being, the initial experience has an important meaning for the physical intellectual, and personality development, especially the experience in interaction between mother & neonate through early contact. The development of mother-infant interaction is influenced by environmental factors, capacity for the acceptance of maternal role during postpartum period, delivery of desired baby, anxiety, and physical separation. If the chance for the formation of attachment is deprived in early postpartum period when the attachment formation is sensitive, the chance for the attachment disappears forever, and its effect persists and influences persistently on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hild and the ability as a role of mother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nursing intervention which improves the mother-infant relationship and maternal bonding for this high-risk infant's mother to whom the physical separation is inevitable, with investigation of mater nal bonding behaviors during the early postpartum period. The data was collected from Mar. 7th, 1985, April, 3rd, 1985, at the N hospital and S hospital. The sample was 31 of mothers who delivered high-risk neonate and 31 of mothers who delivered normal neonate. The degree of anxiety was measured with the Manifested Anxiety of Scale on. the 1st day of postpartum, maternal bonding behavior was directly observed on the 2nd day of postpartum. The data collected was analyzed by means of hundredth percentage, x^(2) test, t-rest, one way ANOVA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s. Results are as follow: 1. Maternal bonding behavior between normal neonate mother group and high-risk neonate mother group was not different. (p=O. 910) 2. In the language expression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normal neonate mother group and high-risk neonate mother group in which mothers have positively expressed to their normal neonate,(P=0.0003) 3. The normal neonate mother group visited more ealier (p=0.0417) and more frequently the nursery than the high-risk neonate mother group.(p=0.0220) 4 . Although there was no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anxiety between normal neonate mother group and high-risk neonate mother group, it was statistically evident that mothers with high degree of anxiety had low score of maternal bonding behavior as the result of analysis of maternal bonding behavior and the degree of mother's anxiety. (p=O, 00381) 5. The maternal banding behavior have no specific relations to the ages, educational backgrounds, religions, experiences of abortion and delivery of neonate's mothers as well as sex of neonate. The result showed, that high anxiety degree of mothers at early postpartum period is related and that in high-risk neonate mother group they use negative language and so there is more difficulty in bonding formation than normal neonate mother group Therefore, the disturbing factor of maternal-infant bonding formation and mother who has high degree of anxiety have to be immediately identified for maternal-infant care for the period of the early postpartum, and then, the appropriate nursing intervention which be able to cope with the disturbed situation should be followed.;인간에게 있어서 초기 경험은 그들의 신체,지능,성격의 발달에 중요한 의미를 가지며 특히 분만후 어머니와 신생아간에 조기 접촉에 의한 상호작용의 경험은 매우 중요하다. 산욕기 초기는 어머니가 신생아와 애착을 형성하는 중요한 시기로 확인되어 왔다. 이 시기에 애착이 발생되지 않으면 모아유대관계에 어려움을 갖게 되어 성장기에 부정적인 결과가 초래된다. 인간의 성장과정에서 최초로 이루어지는 사회화 과정은 어머니와의 상호작용에서 이루어지며 아동의 발달 형성에 결정적인 영향을 끼치고 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다. 따라서 최근에는 신생아를 포함한 고 위험 신생아를 위한 기술적인 치료뿐만 아니라 건전한 모아 관계 형성을 위한 모아유대 (maternal infant bonding)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산욕기 초기 모성유대행위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서 어머니들에게 새로이 부가된 책임감에 대한 역할 변화로 올 수 있는 불안, 기대에 부합되지 않는 고 위험 신생아의 분만, 어머니와 신생아의 신체적인 분리의 측면에서 모성유대행위를 확인해 보는 것은 의의가 있다고 사료되어 1985년 3월 7일부터 4월 3일까지 S대학교 부속병원 신생아실과 K의료원 신생아실에서 정상 신생아와 고위험 신생아를 분만한 산모 62명을 대상으로 Hale(1977)에 의해 만들어진 모성유대행위 측정도구를 수정 보완하여 직접 관찰법으로 관찰 측정하였다. 대상 산모들의 정서상태인 불안도 측정은 Taylor(1953)의 Manifest Anxiety of Scale(M.A.S)을 사용하여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백분율, x^(2) test, t-test, one way ANOVA test, pearson 상관계수로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고 위험 신생아 어머니군과 정상 신생아 어머니 군의 모성유대행위 득점을 비교한 결과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 P=0.910) 2. 고 위험 신생아 어머니군과 정상 신생아 어머니군의 언어표현에서는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여 정상 신생아 어머니군이 고 위험 신생아 어머니군 보다 신생아에게 매우 긍정적인 언어표현을 나타내었다. (P=0.0003) 3. 고 위험 신생아 어머니군과 정상 신생아 어머니군의 신생아 방문시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 정상 신생아 어머니군이 고 위험 신생아 어머니군 보다 빨리 신생아와 접촉을 시도하였다. (P=0.0417) 또한 방문빈도에 있어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어 (P=0.0220) 정상 신생아 어머니군이 고 위험 신생아 어머니군 보다 방문빈도가 더 많았다. 4. 고 위험 신생아 어머니군과 정상 신생아 어머니군의 불안도를 확인한 결과 고 위험 신생아 어머니군의 불안도 평균은 19.84였고 정상 신생아 어머니군의 불안도 평균은 17.74로서 두 군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전체 대상 어머니들의 불안정도와 모성유대행위와의 분석결과는 불안도가 높은 어머니에게서 모성유대행위가 낮게 나타났다. (P=0.00381) 5. 신생아 어머니들의 연령별, 학력별, 종교별, 유산경험별, 분만경험별 및 신생아 성별과 모성유대행위와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3 C. 가설 = 4 D. 용어정의 = 4 Ⅱ. 이론적 배경 = 6 A. 애착, 모성유대행위 = 6 B. 모성유대행위 과정의 영향요소 = 9 Ⅲ. 연구방법 = 12 A. 연구대상 = 12 B. 연구도구 = 12 C. 자료수집방법 = 13 D.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 14 E. 연구의 제한점 = 14 Ⅳ. 연구결과 및 고찰 = 15 A.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15 B. 산욕기 초기 정상 신생아 어머니군과 고 위험 신생아 어머니군의 유대행위 = 17 C. 정상 신생아 어머니군과 고 위험 신생아 어머니군의 신생아에 대한 언어표현 = 18 D. 정상 신생아 어머니군과 고 위험 신생아 어머니군의 분만후 첫 방문시간과 방문빈도 = 19 E. 대상어머니들의 불안정도와 모성유대행위 관계분석 = 21 F. 대상 어머니들의 일반적인 특성에 따른 모성유대행위 분석 = 22 고찰 = 24 Ⅴ. 결론 및 제언 = 27 참고문헌 = 29 부록 = 35 ABSTRACT = 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780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고위험신생아-
dc.subject어머니-
dc.subject정상신생아-
dc.subject모성애-
dc.title고위험신생아 어머니군과 정상신생아 어머니군의 모성유대 행위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maternal bounding behavior of mother with high- risk neonate and normal neonate-
dc.format.pagevii, 4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간호교육전공-
dc.date.awarded198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간호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