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태련-
dc.contributor.author나혜영-
dc.creator나혜영-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1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62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10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621-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e present study was to investigate development of young children's sex-role stereotypes and the influences 1 of home environmental factors. One hundred and thirty-five children aged 6 years are the subjects. The instrument was the revised sex stereotypes Measure developed by Williams, Bennett, Best (1975) & Lee sook (1982). Data analysis consisted of t-test & x^(2). The conclusions reached are as follows: 1. Boys acquired higher-masculine scores than girls, whereas, girls acquired higher feminine scores than boys. 2. Boys showed more masculine stereotypes, while girls showed more feminine stereotypes. 3. For boys,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masculine, feminine & androgynous scores according to social1 class, for girls, the variable of social class has influences on androgynous. scores. 4 . For boys, there a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children's masculine, feminine and androgynous scores according to birth order, but, for girls, the variable of birth order has influences on masculine & feminine scores.;본 연구는 우리나라 취학전 아동을 대상으로 가정환경 요인에 따른 성역할 고정관념의 발달 경향을 알아 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6세의 남녀 아동 135명이었으며 서울 시내에 있는 6개의 유치원 및 유아원에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아동용 성역할 고정관념 검사는 Williams, Bennett, Best(1975) 및 이 숙(1982)이 고안한 척도를 다소 수정을 가해서 사용하였다. 조사결과 수집된 자료는 평균치와 표준편차를 내고 차의 유의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t검증을 하였으며, 男女 性別에 다른 성역할 고정관념 형성의 差를 알아보기 위해 x^(2)(카이자승)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아동의 성별에 다른 男性性, 女性性 평균점수의 비교 결과 男性性 점수는 男兒가 더 높고, 女性性 점수는 女兒가 더 높은 경향을 나타냈다. 2) 男兒는 男性性 고정관념을 형성하고, 女兒는 女性性 고정관념을 형성하는 경향이 있었다. 3) 男兒, 女兒 모두 사회계층에 따른 男性性 점수 및 女性性 점수의 차이는 없었다. 兩性性 점수는 女兒에 한해서 중상류 계층과 하류계층 사이에 유의적인 차이가 있었다. 즉, 중상류 계층의 女兒가 하류계층의 女兒보다 더 높은 점수를 얻는 경향이 있었다. 4) 성역할 고정관념의 발달에 있어서 男兒의 경우, 출생순위에 따른 효과는 없었다. 그러나 女兒의 경우에 맏이는 막내보다 더 높은 男性性 점수를 얻는 경향이 있었으며, 막내는 맏이보다 더 높은 女性性 점수를 얻는 경향이 있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論文槪要 = ⅵ Ⅰ. 序論 = 1 A . 문제의 제기 = 1 B. 연구의 목적 = 3 C. 가설설정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성역할 개념의 변화 = 5 B. 성역할 발달의 이론 = 7 1. 生物學的 環境學的 견해 = 7 2. 同一視 理論 (Theories of identification) = 8 3. 社會學的 理論 (Social learning theory) = 10 4. 認知發生 理論 (Cognitive development theory) = 11 C. 선행연구 = 12 Ⅲ. 연구방법 및 절차 = 16 A. 연구대상 = 16 B. 도구 = 19 C. 절차 = 20 D. 자료처리 = 21 Ⅳ. 결과 및 해석 = 23 A. 아동의 性別에 따른 男性性, 女性性 평균점수의 비교 = 23 B. 사회계층 및 출생순위에 따른 男性性, 女性性 평균점수의 비교 = 24 1. 사회계층에 따른 男性性, 女性性 평균점수의 비교 = 24 2. 출생순위에 따른 男性性, 女性性 평균점수의 비교 = 24 C. 사회계층 및 출생순위에 따른 兩性性 평균점수의비교 = 25 1. 사회계층에 따른 兩性性 평균점수의 비교 = 25 2. 출생순위에 따른 兩性性 평균점수의 비교 = 26 D. 性別에 따른 성역할 고정관념의 분포 = 27 Ⅴ. 결론 및 논의 = 28 참고문헌 = 31 부록 = 37 ABSTRACT = 5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0869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가정환경-
dc.subject교육학-
dc.subject성역할-
dc.subject고정관념-
dc.title가정환경 요인에 따른 성역할 고정관념의 발달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format.page6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교육심리분야-
dc.date.awarded1985.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심리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