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3 Download: 0

中等學校 繪畵表現의 深化를 위한 心像表現 類型 硏究 = ▼ (A) THEORETICAL STUDY ON THE PAINTERLY EXPRESSION STYLES FOR THE MIDDLE & HIGH SCHOOL ART EDUCATION

Title
中等學校 繪畵表現의 深化를 위한 心像表現 類型 硏究 = ▼ (A) THEORETICAL STUDY ON THE PAINTERLY EXPRESSION STYLES FOR THE MIDDLE & HIGH SCHOOL ART EDUCATION
Authors
曹昌愛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Keywords
중등학교회화표현심상표현미술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춘일
Abstract
H. Read(1893~1968)와 K.V.Lowenfeld(1903~1962)등 미술 교육가들은 금세기 벽두부터 미술교육의 혁신적인 변화를 주장 해 왔다. 이에 따라 미술교육의 지도 내용과 방법은 숱한 변화와 발전을 거듭 해 왔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이론과 방법 사이에는 깊은 심연이 가로 놓여 있다(de Francesco, 1962)^(1), 또한 과학사회, 수학과 등 타교과에 비교하여 볼때, 예체능의 경우 교수-학습의 실제는 격세지감이 있을 정도로 뒤져 있다. '내용'의 개선면에 있어서도 역시 그러하다. 피상적 개념적인 묘사, 사실적인 묘사에 미술지도의 내용을 심화, 발전시킬 수 있는 방안이 제시되어야 겠다. 특히 미술 교과서에 개성의 신장과 창의성의 발달을 도모해야 한다는 점에서, 상당한 비중을 차지해야 할 '心像的' 회화 표현이 현재 불과 10%에 미치고 있다. 학생들의 창의적이며, 새로운 표현을 지도 한다는 교육과정의 의도와는 상반되는 현상이다. 요컨대, 현재의 전통적, 피상적인 중고등학교 미술지도 내용을 좀 더 창의적이고 깊이있는 내용으로 재구성하고 발전시키기 위해서는 근본적이고 새로운 방안이 제시 되어야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중·고등학교에 있어서의 회화 지도 내용을 개선하기 위한 기초 연구로서, 무엇을 표현하도록 할 것인가 하는 '표현의 내용적' 측면과, 어떻게 나타내도록 할 것인가 하는, 표현 '양식적' 측면을 기본 관점으로 하여, 회화 지도내용을 이론적인 수준에서 유형적으로 제시하였다. 또한, 이 유형 설정 모델에 의하여, 현대 회화작품과 학생작품 및 중등학교 교과서 작품을 分類하여 그 타당성(분류기능)을 검토하여 보았다. 여러가지 풍부하고 새로운 회화 표현을 이루기 위해서는, 심상 표현의 제재가 다양화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학생들의 표현양식이 다양해질 수 있는 지도 방안을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기본 의의가 있다. 본 연구는 조형심리학적, 미술사적인 종·횡의 관점으로, 회화 표현을 폭 넓게 포괄하려고 시도하였다. 먼저, 주체의 내면을 표현하는 心像的 표현과, 자연 사물의 형상을 재현하는 物像的 표현으로 나누고, 이들을 비교 하였다. 心像的인 회화 표현의 유형은 다시 認知的 표현, 情意的 표현, 想像的 표현의 셋으로 분류 하였다. 첫째, 認知的 표현으로서는 개념 미술과 신고전주의를 중심으로 한 思念의 표현과, 인상파의 합리적 思考의 표현과 세잔느의 직관적 思考의 표현, 그리고 몽드리앙 등의 추상적 思考의 표현을 살폈다. 둘째, 情意的 표현은 고호, 마티스 등의 작품을 중심으로 밝은 정서의 표현과 어두운 정서의 표현으로 나누어 보았다. 셋째, 想像的 표현은 샤갈이나 앙리·룻소와 같은 신화, 꿈, 환상, 상상적인 표현을 다루었다. 이러한 이론적인 분류 기준에 따라 실제로 미술 작품을 분류하는 작업을 하였다. 즉 현대 회화작품 59점과, 학생작품 33점, 중등교과서의 회화작품 72점, 도합 164점을 분류하였다. 이러한 심상표현 유형이 미술지도 내용(회화지도 제재 제시)에 대하여 가지는 교육적 의의를 분석, 고찰하였다. 즉, 앞으로의 제재 제시의 심화 방안을 회화 지도와 관련하여 토론 하였다. 오늘날, 미술 지도교사들의 표현관의 빈곤이 회화 지도의 빈곤을 가져오고 이것이 다시 학생들의 회화표현의 고식적 개념화 내지 고정화 경향을 띄게 되어, 중고등학교 미술교육의 枯死化 현상을 빚어내고 있다. 풍부하고 다양한 회화 표현 유형을 연구함으로써, 교사들의 창의적인 표현 안목을 길러주고, 내용 제시의 발전을 도모하여, 결과적으로 폭넓고 깊이있는 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회화 표현 발전에 이바지하고 싶다.;From the beginning of this century, the Art educators inc1uding Read, H. and Lowenfeld, V., have emphasized importance of art education, but its Contents & methods still leave much to be desired. In this study, propriety of painterly expression styles are reviewed, by classifying modern paintings, student paintings and paintings in the textbooks, and thus presenting the expressional characteristics in the paintings. In the field of fine art education, teachers are required to understand widely and fully the various painterly expressions and its styles in order not to follow his only experience of college art education. Especially, he must exert himself to widen and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the imagery expressions which reveal inner world of human kinds. When students are presented a lot of paintings and painting works of references for their own appreciation rather than rhetoric lectures, their painting expression can be improved by better understanding. Painters in fine arts intend to express his perception of thoughts, feelings & passion through his personality. Fine art education in middle & high schools is desirable when the students understand imagery expression which is the expression of painter's feeling, his delight and his imagination, so as they desire to create their own expressions. For better education result in fine arts: 1) Teaching must be diversified and deepened in order for students to exert imagery expressions. 2) Teachers are recommended to guide students nit only by presenting textbook paintings but also by pursuing the possibility in imagery expressions. 3) Training capability to express creatively what is student's own expression must be emphasized. In conclusion, the more painterly expression styles are studied and understood, the better imagery expression styles are studied and understood, the better imagery expression can take pla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