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진경-
dc.contributor.author허향-
dc.creator허향-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1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02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607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029-
dc.description.abstractThis thesis was an attempt to verify partly causes of sex differences in Work Motivation and work behavior. For this purpose, many factors was divided into two parts: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In this study, the external factor was limitied to sexism in job conditions, and job characteristics. And the internal factor was limited to self-esteem on work. And the influences of the two factors were analyzed in the study.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collected in May, 1985, through the questionnaire survey with 292 women and men. The main contents of this study included the degree of sexism in job conditions, job characteristics, self-esteem on work, work motivation and work behavior.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Most women were working under disadventaged job conditions. These conditions influenced on women's work motivation and behavior. Thus, the conditions under which most women worked, made the sex difference in work motivation and behavior. 2. Job characteristics of most women were undesirable than men. These job characteristics influenced on women's work motivation and work behavior. And job characteristics had a correlation with the degree of sexism in job conditions. In other words, the more sexism was involved, the more the job characteristics were undesirable. 3. In self-esteem on work, most men were higher than women. This self-esteem influenced on work motivation, and partly on work behavior. The sexism and job characteristics influenced almost on work behaviors, while self-esteem influenced partly on work behaviors. 4. The sexism in job conditions, and self-esteem were not intercorrelated. Thus, these two factors influenced independently on work motivation and behavior. As mentioned abov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sex differences on work motivation and work behaviors were influenced by the sexism in job conditions and self-seteem on work. Especially, cause of sexism in job conditions are very important in forming sex differences of work motivation and work behavior. Most literatures showed that women's work motivation and behavior were influenced by sex roles. Bu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one must consider the influence of the sexism in understanding women's work motivation and behavior.;본 논문은 직무수행동기 및 직무행동에서의 성차의 원인을 부분적이나마 살펴봄으로써, 여성의 직업적 성취저하의 관련 요인을 일부나마 밝혀보고자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관련 요인을 크게 심리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으로 나누었다. 여기서 환경적 조건으로써는 근무조건의 성차별 정도와 직무성격정도를 살펴보았고 심리적 조건으로서는 직무에 대한 자부심및 자아개념 수준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조건들이 직무수행동기와 직무행동에서의 성차 형성과 어떠한 관련을 갖는가에 대해 파악하고자 했다. 본 연구의 방법으로는 8개의 직장을 선정하여 사무직 이상의 남녀 292명 (남: 121명, 여 : 181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통해 조사하였다. 연구의 내용에는 근무조건에서의 성차별 정도, 직무성격, 자부심 및 자아개념 수준, 직무수행동기및 직무행동수준이 포함되었다. 이들은 모두대상자의 인식을 통해 측정되었다. 조사 연구의 중요한 결과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대부분의 여성들은 근무조건에서 성차별을 심하게 받고 있다. 이러한 성차별은 직무수행동기및 직무행동에 중요한 영향을 주고 있다. 즉 성차별이 심한 환경일수록 직무수행동기는 저하되며 열등한 직무행동을 보인다. 둘째, 맡고 있는 직무 성격을 보면, 남성에 비해 여성들은 저급한 성격의 직무를 맡고 있다. 이러한 저급한 직무성격은 직무수행동기 및 행동에서의 성차를 형성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즉 직무성격이 바람직할수록 직무수행동기및 행동수준은 바람직하게 나타난다. 또한 직무성격은 환경의 성차별 정도와 깊은 관련을 보이고 있다. 즉 성차별이 심한 환경일수록 직무성격은 열악한 성격을 나타내는 경향이 있다. 셋째, 직무에 대한 자부심및 자아개념에 있어서, 여성보다 남성이 보다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자부심및 자아개념 수준은 직무수행동기에 영향을 주고 있다. 그러나 직무행동에서는 직무에 대한 노력도, 자발적인 수행량과 같은 일부의 직무행동 수준에만 영향을 미치고 있다. 성차별과 같은 외부적 환경 요인이 대부분의 직무행동수준을 결정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주는데 반해 자부심및 자아개념 수준은 일부의 직무행동수준에만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넷째, 환경의 성차별 정도와 직무에 대한 자부심 수준은 직무수행동기및 행동에 상호작용하여 영향을 주지 않고, 각각 독립적으로 영향을 주고 있다. 즉 근무조건에서 성차별이 적을수록 직무수행동기및 행동은 바람직하게 나타나며, 자부심이 높을수록 직무수행동기및 행동은 바람직하게 나타난다. 이상의 결과들은, 여성의 직무수행동기및 직무행동수준을 결정하는데 있어 근무조건에서의 성차별 정도는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이제까지의 대부분 연구에서는 여성의 직업적 성취수준을 단지 성역할에 근거한 원인으로 분석하여 왔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는, 여성의 직업적 성취행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성차별과 같은 환경적 영향이 반드시 고려되어져야만 한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문제제기 및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제한점 = 5 Ⅱ. 이론적 배경 = 7 A. 직무수행동기 개념및 직무행동의 표출 = 7 B. 여성과 성취지향 = 11 C. 조사 연구를 위한 분석률 = 24 Ⅲ. 연구문제 및 방법 = 27 A. 연구 문제 = 27 B. 연구 대상및 방법 = 28 C. 질문지 작성 = 29 Ⅳ. 결과 및 토의 = 31 A. 조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31 B. 직무수행 동기및 직무행동 수준 = 31 C. 근무조건에서의 성차별정도 및 직무수행동기와 직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41 D. 조사대상자의 직무성격 및 직무수행동기와 직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58 E. 직무에 대한 자부심 및 자아개념수준 및 직무수행동기와 직무행동에 미치는 영향 = 67 F. 직무수행동기와 직무행동간의 연관관계 = 73 G. 근무조건에서의 성차별정도와 자부심 수준과의 상호작용 영향 = 74 Ⅴ. 결론 = 77 참고문헌 = 81 부록 = 85 Abstact = 98-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96785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직장여성-
dc.subject직무행동-
dc.subject직무수행동기-
dc.subject성차별-
dc.subject자부심-
dc.subject.ddc300-
dc.title직장여성의 직무수행동기 및 직무행동에 관한 일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성차별적 근무조건과 직무에 대한 자부심이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A) study on women's work motivation and work behavior : influences of sexism in job conditions and self-esteem on work-
dc.format.page10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여성학과-
dc.date.awarded1985.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여성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