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1 Download: 0

우리나라 고등학교 생물교육 과정에 있어서 환경교육 개념의 발전에 관하여

Title
우리나라 고등학교 생물교육 과정에 있어서 환경교육 개념의 발전에 관하여
Other Titles
(A) research on the development and the introduction of environment education in our high school biology curriculum
Authors
박우민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과학교육전공생물교육분야
Keywords
고등학교생물교육생물교육과정환경교육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엄규백
Abstract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변천을 시대적으로 살펴보고 환경교육의 개념이 어떠한 형태로 도입되고 발전해 왔는가를 교수요목, 교과과정, 제1차 교육과정, 제2차 교육과정 및 제3차 교육과정을 조사·분석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우리나라 고등학교 교육과정은 1946년 공포된 교수요목으로 부터 시작하여 1955년의 교교과정, 1963년 제1차 교육과정, 1974년의 제2차 교육과정 및 1981년의 제3차 교육과정으로 이어져 오늘에 이르기까지 발전되어 왔다. ② 교수요목시대는 내용의 체계가 잡혀있지 않아 생태계의 영역이 여러 단원에서 많이 다루어지고 있고, 동·식물·채집과 표본에 역점을 두고 있다. ③ 교과과정시대는 "생물의 감각과 운동"의 단원하에 소단원으로 "환경과 생물"을 설정하여 생태계 영역을 다루고 있으며, 보건 영역이 하나의 단원으로 부각되었다. ④ 1차 교육과정에서는 생물Ⅰ과 Ⅱ에서 "생물과 환경"을 한 단원으로 설정하여 환경문제를 다루고 있다. 그러나 환경오염이나 자연보존 등과 같은 구체적인 문제가 교과서에 반영되고 있지는 않다. ⑤ 2차 교육과정에서는 "생물과 환경" 단원에서 개체·군집·생태계 등을 다루고 있으며 생태계내에서의 인간과 환경의 상호관계를 이해시키도록 하고 있다. ⑥ 3차 교육과정에서는 "자연보존", "인구", "자원의 이용과 보존",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독립된 단원으로 설정하고 있어 환경교육의 개념이 구체적으로 교과서에 반영·제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⑦ 그러나, 환경교육의 개념으로서 "인공환경", "환경보전", "환경의 질 향상"의 개념이 인류의 생존과 연관된 중요한 문제로 생물교과에 도입되어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 ⑧ 그리고 환경교육의 보다 큰 성과를 얻게 위해서는 학교교육과 연계되어 가정이나 사회를 통한 교육도 동시에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how is the concept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troduced and developed, and how is our high school curriculum changed by period order. The method of this study is investigation and analysis of the teaching syllabus, the subject course, the first, the second, and the third curriculum.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 curriculum of our high school was started from the teaching syllabus in 1946, and was succeeded by the course of subject in 1955, the first curriculum in 1963, the second in 1974, the thrid in 1981. Our curriculum is developed continually, through this process. 2. The various units deal with the areas of ecological world very much, because the teaching syllabus does not establish the system of contents. the collection and the specimen of animals and plants. 3. The subject course establishes 'the envirnment and the And the teaching syllabus emphasizes animate creations' as a small-unit, under the large-unit of 'the sense and the motion of an animate creation'. And the small-unit deal with the area of ecological world. Also the area of health is emphasized as a independent unit. 4. The first curriculum establishes 'the environment and the animate creation' as an independent unit in biology textbook Ⅰ and Ⅱ. And the unit deals with the environmental problems system atically. But the problems, such as the pollution of environment and the conservation of nature, etc, are not reflected to the textbook. 5. In the second curriculum, the unit of 'the environment and the animate creation' deal with an individual, a group, the ecological world, etc. And the correlation of human and environment is understood within the ecological world. 6. In the third curriculum, the problems, such as 'the conservation of nature', 'the population', 'the use and the conservation of resources' and 'the pollution of environment', are established as a unit. Through these we can know that the concept of evironmental education is reflected and presented to the textbook. 7. I think that the concepts of 'the artifical environment', 'the conservation of nature' and 'the improvement of environment's quality', as the concept of environment education, must be introduced to the course of biology as very important problems which relates to the existence of human. 8. The environmental education must depend not only on the school education, but also on the education of home and society must be carried out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attain a better resul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생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