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00 Download: 0

지각체험에 바탕을 둔 Weaving

Title
지각체험에 바탕을 둔 Weaving
Other Titles
Weaving on the basic of experience in perception : on production of works
Authors
孫倫玲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섬유예술학과
Keywords
지각체험섬유예술Weaving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성옥희
Abstract
All the plastic arts initially begins with observation activities. A man who is engaged in creative works should not respond passively to these visual experience but should be in a position to guide the psychological response. Therefore, an issue of methodology is raised in designing of creative work.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iew factors influencing on weaving designs on the basis of visual experiences and to establish organic wholeness. There are a lot of limitation and resistance on equipments, materials and useful techniques, in weaving.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balance should be maintained between physical and mental factors. The concept or imagination obtained through physical sight to be developed as plastic arts, especially when weaving is means to attain its goals, should be viewed and observed with imagination of the plastic arts. The first step for creative work is to observe and to search with active manner (not passive posture) how can not only those shape, pattern, but also colour, texture, rhythm and harmony etc., be balanced or coordinated with physical factors of weaving. Then, at the beginning stage of designing , several things should be considered such as, thickness of thread and techniques to be used, the scale finally can be influenced upon the sight of actual works and effects of coordination of fiber. thread. colours. This is because an applied technique brings difference in texture and consequently it influences the colour. The issue could be mastered through extending experiences and understanding by working on the subject matters and continuously expanding explore for unique possibilities of materials and at the same time building up technical skills. The expression must be maximized by accepting the symbolism of colours, quantity of objects, shape and the incidental which can be happened through whole process of working. The process of finishing, mounting is as important as process of working, and therefore, strictness and accuracy is required. In the mean time there ale tremendous opportunities to select supporting substance depended upon sense of individual and also there is close relation with environmental spaces of architecture. This, of course, must be considered as a design concept at starting stage to obtain organic wholeness. In conclusion, the weaving design must begin with visual observation activities and must be preceded by perceptional experience. Based on the perceptional experience, the design can be said a most important factor of creative work. By weaving a small size sample, we can attain a deep understanding for attributes of weaving. It is believed that the Fiber Arts can be developed and expanded to various creative activities in parallel with the modern trend of plastic art on the faithfully built foundation.;모든 조형 활동은 처음 시각적 관찰 활동으로 시작된다. 창작을 하는 사람은 이러한 시각 체험을 통해 수동적으로 반응하는 것이 아니라 그 반응을 적극적으로 유도해야 하는 입장에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 디자인의 방법론적인 문제가 제기되는데, 이 논문은 Weaving을 위한 디자인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을 지각 체험을 바탕으로 검토함으로써 하나의 통일된 전체를 구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주지하다시피, Weaving에 있어서는 사용하는 기구나 테크닉, 재료에 있어서 많은 저항과 제한을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외적(Physical) 요소와 내적(Mental) 요소 사이의 균형이 고려되지 않으면 안된다. 外界의 대상에서 얻은 이미지가 조형으로, 특히 Weaving을 수단으로 하여 조형으로 발전되기 위해서는 조형적 상상력을 가지고 관찰되어야 한다. 대상이 가지고 있는 형태와 패턴뿐 아니라 색채 텍스츄어, 리듬, 하모니등을 Weaving의 외적 요소들과 어떻게 일체화 될 수 있는가를 생각하면서 수동적으로 보는 것이 아니라 능동적으로 적극 탐색하는 것이 창작을 위한 제 1보가 되는 것이다. 다음은 사용하는 실의 굵기와 테크닉, 실제 작품의 싸이즈와 관련하여 최종적으로 시각에 영향을 주는 Scale의 문제에 대하여, 그리고 섬유·실·색채의 상호관계에 대해서도 디자인의 시작부터 고려되어야 할 문제이다. 테크닉에 따라 텍스츄어에 변화가 생기고 이는 곧 색채에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이러한 점은 소재를 직접 다루면서 그에 대한 이해를 깊게 하고 재료의 고유한 가능성에 대한 새로운 감각을 끊임없이 키워가는 동시에 테크닉의 연구도 병행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을 것이다. 색, 수(數), 형태의 상징성과 디자인의 소오스를 얻는데서 부터 제작에 이르는 전 과정에 나타날 수 있는 우연을 최대한 수용하여 표현을 극대화하는 문제도 간과할 수 없다. 끝맺음(Finishing)과 완성된 작품을 걸어 보는 일(Mounting)은 제작과정 못지않게 중요하며 엄격함과 정확성이 요구되기도 한다. 이 때에 사용하는 보조물은 개인의 감각에 따라 선택과 판단의 여지가 무한히 펼쳐져 있으며 또한 건축상의 주위 공간과는 아주 밀접하게 관계가 된다. 이 역시 유기적으로 통일된 전체 (Wholeness)를 획득하기 위해 처음부터 디자인 개념으로 접근해야함은 물론이다. 결론적으로 Weaving을 위한 디자인은 시지각에서 출발하여 재료와 테크닉에 있어 지각적 체험이 선행되어야 하며 그것을 바탕으로 한 디자인이 훌륭한 창작의 필수 요건이라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작은 싸이즈의 Sample을 Weaving하여 봄으로써 표현하고자 하는 주제에 적합한 재료와 테크닉, 그 밖의 형태나 색채를 포함한 제반 Weaving의 속성에 대해 높은 이해에 도달할 수 있음은 물론 디자인 하는데에 있어 면밀한 배려를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렇게 성실하게 다져진 기반위에서 현대의 조형사조에 발맞추어 다변적인 창작으로 확대, 전개해 나갈 수 있다고 믿어진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