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구자영-
dc.contributor.author황다미자-
dc.creator황다미자-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4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4Z-
dc.date.issued1985-
dc.identifier.otherOAK-00000001480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952-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4800-
dc.description.abstract주제분석체제란 정보검색의 주요한 선행단계로서 주제분석의 정확도에 따라 검색율을 좌우하는 중요한 것이다. 주제분석체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본 연구는 총 99개 종합대학교 및 단과대학중 장서수 3만권 이상인 64개의 대학(교)도서관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으며, 회수된 51개 대학에 대하여 이화여자대학교 전자계산연구소에서 통계처리를 한 결과는 아래와 같다. 1) 각 대학의 총장서수, 정기간행물수, 연간장서증가수는 한국도서관협회에서 제시한 「1982년도 한국대학도서관 장서기준안」에 크게 미달하였고, 분류번호와 주제명표목을 작성하는 주제분석 담당자는 학교당 4명이며, 학위배경은 대학졸업자가 137명 (66.5 %)으로 가장 많았다. 2) 주제명표목표의 사용율은 9개관(17.6 %)이며, 사용종류는 LC주제명표목표가 6개관으로 가장 많았다. 또한 주제명표목표외에 주제명목록을 작성하는 방법은 분류표의 본문 및 색인참조와 서명에서 키이워드추출이 17 개관 (35.3 %)으로 가장 많았다. 3) 주제목록의 형태로는 분류목록이 28개관(55%)으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나, 바람직한 형태는 주제명목록 및 분류목록 겸용이라는 의견이 41개관(80.4%)으로 가장 많았다. 4) 도치표목의 사용율은 11개관(22%)이며, 상호참조카드의 작성율은 16개관 (31.3 %)으로 냐타났다. 4) 50개 대학(98 %)이 새로운 한글 주제명표목표를 작성할 필요성을 느꼈고, 목록시스템의 전산화에 관한 필요성은 51개관(100%)이 모두 찬성했다. 6) 분류법 사용현황은 DDC가 양서 35개관(70.6%), 동서 33개관(64.7 %)으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이 KDC로서 양서 14개관(27.5%), 동서 17개관(33.3 %)으로 나타났다. 판차별 사용현황은 DDC는 19판, KDC는 3판이 가장 많았다. 7) 분류법의 개정신판에 관한 처리방법에는 구판을 계속 유지하며, 새로운 항목만 신판을 적용한다는 방법이 40개관(78.4 %)으로 가장 많았다. 8) 분류목록에 대한 안내방법은 45개관(90 %)이 類綱등 간단한 분류구분만 하고 있으며, 상세한 주제색인의 비치는 미비했다. 9) 전거파일은 18개관(35.3 %)만이 작성하고 있고, 종류별 작성율은 저자명이 가장 높았고, 다음순이 총서명, 단체명, 주제명순으로 나타났다. 10) 전거파일의 작성방법에서 외래어의 한글표기법에 관한 사서들의 의견조사 결과 문교부제정 로마자 한글표기법이 33개관(64.7%)으로 가장 좋다고 나타났다. 이러한 경향에 대해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주제목록의 형태로는 분류목록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바람직한 형태로서는 주제명목록 및 분류목록 겸용이라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것은 주제명목록작성의 필요성을 깨닫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우리나라에는 주제명목록을 작성하는데 반드시 필요한 표준화된 주제명표목표가 아직 없으므로 그 사용율도 저조하다. 따라서 새로운 한글 주제명표목표를 발간하여 그것에 의해 주제명목록을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주제명표목표의 작성방법은 국가서지기관(국회 도서관 및 국립중앙 도서관)의 주도하에서 모든 도서관에 공통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작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분류법은 대학도서관에서 가장 많이 이용되는 DDC 19판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국립중앙도서관에서 발간되는 KORMARC(Korean Machine Readable Cataloging)에서 DDC와 KDC의 분류번호를 주고 있고, CIP(Cataloging in Publication) data에서도. DDC 분류번호를 주고 있으므로 이들로 부터 손쉽게 얻을 수 있다. 더 나아가 앞으로 대학도서관 협력체제를 대비하여 공통적으로 분류법을 사용하는 것이 유익할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일관성있는 표목을 작성하기 위해 전거파일을 작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후에 이것을 활용하여 자관의 주제명표목표로 전환할수도 있기 때문이다.;As a major preliminary step in subject retrieval, the subject analysis system is important in that it controls the success of subject retrieval. Subject retrieval success depends on how precisely the concept of a subject is analysed to provide the right source to its users. For the purpose of knowing about subject analysis systems, a total of 64 questionnaires were sent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ies which have over thirty thousand collections among the total of 99 colleges and universities in Korea. Among the returned answers 51 were usable. After analysing them in Computer Center in Ewha Wamans' University the following conclusion has been reached: 1. The total of collections, the kinds of periodicals and annual increase of collections in each library of colleges and universities are not up to the "Standard Collections in Korean College/ University Library" suggested in 1982 by the Korean Library Association. Subject analysis personnel are about 4 per library, and 66.5% of them were graduated form 4-year college of university. 2. 17.6% of the respondents libraries answered that they used the list of subject headings, and Library Congress Subject Headings is the major used by 66.7% of them. 35.3% are using the text of classification schedules, relative index reference and keyword derived from the title for the subject cataloging. 3. At present classification catalog is most used by 28 libraries (55%) as a type of subject cataloging, but 81.4% of respondents recommended the use of both subject catalogs and classified catalogs. 4. 11 libraries(22%) answered that they have used the inverted headings, and cross reference cards are made by 16 libraries (31.3%). 5. It is suggested by 50 libraries(98%) that Korean Subject Headings should be made and the cataloging system should be computerized. 6. Among the classification schedules, DDC is the frist choice for Western materials in 36 libraries(70.6%) and Oriental materials in 33 (64.7%). KDC is the second for Western materials in 14(27.5%) and Oriental materials in 17 (33.3%). DDC 19th edition and KDC 3rd edition is the most used ones. 7. 78.4% of respondents are applying the new edition of classification schedules to only new items on the basis of old schedules. 8. In 45 libraries (90%) a way to guide users in the classified catalogs is simplified by classifying according to class of division and detailed subject indexes are not all established. 9. Authority files are established in 18 libraries (35.5%). Most of the files are on authors : second in titles: third on corporate names and subject headings. 10. It was answered by 33 libraries (64.7%) that Korean words pronounced according to Roman phonetics propos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is adequate to spell words of foreign origin. Several major suggestions for more efficient services in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ies result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1. The result of this investigation shows that most of libraries use classified catalogs but they think it desirable to use both subject catalogs and classified catalogs. it seems that they realized the need of subject cataloging. But there is no standard list of subject headings for subject cataloging in Korea. Under management of the National Bibliography institution (i.e. National Assembly library or Central National Library) a new standard Korean Subject Headings must be published, on the basis of which the subject cataloging is fit for that type of cataloging. 2. Classification schedules by the 19th edition of DDC used by most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ies is desirable: because class number of DDC and KDC are assigned in KOMARC published by the Central National Library and DDC number are assigned in CIP (Cataloging in Publication) data, it is easier to acquire class numbers form them. In addition to this, for inter-library loaning among colleges and universities it is efficient to use the same common classification. 3. It is necessary for each library to prepare authority files in order to assign consistent headings. It may be constructed as subject heading for each library if collected together in one fil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방법 및 제한점 = 3 Ⅱ. 이론적 배경 = 6 A. 주제분석의 의의 = 6 B. 주제분석의 배경 = 9 Ⅲ. 색인언어 및 색인작성법에 의한 주제분석체계 = 21 A. 색인언어 (indexing languages) = 21 B. 색인작성법 (indexing systems) = 28 Ⅳ. 대학도서관의 주제분석체제에 관한 현황조사결과 및 분석 = 36 A. 주제분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6 B. 주제명목록의 작성 및 주제명표목표의 채용실태 = 46 C. 분류법의 채용실태 = 58 D. 전거파일의 작성 및 채용실태 = 63 Ⅳ. 요약 및 제언 = 67 A. 요약 = 67 B. 제언 = 70 참고문헌 = 73 설문지 = 79 영문초록 = 89-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7363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우리나라-
dc.subject대학도서관-
dc.subject자료-
dc.subject주제분석체제-
dc.subject현황-
dc.title우리나라 대학도서관 자료의 주제분석체제 현황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Subject Analysis System Of College and University Libraries in Korea-
dc.format.page10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사서교육전공-
dc.date.awarded1986.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사서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