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1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문실-
dc.contributor.author방희숙-
dc.creator방희숙-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2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22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76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9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762-
dc.description.abstract병원조직내에서 간호부 조직은 병원운영에 크게 영향을 미치고 있다. 간호부 조직 내에서 수간호원과 감독간호원은 핵심적인 중층 관리자로서 행정조직 선상에서는 종적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환자 간호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수간호원의 역할수행과 직속상관인 감독간호원이 기대하는 역할수행의 일치는 효율적인 병동관리에 중요하다. 본 연구는 수간호원의 역할수행과 감독간호원의 기대의 일치점을 확인함으로써 간호 행정가의 효율적인 간호관리 방법 모색에 기여하고자 시도하였다. 자료수집은 1984년 9월 17일부터 9월 29일까지였으며 대상자는 서울시내 7개 종합병원, 인천시내 2개 종합병원, 원주시내 1개 종합병원등 10개 종합병원에 근무하는 수간호원 122명과 감독 간호원 63명을 연구 대상자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Rudy 외 3인이 개발한 수간호원 역할에 관한 설문지를 번역하여 사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Program에 의하여 백분률, Spearman's Ranle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Cronbach'S Alpha 등으로 분석하였으며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수간호원의 역할수행과 감독간호원의 기대는 일치하였다 ( α= 0.8236, P=0.000 ). 2. 환자간호 관리분야에 대한 역할인식 정도는 수간호원과 감독 간호원에는 차이가 없었다( P = 0.363 ). 3. 병동관리 분야에 대한 수간호원과 감독간호원의 역할인식 정도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여 감독간호원이 더 중요하게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P = 0.018 ). 4. 인적자원관리 분야에 대한 역할인식 정도는 수간호원과 감독간호원에는 차이가 없었다( P = 0.449 ). 결론적으로 수간호원의 역할수행과 감독간호원의 기대는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고, 환자간호 관리와 인적자원 관리에 대한 수간호원과 감독간호원의 역할인식 정도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병동관리 분야에서는 차이를 보여 잠재적인 갈등이 내포되고 있음을 뜻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는 효율적인 관리자를 위한 보수교육 내용 중 병동관리 분야에 관한 내용을 재 강조하는데 기초 자료로서 활용될 수 있으며 좀더 확대된 연구를 통해 도구의 신뢰성을 재확인해 볼 필요가 있다고 사료된다.;The nursing department organization is effected significantly to the hospital management. The supervisor and head nurse keep in line as a pivotal middle management stratum in nursing organization. Therefore, the congruency of supervisor's expectation and head nurses role performance are very important factor in nursing management. This study was attempted to survey and obtain an effective nursing managerial method to identify the congruency on the job in head nurse's role performance and supervisor's expectation. The survey was conducted among 122 head nurses and 63 supervisors working in 10 different hospitals , located in Seoul, Inchon and Wonju. The data were collected in a period from Sept. 17 to 29th 1984 and the instrument used for this study was Rudy's questionaire for Head Nurse Rol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computer using S.P.S.S. program as percentage, Spearman's Rank Correlation Coefficient, t-test and Cronbach' s Alpha. The result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head nurse's role performance and supervisor's expectation are congruent (r=0.8236, p=0.000). 2.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role perception of head nurse and supervisor in patient care management (p=0.363). 3.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degree of perception of head nurse's role and supervisor's expectation in operational management, which indicated that the supervisor more concern about operational management of than head nurse (p=0. 018). 4.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role expectation of human resource management area between head nurse and supervisor (p=0.449) Consequently, head nurse's role performance and supervisor's expectation are congruent. There was no discrepancy in degree of perception in patient care management and human resource management, but these were discrepancy in perception of operational management between head nurse and supervisor. The result indicated that there exist potential conflict between head nurse and supervisor. So, this resul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to inservice education for nursing manager focus on operational management and the extensive researches to identify the reliability of this tool are require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 1 B. 연구의 목적 = 4 C. 용어의 정의 = 5 Ⅱ.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 6 Ⅲ. 연구방법 = 10 A. 연구대상 및 자료수집 = 10 B. 연구도구 = 10 C. 자료 분석 방법 = 13 D. 연구의 한계 = 13 Ⅳ. 연구결과 = 14 A. 수간호원의 역할수행 순위와 이에 대한 감독간호원의 기대순위 = 14 B. 연구 대상자별 역할인식에 대한 비교 = 17 C. 연구 대상자별 수간호원의 주요 관리 분야에 대한 역할 수행 정도 = 18 D. 연구 대상자별 수간호원의 주요관리 분야에 대한 역할수행에 따른 순위 = 19 E. 대상자의 일반적인 특성 = 20 Ⅴ. 고찰 = 22 Ⅵ. 결론 및 제언 = 28 참고문헌 = 30 부록 = 37 ABSTRACT = 4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3884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수간호원-
dc.subject역할수행-
dc.subject감독간호원-
dc.subject간호학-
dc.title수간호원의 역할수행과 감독간호원의 기대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Comparative Study of Head Nurse's Role Performance and Supervisor's Expectation-
dc.format.page5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간호학과-
dc.date.awarded1985.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간호과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