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7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남지현-
dc.creator남지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7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7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45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92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45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고LDL-콜레스테롤혈증을 가진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노인의 면역능을 조사하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영양요인을 규명하고자 계획되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서울과 경기도에 거주하는 60세 이상의 노인 90명이었다. 조사 대상자를 혈청 LDL-콜레스테롤을 기준으로 하여 뇌심혈관계 질환 위험군(LDL-콜레스테롤≥160mg/㎗, n=25), 뇌심혈관계 질환 경계위험군(130mg/㎗≤LDL-콜레스테롤<160mg/㎗, n=20), 대조군(130mg/㎗<LDL-콜레스테롤, n=45)으로 분류하고, 각 군의 건강 상태 및 건강 관련 습관, 식습관을 조사하였고, 24시간 회상법을 이용하여 1일 영양소 섭취량을 조사하였다. 또한 혈압, 체위 및 체구성 성분을 측정하였으며 혈액 성분을 분석하였다. 면역능을 평가하기 위해서 ConA와 PHA로 유도한 말초혈 백혈구의 증식 능력 및 IL-2 생성능을 측정하고, 혈청에서 complement 3(C3), interleukin-1beta(IL-1β), interleukin-1receptor antagonist(IL-1RA), circulating immune complex(CIC)의 농도를 분석하였다. 고LDL-콜레스테롤혈증 노인의 면역 물질 및 면역능에 영향을 미치는 영양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서 혈청 LDL-콜레스테롤이 130mg/㎗이상인 노인을 대상으로 면역 성분과 식품군 및 영양소 섭취량의 상관관계를 조사하였다. 위험군, 경계 위험군, 대조군의 평균 연령은 각각 68.2세, 69.1세, 69.1세였다. 건강 상태 및 건강 관련 습관에 대하여 자가 보고한 결과에 의하면 현재 질병 보유율과 약물 복용율은 각각 70%이상이었다. 흡연자의 비율은 24%였고 알코올을 섭취하는 대상자와 규칙적인 운동을 하는 노인의 비율은 각각 70%정도로 나타났다. 각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다. 식습관을 조사한 결과 조사 대상 노인들은 비교적 규칙적으로 세끼 식사를 하고 있었으며 약 9%의 노인들이 하루에 한끼를 결식하고 있었다. 간이 식생활 진단표를 이용하여 식사의 질을 조사한 결과, 모든 항목의 점수에 세 군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으나 간이 식생활 진단의 총 점수는 대조군이 다른 군들에 비해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식품군별 섭취량을 비교해 보면 위험군은 경계 위험군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해조류와 버섯류의 섭취량이 많았고, 대조군은 위험군에 비해서 당류의 섭취량이 많았다. 영양소 섭취량은 세 군간에 유의적인 차이는 없었으나 각 영양소 섭취량은 위험군에서 가장 높고 경계 위험군에서 낮은 경향을 보였다. 위험군은 경계위험군에 비해 Na, 아연, 비타민 E를 제외한 모든 영양소의 섭취량이 높았다. 대조군은 위험군에 비해 탄수화물, 나이아신, retinol, 비타민 B6, 비타민 E, 아연, 콜레스테롤의 섭취량이 높았다. 체위 및 체구성 성분을 비교해 보면 위험군이 대조군에 비해 체지방률이 높았고, 체단백질량, 무기질량, 체수분량이 낮았다. 말초혈 백혈구의 증식 능력 및 IL-2 농도를 세 군 간에 비교해 보면 ConA로 유도된 말초혈 백혈구 증식 능력과 IL-2 생성능은 위험군, 경계 위험군, 대조군 순으로 높아져 위험군과 대조군 사이에는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었다. PHA로 유도된 말초혈 백혈구 증식 능력도 위험군이 낮았으나 유의적인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위험군, 경계 위험군, 대조군의 면역 물질 농도를 비교해 보면, 혈청 C3의 농도는 위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고 혈청 IL-1β, IL-1RA의 농도도 위험군이 유의적으로 높았으나, 혈청 CIC는 세 군간에 차이가 없었다. 혈액 성분은 공복시 혈당과 혈청 알부민, 철분, 아연 상태에서 각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나 헤모글로빈은 경계 위험군이 다른 군에 비해서 유의적으로 낮았다. 혈청 총 콜레스테롤, LDL-콜레스테롤은 위험군, 경계 위험군, 대조군 순으로 유의적으로 낮게 나타났으며, apolipoprotein B는 위험군이 대조군보다 유의적으로 높았다. 혈청 중성 지방과 HDL-콜레스테롤은 각 군간에 차이가 없었으며 동맥경화지수는 위험군과 경계 위험군이 대조군에 비해서 높았다. 혈압은 각 군 간에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혈청 LDL-콜레스테롤이 130mg/㎗이상인 노인을 대상으로 면역 성분과 식품군 및 영양소 섭취량과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PHA로 유도된 말초혈 백혈구의 세포 증식 능력은 식물성 기름 섭취량과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열량 섭취량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C3는 어패류, 칼슘, 철분 섭취량과 유의적인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고, IL-1RA는 어패류, 식물성 식품, 비타민 E 섭취량과 유의적인 음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 결과 고LDL-콜레스테롤혈증 노인은 충분한 열량 섭취, 지방 섭취 감소를 통해서 백혈구의 세포 증식 능력을 증가시키고, 비타민 E 섭취를 통해 proinflammatory cytokine을 저하시킴으로써 뇌심혈관계 질환과 관련한 염증 반응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앞으로 염증 반응을 억제하는 영양요인을 규명하기 위해서 더 많은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가 수행되어야 하며, 뇌심혈관계 질환의 염증 반응과 면역 반응을 반영하는 가장 예민한 면역 지표가 무엇인지 다수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하여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 The immune function of cardiovascular disease risk group in Korean elderly people and the nutritional factors related to it were examined. The experiment was performed for 90 people who were 60-83 years old and was living in Seoul or Kyunggi-do. The subjects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based on serum LDL-cholesterol ; Risk(LDL-cholesterol≥160mg/㎗, n=25), Borderline(130mg/㎗≤LDL-cholesterol <160mg/㎗, n=20), and Control(130mg/㎗<LDL-cholesterol, n=45) groups. Dietary intakes were surveyed by 24-hours recall method. Anthropometric values, blood pressure, and the levels of serum lipids were measured. Peripheral blood lymphocyte proliferation rate(LPR) induced by ConA and PHA and IL-2 production were assessed for immune function. The serum levels of C₃, IL-1β, IL-1RA, and CIC were measured. The nutrient intakes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The intakes of all nutrients except Na, Zn, vitamin E were higher in the Risk group than in the Borderline group. The Control group had higher intakes of carbohydrate, niacin, retinol, vitamin B_6, Zn, and cholesterol than the Borderline group. The Risk group had higher body fat percent and lower body protein mass, body mineral mass, and total body water than the Control group. LPR induced by ConA and IL-2 production were lower in the Risk group than in the Control group. When compared with the Control group, the Risk group was found to have higher serum levels of C₃, IL-1β, and IL-1RA. The Risk group showed higher atherogenic index and serum levels of total cholesterol, LDL-cholesterol, and apolipoprotein B with respect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 levels of serum triglyceride and HDL-cholesterol were not significantly different among the three groups. The analysis of correlation coefficients in the subjects with elevated serum LDL-cholesterol(≥130mg/㎗, Risk and Borderline groups) showed that PHA-induced peripheral LPR was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 intakes of vegetable oil and energy. Serum C₃ was found to have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 intakes of fishes and shellfishes, Ca, and Fe. Serum IL-1RA was negatively correlated with the intakes of fishes and shellfishes, plant foods, and vitamin E. From the aforementioned results, it was concluded that T cell function was diminished and proinflammatory cytokine was elevated in subjects with high serum LDL-cholesterol. This fact might be related to the decreased intakes of vitamin E and energy and to the increased intake of fa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vi I.서론 = 1 II.연구내용 및 방법 = 6 A. 연구 대상자 및 기간 = 6 B. 조사 내용 및 방법 = 6 1. 일반 사항 및 식이 섭취 조사 = 6 2. 신체 계측 조사 및 혈압 측정 = 7 3. 혈액 성상 조사 = 8 가. 채혈 및 혈액 처리 = 8 나. 혈액 성분 분석 = 8 4. 면역 물질 측정 = 11 가. 말초혈 백혈구(peripheral blood lymphocyte, PBL)의 세포 증식 능력 및 IL-2 생성 능력 = 11 나. 혈청 면역 물질 = 12 C. 자료의 처리 및 분석 = 15 III.연구 결과 = 16 A. 일반적인 특성 및 건강상태 = 16 1. 일반사항 = 16 2. 건강 상태 및 건강 관련 습관 = 18 3. 가족병력 = 21 B. 식이 섭취 상태 = 23 1. 식생활 습관 및 간이 식생활 진단(Mini Nutritional Assessment, MNA) 점수 = 23 2. 식품군별 섭취량 = 25 3. 영양소 섭취량 = 28 C. 면역 반응 = 32 1. 말초혈 백혈구(peripheral blood lymphocyte, PBL)의 세포 증식 능력 및 IL-2 생성 능력 = 32 2. 혈청 면역 성분 함량 = 32 D. 체위 및 체구성 성분 = 34 E. 혈액 성상 및 혈압 = 36 F. 면역 성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39 1. 면역 성분과 식품군별 섭취량의 상관관계 = 39 2. 면역 성분과 영양소 섭취량의 상관관계 = 41 3. 면역 성분과 혈액 성분 및 혈압의 상관관계 = 44 4. 면역 성분과 체위 및 체구성 성분의 상관관계 = 46 IV.고찰 및 결론 = 48 참고문헌 = 57 <부록 - 1> 조사용 설문지 = 64 ABSTRACT = 70-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0090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title고LDL-콜레스테롤혈증 노인의 면역 능력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영양 요인-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의류직물학과-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