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2 Download: 0

러시아 발레에 관한 연구

Title
러시아 발레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usian Ballet : Laying Stress on the Public performance Activity is of the twentieth Century
Authors
徐銀河
Issue Date
1986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Keywords
러시아 발레로맨틱 발레발레 전성기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정희
Abstract
It can be convinced that Serge Diaghilev was the pioneer who opened the Ballet history of 20th Century by reviewing the influence of the dancers and the Choreographers from the Ballet Russe in the era of Diaghilev. He published "The world of art" with the friends of "pickwickians" in his early years and showed the talent as an artist through the art exhibitions and musical operas in Paris. Especially, with the birth of Ballet Russee in 1909 he exerted the infinite range of creative energy and left the great heritance to the future generation from it. At the time of Diagghilev Ballet the aristocratic support had disappeared and the support from neither government or philanthropic organization was available. The management of Diaghilev Ballet depended upon the private support. However, he overcame the financial difficulties by showing the genius as a show propietor. Diaghilev was critiazed to be inhuman during his life ut this kind of criticism was caused by his strong Concentration on Ballet. The famous Ballet of Bolshoi and Ballet of kirov i soviet was appeared characteristic of choreograph in works. Throughout many dancers detected from behind the Iron Curtain because of Soviet Union's restriction on art with the excellent techniques, we can be raised the firm foundation of attached Schools. During Romanticism of Petipa Classicism of 19 Century, the direction of Chreograph changed due to the success of Russian Revolution. After Russian Revolution, works of Romenticism were seen to be conservative tendency and new works helped political thoughts of Russia. Their restrictions on freedom of works were proved to be severe from the dancers who had exiled to west. Research about Diaghilev and soviet Ballet reached following conclusion. First of all, Russia Ballet has two origins; One is Russia Ballet influenced by Diaghilev, acting of explosion introduced to Euroupe, and the other is ideological Soviet Ballet that was developed in Russia. Second, with the help of Cooperator in many field such as writing, art, music, and dance, Diaghilev brought revolutions to Conception of Classic choreaghaph at that time and he approached to expressive and characterical modern Ballet. Third, he restored interest in Ballet and introduced innovative Ballet to declining Ballet of England, France and Italy. Kirov Ballet were top in the world in respect of technique but they were criticised in cherograph. One is revival of masterpiece of Romanticism, the other is the choreograph that contribute to ideology of societism that gives help to Russia politically. Fifth, we can find common points between Diaghilev Ballet and soviet Ballet. The choreographs picked-up and trained by Diaghilev composed the base of Ballet all over the world even after half Century after his death. The dancers who exiled from the ideological and closed art world to the free world had great influence on the western Ballet.;이 세상에서 무엇 하고도 바꿀 수 없는 가장 고귀하고 소중한 것이 있다면 인간의 생명일 것이다. 그런 까닭에 자신의 삶에 관해서는 말할 나위도 없고 남의 생명체까지도 이를 아끼고 사랑해야 한다는 「휴머니즘」은 인간 세상의 궁극적 좌표가 돼 줄 수도 있다. 금세기 최대의 석학의 한 사람으로 꼽히고 있는 럿셀(Betrand Arthur William Russel 1872~1970)은 "인간은 창조충동과 소유충동이 함께 공존하는데 인생의 참된 행복은 그 중 창조충동 속에 존재한다."고 하였다.^(1) 이런 창조충동에 삶의 모든 것을 걸고 그 속에서 자신의 세계를 구축, 정립해 갈 뿐 아니라 그런 미래 지향적 욕구에서 표상하는 온갖 사상 (Phenomenon)을 표출하고 이를 전달함으로써 그린 것들을 맞볼 수 없었던 수많은 사람들에게 같은 체험을 향유할 수 있게 하는 예술가들이야 말로 가장 행복한 사람이자 누구못지 않는 「휴머니스트」일 수가 있다고 말할 수 있을 것이다. 러시아의 무용가 포킨(Mchel Fokine)은 "사람이란 머리끝에서 발끝까지 모든 것을 표현할 수 있는 기능을 갖추고 있다"^(2)고 하였듯이 무용은 인간의 육체를 표현 매채로 삼고 그 속에 온갖 의외를 주입시킴으로써 창조의 영역에 들어가게 된다. 16세기에 접어들어 싹트기 시작하여 20세기 오늘날까지의 발레의 흐름을 살펴보면 비상과 영광으로 충만되던 1803~1840년대의 절정이 있었는가 하면 이태리, 프랑스 등은 말할 것도 없고 마치 유럽 전체가 침체의 늪으로 빠져들지 않았나 싶을 만큼의 쇠퇴상을 보였던 19세기 후반의 경우도 있었단 그러나 독 러시아만은 이런 상도(商道) 에서 초연하고 있었다. 그렇다면 그 진정한 잠재력의 소재는 어디에 있었을까? 황실에서 보여준 적극적인 지원과 농노들이 직업 예술단에 흡수되면서 풍부해진 인적 자원도 그 요인들이 될 수 있으며 피터 (Pyotr I.Alekssevich Romano 재위 1683∼1725) 대제의 국책의 기반이 되었던 「서구 문화 개방정책」도 중요한 계기임에 틀림없다. 또한 러시아는 서구 여러 나라에 뒤떨어지고 있던 후진국으로서의 몸부림이 오히려 역기능으로 작용함으로써 일찌감치 흡수를 끝내고 세계적 발레 운동에 자극과 영감을 줄 수 있는 위치 위에 올라 섰다고 할 만큼^(3) 국민적인 의지의 충만함도 무시 못할 잠재력이 되었을 것이다. 세상 사람들은 이런 사실(史實)을 의식했음인지 「러시아 발레」로 별칭하는 예우를 보낸다. 고령다면 그 「러시아 발레」란 개념은 과연 그러한 별칭에 걸맞는 체계와 체제와 형식을 지니는 독자적인 발레 영역을 구축하고 있으며 그것은 서구적 발레와 어떤 측면에서의 이질성을 지니고 있는 것일까? 본 논문은 전기한 의문에 해답을 내릴 수 있는 소명자료를 도출하기 위한 목적아래, 역사적 사실에 근거한 실증적인 방법을 빌려 이에로의 접근을 시도했다. 그 결과는 다음의 다섯가지로 요약해 볼 수가 있었다. 첫째 소위 「러시아 발레」라고 일컬어지는 영역 안에는 두 갈래의 예맥 (藝脈)이 존재하는데 그 하나는 디아길레프(Sergei pavlovi-ch Diaghilev 1872~1929) 시대의 영향을 받아, 유럽에 소개된 「러시아 발레」와 다른 하나는 소위 「소비에트 발레」 (Soviet Ballet)라고 통칭되는 일련의 계파이다. 디아킬레프는 그의 예술 사상에 공명한 젊은 예술가들과 파리를 중심으로 전 세계에 걸친 공연 활동을 전개하여 소멸해 가는 유럽 발레에, 참신한 생각과 가히 충격적이라 할 수 있는 새로운 기법을 과시하였다. 그리하여 세인에 의해 「러시아 발레」라는 별칭을 받게 되었다. 한편 「소비에트 발레」는 볼세비키 혁명(Bolsheviki Revolution, 1917)이후 러시아 본토 안에 서식하면서 프로레타리아 리얼리즘(Proletaria Realism)을 추구하는 발레를 말한다. 둘째, 디아길즈프는 무용가는 비록 아니지만 적재적소에 인재를 활용할 줄 아는 지밀한 조직력과 포용력을 갖추고 있었다. 그런 까닭에 그에 의해서 주도된 발레 룻소(Ballet Russes de Diaghilev, 1909~1929)는 무용·음악·미술을 총 망라하는 발레를 창출하는데 성공함으로써, 유럽의 발레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소생시켰다. 또한 발레란 특정한 나라의 특수한 계층만을 위한 예술영역이 아니라 전 세계안의 모든 사람들에게 침투하여 그들의 사랑과 공명을 얻어낼 수 있는 명실 상부한 세계의 무용 예술임을 확인시켰다. 세째, 디아길레프의 예술 '세계는 철저한 고전 주의적 형상에서 표현적이고 성격적인 최첨단의 현대 발레에 이르기까지가 공존하고 있었다. 그의 예술세계가 한곳에 정착하질 않았던 것은 항상 시대의 선두에 서서 보다 현대적이며 보다 첨단적일 수 있는 발레예술의 현현(現現)을 필생의 모토로 삼았기 때문이다. 넷째, 오늘날의 소련 발레를 지탱하는 양대 산맥은 볼쇼이(Bol-shoi)와 키로브 (Kirov)이다. 이들이 과시하는 기교적 측면에서의 수준은 가히 정상급이라고 자타가 공인한다. 그러나 안무에 있어서는 세인의 많은 비판거리가 되고 있다. 그 이유는 여러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겠지만 그 가운데서 가장 결정적인 요인으로 꼽을 수 있는 것은 예술을 이데올로기 (Ideology)에 공헌하는 선전의 도구로 취급한다는 데 있다. 이렇듯 자율성이 배제된 가치의식과 소재의 한계적으로 이러한 내면적 취약을 메꾸기 위하여 기교 만능주의와 같은 기술 집약적 필요성을 절감하게 되는 것이라고 풀이해 볼만 한다. 다섯째, 「소비에트 발레」 가 현재도 계속 낭만주의 시대의 대표작들을 상연하는 것은, 새로운 이념적인 작품으로 말미암아 소외될 수도 있는 발레에의 관심을 붙들어 해두려는 저의라고도 볼 수 있다. 이런 까닭에 「디아길레프 발레」와 「소비에트 발레」사이에는 일반적인 의미에서의 형식적 공통성은 존재하지만 그 성격이나 본질면에서의 접근점은 찾아볼 수가 없다. 소련의 많은 무용수들이 서방 세계로 탈출해 나와 그들의 이상을 꽃피우는 원인도 바로 이러한 예술의 경색성과 폐쇄성에서 오는 산물이라고 풀이해 볼만 하다. 왜냐하면 서두에서 말했듯이 무용수는 철저한 「휴머니스트」 여야 하고 또 그것이 간절히 소망되기 때문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