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6 Download: 0

단칭 용어의 지시성에 관한 연구

Title
단칭 용어의 지시성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Designation of Singular Terms : In Russell, Strawson, Kripke's theories
Authors
鄭仁卿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대학원 철학과
Keywords
단칭 용어지시성러셀스트로오슨크립키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丁大鈜
Abstract
This thesis was to examine the Designation of singular terms. Traditionally, singular terms had been simply regarded to stand for individual objects. Then we can ask the question such as "Are singular terms denotative of referential?". Philosophers who showed excellant insights on this subject in this century are Russell, Strawson, Kripke. Hence, the author examined their theories of singular terms, in order to answer the question. Chapter Ⅱ dealt with Russell' theory of Denoting it traced his structure which argued that proper names and definite description denoted individual objects. Russell regarded singular terms such as 'this' and 'that' as logical proper names on the ground that the speaker used them to point to directly the object which he was acquainted with. And he reduced proper names into definite descriptions on the ground that they did'nt stand for substance but the complex of properties. He treated definite descriptions as propositional functions (X is C) rather than logical proper names on the ground that the speaker did not use them to refer the object which he was acquainted with. A definite description denoted its object if there was such a thing which made the propositional function uniquely true whatever it was. The problem of his theory was that it excluded the possibility that proper names and definite descriptions could be used to refer. Chapter Ⅲ dealt with Strawson's theory of referring it examined this structure which argued that not only demonstrative pronouns but also proper names and definite descriptions were used to refer an individual object by a speaker. According to his theory, the speaker made an identifying reference to a specific object by singular terms. But strawson introduced epistemic conditions of the speaker on the basis that speaker should know what the object was when he referred. The problem of his theory of referring was that it excluded the possibility that the speaker couldn't refer to a specific object by using singular terms. Chapter Ⅳ examined the point that singular terms couldn't be regarded all together as denotative or as referential in the light of Kripkpe's theory of Designating. According to Kripkke's theory, proper names were rigid designators which designated the same object in all possible world and definite descriptions were non-rigid designators which couldn't designate the same object in all possible world. This was his structure which regarded proper names as referential and definite descriptions as denotative. By using a definite description a speaker mentioned about whoever, whatever uniquely satisfied its property and by using a proper name a speaker referred directly its specific object regardless of its property by causal chain of name use. And according to his structure which showed the definite description denoted whatever uniquely satisfies its property, Russell assigned a false-value to th Nonexistential statement such as "The present king of France is bald" by the logic of implication. But Strawson argued on the basis of the logic of presupposition that the statement in question lacked a truth-value. So by examining Kripke's possible world semantics, the auther showed that Kripke assigned a false-value to the statement in question. As a result of examining their theories the auther concluded that definite descriptions are denotative and proper names are referential.;본 논문에서 다룬 것은 단칭용어의 지시성에 관한 철학적 문제였다. 전통적으로 단칭용어는 개별 대상을 나타낸다고 무규정적으로 받아들여져 왔다. 그러나 단순히 단칭용어가 개별 대상을 나타낸다 하는 것에 대하여 단칭용어는 어떻게 즉, 어떠한 방식으로 비언어적인 개별 대상과 관계하게 하는가 라는 의문이 제기된다. 그러므로 이러한 관점에서 단칭용어의 지시성에 대한 해명이 요구되는 것이다 그런데, 금세기에 있어서 러셀, 스트로오슨, 크립키는 단칭용어의 지시성에 대하여 뛰어난 철학적 통찰력을 보여주었다. 그리하여 필자는 <단칭용어는 표시적인가 지칭적인가>라는 하나의 관점을 갖고, 이들의 이론을 조명하여 단칭용어의 지시적 특성에 관한 작은 해명을 시도해 본 것이다. Ⅱ장에서 단칭용어에 관한 러셀의 철학적 문제와 관련하여, '이것'과 같은 단칭용어는 지칭으로 규정되고 고유명사와 정관사 기술구는 표시로 규정되는 '러셀적 구조'를 추적해 보았다. '이것'과 같은 단칭용어는 화자가 면식한 대상을 직접적으로 지칭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정관사 기술구와 고유명사는 무엇이든 속성을 유일하게 만족시키는 대상을 표시한다는 것이다. 이것을 '이것'과 같은 지시대명사가 논리적 고유명사로 간주되고, 고유명사가 정관사 기술구로 환원되고, 그리고 정관사 기술구가 명제함수와 같이 취급되는 것에서 밝혀보았다. Ⅲ장에서 단칭용어에 관한 스트로오슨적 문제와 관련하여 단칭용어가 일괄적으로 '지칭'이라고 규정되는 '스트로오슨적 구조'를 포괄적으로 파악해 보았다. 스트로오슨에 의하면 화자는 지각적으로나 개별적 지식에 의해서 그가 누구인지를 안 대상을 동일식별적으로 지칭하기 위하여 단칭용어를 사용한다. 즉 그는 화자의 동일식별적 지칭이라는 관점에서 단칭용어가 지칭이라고 파악한 것이다. Ⅳ장에서 크립키의 <고유명사는 고정지시어이고 정관사 기술구는 비고정지시어이다>라는 논의와 관련하여 그에게 있어서 정관사 기술구는 표시적으로, 고유명사는 지칭적으로 규정되는 구조를 파악해 보았다. 그리하여 정관사 기술구는 속성을 매개로 무엇, 누구이든지 대상을 표시하며, 화자는 고유명사를 사용함으로써 특정 대상을 직접적으로 지칭한다는, 단칭용어의 지시적특성이 드러났다. 그런데 단칭용어를 표시적으로 규정하는 '러셀적 구조'와 지칭적으로 규정하는 '스트로오슨적 구조'에 따라 그들의 중요한 철학적 문제인 "현 불란서 국왕은 대머리이다"와 같은 비존재 진술에 러셀은 함의의 논리로서 거짓이라는 진리치를 부여하고 스트로오슨은 가정의 논리로서 참이나 거짓이라는 진리치를 부여할 수 없다고 하였다. 이에 필자는 크립키의 가능 세계 의미론을 고찰하여 위의 명제에 거짓이라는 진리치를 부여하는 크립키의 논리적 구조를 파악해 보았다. 이상의 논의에 따라 정관사 기술구는 표시적이며, 고유명사는 지칭적이라는 단칭용어의 지시성에 대한 하나의 해명이 가능하다는 것을 지적할 수 있었으며, 러셀이 제시한 표시와 스트로오슨이 보여준 지칭이 각각 정관사 기술구의 지시적 특성과 고유명사의 지시적 특성으로 수용된다는 것을 새롭게 조명할 수 있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철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