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장화진-
dc.contributor.author박윤희-
dc.creator박윤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0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709-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8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709-
dc.description.abstractArtists express their own experiences, memories, feeling or thoughts into their own formative languages, and try to communicate with others through this language. Therefore, the encounter with the object of their interest stimulates their creative motivation. As for me, it is a ordinary space that offers their creative motivation. To put it concretely, it is not the central space, but the marginal space. I want to express the marginal space where it exists in our life but usually people don't recognize. In this thesis, I tried to think back to the past days and space through toys. The toys is the object I felt intimate in my childhood and it reminds me of my memories and experiences. And then, I began to research on the formative languages to express my idea, and recognized that the present includes the past and the past connects the present always. In that point, I came to the conclusion that the proper media is photography. Especially, I applied this media on my painting by the close-up and the focus-out. To back up the concept and formative language of my works, I studied the making way of the space through the architectural theory of Anthony Vidler (1941~ ) who was influenced by 'uncanny' concept of Sigmund Freud (1856 ~ 1939). Also, I explained the meaning of the play in private sector through the essay 『The Correspondence of Walter Benjamin』 by Walter Benjamin(1892~1940) who considered how the children understand and transform surrounding space. And then, I referred to the memory reflected to my works through the memory theory by Henri Bergson (1859~1941). I used the method of the close-up in order to give the pictures new meaning. The close-up made new space blurred the exact object and evoked curiosity. This thesis investigated the physical and psychological expansion of time and space through theoretical approach of 'fictional and private space' and referenced my works and the works of other artists who related with fictional space to deliver my intention. Finally, through the analysis of my works, I verified the method connecting painting and photography and referred to the unique way expressed space and memory in my works. This study on the space of toys will be the basis for further development of other works with the space and object related our life.;작가는 자신의 경험, 기억 또는 느끼고 생각하는 것들을 자신만의 조형언어로 표현하고 그것을 통해 다른 사람과의 소통을 시도한다. 따라서 작가는 자신이 표현하고자 하는 것을 접하였을 때 창작 의욕이 생겨난다. 본인에게 있어 창작의 동기를 제공하는 것은 다름 아닌 일상 공간이다. 구체적으로는 중심에 있는 공간이 아닌 소외된 공간이다. 분명 일상 속에 존재하는 익숙한 곳이지만 간과하는 공간들을 표현해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장난감을 통해 잃어버린 기억과 공간을 되돌아보고자 하였다. 본인에게 장난감은 유년시절 가장 접촉이 빈번한 사물로 친숙함이 느껴지는 기억과 경험이 내포되어 있는 사물이다. 그래서 이를 통해 장난감 내부에 녹아 있는 본인의 기억과 느낌을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후, 본인은 이러한 생각을 어떻게 조형적 언어로 풀어낼 수 있는지 고민하면서 현재가 과거를 포함하고 있고, 과거와 현재는 늘 연결되어 있다는 생각을 갖게 되었다. 여기서 본인이 얻은 결론은 사진이라는 매체가 앞서 언급한 현재와 과거의 중간적 입장을 취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특히, 이러한 사진 기법 중에서 부분 확대(close-up)나 초점 흐리기(focus-out)를 회화 작업에 적극적으로 가져오게 되었다. 이러한 본인 작업의 개념과 조형언어를 뒷받침하기 위해 본 논문에서는 지그문트 프로이트(Sigmund Freud, 1856 ~1939)의 언캐니(uncanny)개념의 영향을 받은 안토니 비들러(Anthony Vidler, 1941~ )의 심리적 공간이라는 건축이론을 통해 본인작업의 공간 구축 방식을 고찰하였다. 그리고 어린아이가 상상력을 통해 어떻게 공간을 이해하고 변형했는지를 사유(思惟)한 발터 벤야민(Walter Benjamin, 1892~1940)의 『베를린 연대기』를 통해 사적인 영역에서의 놀이가 부여하는 의미를 알아보았다. 또한 앙리 베르그송(Henri Bergson, 1859~1941)의 기억에 관한 이론이 지닌 기억의 특징, 역할, 그 지속성과 관련해 본인 작품에 반영된 기억의 문제를 고찰하였다. 본인은 새로운 내용의 작품을 제작하기 위한 구체적인 표현 방식으로 부분 확대(close-up)방법을 사용하였는데, 그로부터 대상의 의미가 불분명해지고 의구심을 불러일으키는 새로운 공간이 만들어지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허구적이며 사적인 공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함으로써 심리적이며 동시에 잠재적인 시공간의 확장의 가능성을 열고자 했으며, 본인의 조형언어와 유사한 다른 작가의 예를 찾아 비교하면서 본인의 작업의 의미를 찾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본인 작품 분석을 통해 사진과 회화의 공존 방식을 밝히고, 공간과 기억을 둘러싼 본인 작품의 내용과 표현 방식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본인은 앞으로의 작업에서 장난감 이외의 일상적 모티브와 관련된 공간과 사물에 대한 또 다른 작품 세계를 심화 발전시켜 나가고자 한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ⅳ Ⅰ. 서론 = 1 Ⅱ. 일상 속 허구적 공간 = 3 1. 심리적 공간 만들기 = 4 2. 잠재된 공간 : 가짜와 진짜의 공존 = 6 Ⅲ. 기억 속 그 곳 = 10 1. 사적 영역에서의 놀이 = 10 2. 기억의 윤색 = 13 Ⅳ. 작품의 실제 = 16 1. 사진 기법을 이용한 회화 = 16 (1) 부분 확대 = 17 (2) 초점 흐리기 = 19 2. 비닐을 이용한 드로잉과 오브제 = 22 (1) 비닐 오브제와 드로잉 = 22 (2) 비닐위에 드로잉 = 25 Ⅴ. 작품 분석 = 27 1. 변신카드와 로봇 = 27 2. 장난감내부와 외부 = 31 3. 소외된 공간에 대한 기억 = 40 Ⅵ. 결론 = 43 참고문헌 = 45 ABSTRACT = 4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71956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일상 속 허구적 공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fictional space in my life-
dc.creator.othernamePark, Yun Hee-
dc.format.pageⅴ, 48-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학부회화·판화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