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1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강애란-
dc.contributor.author김세희-
dc.creator김세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1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10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651-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88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651-
dc.description.abstract예술은 감성적 사유의 바탕 위에 어떤 직관성과 상상력이 결합 되어 표출되어지는 부분이다. 우리는 비가시적인 세계를 감성 영역을 확장시킴으로서 인지 가능한 세계로 만든다. 본인 작품의 주제적인 측면에서는 주된 이야기(story)나 메시지, 소재의 다양성에서 오는 시각적 표현들과 지각되는 표현들은 형식(form)의 보여 지는 형태에 따라 의미들이 달라진다. 본인 작품에 등장하는 자연 친화적인 에너지와 작품 속에 담겨져 있는 기호들 하나하나의 대한 의미들은 본인의 개인적인 내밀함으로부터 작품을 구현하는 회화적 가치들로써 이루어지게 된다. 본인은 이러한 개인적인 부호들로서 외부와의 소통을 하며, 조형적인 측면에서의 재미를 통하여 생각을 표현한다. 회화에서 우리는 다른 사람의 표현 방식에 동질성이나 독특함을 느끼면서 작품이 완성 되는 상상적인 기호적인 형태에 주목하게 된다. 이러한 남과 다른 표현방식을 찾아내는 것이 작품 감상뿐이 아닌, 해석과 의미의 가치까지 더해준다 생각된다. 감상자들은 아마도 항상 ‘같은 재료’들을 가지고 ‘똑같은 이야기’가 나오기를 기대하지 않는다. 메를로퐁티(Maurice Merleau-Ponti 1908-1961)가 얘기했듯이 인간은 ‘세계 내의 존재'이며, 따라서 현존하는 존재의 지각과 경험으로부터 본질에 다가설 수 있다. 결국 같은 세계 안에서 바라보게 되는 개인의 시점에 따라 표현이 달라지므로 그 각각의 서로 다른 특이성(singularity)에 큰 의미를 두며, 표현 되는 과정들이나 맥락 성이 중요하다. 이러한 과정들에 가치를 두기 때문에, 본인 작품이 어디에서 영향을 받아왔으며, 영향들로서 달라지게 되었는지 밝히는 것이 중요하다. 본인은 이러한 주제적인 측면에서 자연이라는 소재를 택하게 되는데, 조형적 대상의 하나로 자연을 바라보게 되면서 풍경 적 요소들이 충분히 다양한 해석의 가능성을 지니고 있다고 보았다. 본 연구를 통해서 과거의 풍경화들이 담고 있는 생각들을 배우며, 그 안의 조형적 표현과 본인의 자연 친화적인 성향을 심화 시켰다. 화면 안에 자연이라는 매체가 주는 장소성과 진공 상태에 떠다니는 파편들을 표현해 나가며, 본인의 현실적이기를 거부하는 비현실적 세계를 표현하려는 태도를 표현하였다. 2차원의 화면 위에 공간이 존재하고 있다는 믿음의 출발에서부터, 본인은 그 공간 속의 가시적인 환경과 비가시적 환경 모두의 세계를 담아내려고 하였다. 본인에게 많은 예술가들의 공통된 유토피아의 염원에 대한 생각들과 함께, 상상 속에서 조형적 세계의 표출은 작업을 이루는 근원이다. 본 논문「상상적 기호를 통한 알레고리적 표현」에 대한 연구를 함에 있어서 먼저 본 연구에서 기호들이 나타내는 개념과 본인 작업에서 기호들의 근원지를 이루는 내용을 설명하고, 풍경화에서의 조형적 측면에 간과하여 해석하게 된 배경에 대해 서술한다. 이러한 연구 결과의 바탕 위에 본인의 작품에서 나타나는 공간의 배치와 시점, 형태와 색채가 구현하는 의미들에 대해 각각 서술하고자 한다. 그림 안에서의 상상적 표현은 현실 세계와의 일정한 거리감을 유지 시켜주며, 본인의 감성적인 유쾌함의 통로로 이어질 것이다. 본인은 항상 자연 안에서의 개인적 경험이나 연관성들이 본인작품에 나타나는 표현 형태로 이루어졌다고 믿었고, 이러한 요소들을 환기하여 분류시키는 작업이 본인 작품의 해석력을 높여 작품 자체의 표현하고자하는 내용을 구체화 시켰다고 본다. 또한, 작업 안에서 표현되는 기호의 형태들을 통하여 개인의 감성적 내밀함을 극대화시켜 보다 깊이 있는 회화 세계를 추구하고자 한다.;Art is a field expressed in combination with intuition and imagination, based on sensual thinking. Art gives value by transcending perceived external shapes, and expanding, and recreating those through a sensual domain. Artistic value provides us with an invisible world. We feel the true value of paintings depending on the artists' expression styles and observers interpretations, while art opens an invisible and imaginary world. The meanings of works become different according to the forms in the aspect of theme in appreciating the art works: namely, main story or message composing the works, and visual expressions and perceived patterns from a variety of subject matters. In terms of content of works, the art works consist of painting values of the meanings composing the works through a harmony of personal privacy from the broadness of social context deriving from the text. We feel homogeneity or uniqueness of others expression styles in paintings, and pay attention to the background from which works are created. Depending on story usage, we are persuaded, and our tastes become different according to each other's preference. Although it seems like that common stories are told within the limitation of the same subject matter, those who appreciate paintings do not probably expect the same story from the art works with the same materials. As Maurice Merleau-Ponty said, humans are the existence within the world, and accordingly, we may approach the essence from the perception and experience of current existence. Depending on individual's point of view within the same world, expressions can differ; therefore, great significance is put on the different peculiarity, and the entailed processes and contexts become important. The author views that landscape factors have a possibility to be interpreted diversely, looking at nature as a formative object. This study provided a good opportunity to deepen formative expressions and my nature-friendly tendency, and learn the thoughts vested with the past landscape paintings. Imaginations for the fragments floating in the vacuum state along with the attributes of place provided by a medium nature came in contact with an attitude to depict unrealistic world rejecting to be realistic. All the artists' desire for utopia pursuing formative fun in imagination has been portrayed as a common theme of all the artists who want to escape reality. From the start of a belief that space exists on the 2 dimensional plane canvas, the author has concerned about the depicting aspect of expression correlations according to the modern interpretation of landscaping paintings, because of a question about why I have always painted fancy pictures. The author noted that landscaping paintings/natural objects were indicated as signs which can be communicated with more public in the relationships where those are portrayed in combination with modern culture. The author hopes that the ideas trying a combination on an extravagant canvas, based on modern people's agreed signs that were already made, will be viewed as the vision in various angles. In studying "Allegory expression based on imagination", the analytic contents defined by a variety of existing artists and theorists were rearranged in reference of relevant literature as to the various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imaginary allegories, which are the subject word in this study. In addition, the characters and formative arrangement of the signs and symbolic images exhibited in the existing artists' works have been examined. Based on those research findings, an analysis on what contents make signs and shape a system was made in portraying a nature-friendly attitude to be actualized in the author's works. From the difference in perspectives to view works, each one has one's own attributes: the author here tried to express the images exhibited through contacts between nature and modern codes in terms of the interpretations of those works, and felt interest in the images of art demonstrated in those relationships. Imaginary expressions in the paintings maintain a certain distance from the real world, and will be connected to the passage of sensual pleasance. The author has always believed that personal experiences or relevance in nature became an expression styles in paintings, and in this context, made great efforts to find factors that could be interpreted as my codes. The job arousing and classifying those factors was truly useful time to the author, and helped in enhancing the interpretation of works. Through the job making symbolic signs concrete, the author pursues a more profound world of paintings by maximizing personal sensual privac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 I. 서론 = 1 II. 상상적 풍경과 유토피아 = 3 A. 기호들의 출발 = 3 B. 풍경화 속의 사물과 배경 = 8 C. 2차원 평면의 3차원적 상상 = 14 III. 표현 방식들 = 18 A. 공간의 배치와 시점 = 18 B. 형태의 차용과 색채의 의미 = 20 C. 기후적 도상에 의한 표현 = 27 IV. 작품분석 = 30 V. 결론 = 42 참고문헌 = 44 Abstract = 4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62270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상상적 기호를 통한 알레고리적 표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llegory expression based on imagination : Focused on nature-
dc.creator.othernameKim, Se-Hee-
dc.format.pagevii, 47-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미술학부회화·판화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