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3 Download: 0

현행 고등학교 불어교육에서의 샹송 활용 실태분석과 개선방향 모색

Title
현행 고등학교 불어교육에서의 샹송 활용 실태분석과 개선방향 모색
Authors
김효선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불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제6차 교육과정은 의사소통교수법을 도입하여 의사 소통 능력의 신장을 교육목표로 설정하고 그 목표에 따라 언어의 형태와 구조보다는 기능과 의미를 중시하고 있다. 그런데 의사소통교수법은 그 이전의 교수법인 구두창화식교수법 및 시청각교수법과 비교해 보면 언어사용의 사회-문화적 측면을 매우 강조하고 있다. 이런 강조와 함께 대두된 교육자료가 바로 다양한 실제자료(documents authentiques) 활용이다. 제6차 교육과정에 따라 제작된 불어 교과서는 제5차 교육과정 교과서에 비해 사진, 샹송, 지도 등 보다 많은 실제자료를 사용하고는 있으나,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아직도 여러 가지의 문제점이 보이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그 문제점 중 하나가 교과서에 제시된 실제자료를 교과서의 내용과 어떻게 연관 지워 효과적으로 가르치느냐 하는 것인데, 본 연구자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샹송도 예외는 아니다. 많은 교사는 샹송을 언어교수/학습 자료로 보다는 여흥과 동기 유발을 위한 자료로 생각하고 있기 때문에 불어교육과는 직접적으로 연결시키지 못하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실제자료 중 하나인 샹송을 좀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활용할 수는 없는지 알아보기 위해, 먼저 이론적 배경으로는 실제자료의 개념과 유용성, 샹송의 언어 교육적 가치와 활용 가능성을 알아 본 다음, 제6차 교과서에 실려 있는 샹송의 유형별 분석을 실시하고, 교사와 학생을 대상으로 한 설문 분석을 통해 우리 나라 고등학교에서 샹송을 어떻게 활용하고 있는지 그 실태를 분석해 보고, 마지막으로 그 문제 해결을 위한 몇 가지 방법론적 제언을 해 보았다. 위와 같은 연구를 통해 본 연구자가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행 불어 교과서에 실린 샹송은 그 수에 있어서 매우 부족한 데에다, 그나마 실려 있는 샹송들조차도 학생의 흥미와 요구를 반영하지 않은 채 교과서 집필자 본인의 의도에 따라 선정되어 있기 때문에 학생들의 학습 동기를 유발하는 데에는 부족함이 있다. 둘째, 샹송에 대한 관심도와 선호도가 성별에 따라 많은 차이가 있었다. 남자교사와 남학생은 불어 시간에 샹송을 활용하는 것을 선호하지 않고 있는 반면에, 여자교사와 여학생은 그것을 선호하고 있다. 셋째, 샹송은 아직까지도 언어 교수/학습상의 효과보다는 수업의 지루함을 달래기 위한 오락이나 학생의 동기 유발을 위한 수단 정도로 간주되고 있다. 넷째, 샹송의 언어교육학적 가치를 인정하는 교사들도 실제로 불어 시간에 샹송을 활용하는 데에는 적잖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에 대해 교사들은 수업 시간의 부족과 자료의 부족을 그 주된 이유로 꼽았다. 이러한 분석과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자는 보다 효과적인 샹송 활용을 위해서 다음과 같은 몇몇 사실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교사와 학생들에게 샹송의 언어교육학적 가치를 충분히 인식시킬 필요가 있다. 둘째, 샹송을 선정할 때에는 반드시 학생의 흥미와 요구를 반영하여야 할 것이다. 셋째, 우리 나라 고등학생의 수준에 맞는 샹송 자료를 찾아서 각 학교에 보급해야 한다. 넷째, 교사 연수를 통해서 체계적인 샹송 활용에 대한 연수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 Avec la me´thodologie de la communication, le sixie`me curriculum scolaire fixe comme objectif l ame´lioration de la compe´tence de communication, mettant ainsi l accent sur la fonction et le sens de la langue pluto^t que sur sa forme et sa structure. Il faut noter e´galement qu a` la diffe´rence des me´thodes anciennes telles que la me´thodologie audio-orale ou audio-visuelle, la me´thodologie de la communication s inte´resse a` l aspect socio-culturel de l emploi de la langue. Ces changements ont eu pour effet d introduire de nouveaux supports e´ducatifs dont des documents authentiques. Le sixie`me programme scolaire adopte un plus grand nombre de ces supports, tels que photos, chansons et cartes par rapport au programme pre´ce´dent. Toutefois, des proble`mes persistent, comme le montrent les difficulte´s a`appliquer ces documents dans l enseignement re´el, la situation etant la me^me pour les chansons. Bien que les chansons soient incontestablement des supports pe´dagogiques, la majorite´ des enseignants ont tendance a` les conside´rer comme de simples outils destine´s au divertissement des lyce´ens, ne re´ussissant pas ainsi a` les appliquer dans l enseignement/apprentissage du franc¸ais. Afin de chercher des me´thodes pour 1 emploi efficace des chansons dans 1 enseignement/apprentissage du franc¸ais, cette e´tude traitera des points suivants : le concept et l utilite´ des documents authentiques sur le plan the´orique, la valeur e´ducative et la possibilite´ d utilisation des chansons, l analyse des chansons par types dans les manuels scolaires du sixie`me curriculum, la situation actuelle sur la base des sondages d opinion re´alise´s aupre`s des enseignants et des e´tudiants et des propositions me´thodologiques pour re´gler les proble`mes existants. Les conclusions qui ont pu e^tre tire´es de cette e´tude sont les suivantes: Premie`rement, le nombre des chansons pre´sente´es dans les manuels est largement insuffisant. La situation est d autant plus critique que ces chansons, choisies selon les pre´fe´rences des auteurs des manuels, ne refle`tent gue`re les gou^ts et les inte´re^ts des lyce´ens, ne re´pondant donc pas a` leur vocation qui est de motiver ces derniers. Deuxie`mement, une grande diffe´rence de pre´fe´rence pour les chansons existe selon le sexe. A la diffe´rence des garc¸ons et professeurs de sexe masculin, les filles et professeurs de sexe fe´minin montrent un plus grand inte´re^t pour l utilisation des chansons pendant les cours. Troisie`mement, les chansons sont toujours conside´re´es comme un moyen de divertissement ou de motivation, pluto^t que comme un support pe´dagogique efficace. Quatrie`mement, me^me les professeurs qui reconnaissent la valeur e´ducative des chansons rencontrent des difficulte´s a` les appliquer en raison de la dure´e limite´e des cours et du manque de documents ne´cessaires. A partir de ces re´sultats, les propositions suivantes pourront e^tre e´mises afin d ame´liorer l utilisation des chansons au sein des cours. Premie`rement, une prise de conscience par les professeurs, ainsi quepar les lyce´ens, est ne´cessaire en ce qui concerne la valeur e´ducative des chansons dans l enseignement des langues. Deuxie`mement, il est impe´ratif de tenir compte des gou^ts ou des centres d inte´re^t des lyce´ens lors de la selection des chansons. Troisie`mement, il faut chercher les documents ne´cessaires et les distribuer aux lyce´es. Quatrie`mement, des efforts devront e^tre consentis pour la formation des enseignants en vue dune meilleure utilisation des chans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불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