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송민재-
dc.creator송민재-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0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02Z-
dc.date.issued2000-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72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85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723-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 섬유제품에 대한 생산력이 비약적으로 증가되고 각종 첨단 가공기술의 개발로 인한 기능성 제품이나 위생적이고 건강지향적인 제품에 대한 소비자의 욕구가 날로 증대되고 있다. 뿐만아니라 날로 심각해지는 각종 환경오염에 대한 선진국들의 규제 움직임에 따라 환경친화적인 소재 및 가공에 대한 관심이 더욱 커지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자연으로의 회귀를 추구하는 사회적인 경향과 더불어 염색가공 분야에서도 천연염료를 사용한 염색법등 친 환경적, 자연지향적인 가공방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특히 천연염색 분야의 관심이 눈에 띄게 증대되고 있으며 이에 수반된 연구실적도 향상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천연염색한 직물로 디자인되어져 생산된 공예품이 소비자들에게 좋은 반응을 보이고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경향에 입각하여 천연염색을 통한 제품 디자인 연구에 주력하고자 하였다. 먼저 염색 제작 기법에 있어서 천연염료중 율피, 소목의 식물염료를 선택하여 실험연구 하였으며, 작품 제작시 예술성과 상품성을 동시에 만족시킬 수 있는 수공예적인 스카프를 디자인 연구하였다. 작품제작에 앞서 식물염색에 관하여 고찰하였으며, 식물염료로써의 율피, 소목에 관한 특성과 색상연구가 선행되었다. 이를 위해 문헌조사와 함께 매염제에 따른 색상 실험연구가 이루어졌다. 또한 스카프 디자인 과정에서 오늘날 스카프와 밀접한 상호관계를 갖고있는 패션의 동향을 문헌과 인터넷 자료검색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이것을 통하여 변화하는 소비자의 기호와 심리분석 및 다양한 감각의 특성을 파악하여 현대적 감각에 알맞은 생활 공예품으로서의 작품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실제 스카프를 제작하여 분석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율피, 소목의 염료를 혼합한 결과, 소목에서 추출된 염료의 색상이 율피의 그것보다 강하게 발색되었으며, 염료를 혼합하는 것은 물감을 섞는 것과 유사한 결과를 가져와 비교적 채도가 낮은 중간색을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식물염료의 혼합염에 관한 가능성을 확인할 수 있었고, 식물염색에 있어, 화공 매염제에만 의존하지 않고 염료혼합에 의한 다양한 발색을 유도하여 천연염색 특유의 은은한 색감을 유도하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었다. 둘째, 작품 제작시 직물자체의 자연스런 질감을 살려 식물염색과 조화를 이루도록 하였으며, 이를 위해 일반적으로 스카프용으로 사용되고 있는 견섬유와 함께, 다양한 광택 소재와 혼방된 직물을 선택하여 효과적인 결과물을 얻을 수 있었다. 셋째, 스카프 디자인에 있어 용도에 따라 다양한 연출이 가능할 수 있도록 디자인하였으며, 그 결과 착용 방법 및 용도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스카프 아이템 개발을 할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에 따라 본 연구자는 공예품 수요가 날로 증가하고 있는 현재 소비 성향에 맞추어 역할과 개성을 찾을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앞으로 작업에서 나타난 미흡한 점을 창의적 작품 활동과 실험연구를 통하여 보다 철저한 분석과 식물염색에 대한 문제점을 지속적으로 연구 개발하여 현대 염색의 실용화 작업에 노력하고자 한다. ; Thanks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fiber manufacturing capacity has been radically increasing and consumers desires for functional and health-oriented products are also growing day by day. Also, interest in environment-friendly material and processing is growing following the movement of restriction against various kinds of environment pollution in each country. Accordingly, interest in environment/nature-friendly processing is growing including dyeing using natural color as well as social trends of pursuing return to nature. Especially, interest in natural dyeing is remarkably increasing, and studie s on this field are being improved. Also, industrial art products designed with naturally colored textile is gai ning good responses from consumers. Based on this trend, this paper focuses on studying industrial art product design of natural coloring. In coloring technique, I took an exanunation with natural colors such as chestnut skin and red wood, and examined handcrafted scarf design that can satisfy both artistic and commercial senses. Before making my work into production, I examined plant dyeing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of chestnut skin and red wood and their color. For this, color examination was also done together with literature study. Also, I examined fashion trends closely related to today s scarves through literature and the internet. By grasping consumers tastes, minds and their characteristics of various senses, I tried to make a life art work that fits modern sense. Based on this theoretical background, I summarized the analysis of the scarf that I made as follows. Firs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mixing colors of chestnut and red wood, color from red wood was expressed more strongly than that from chestnut, and mixing colors resulted in the similar results to mixing water colors, and I could get middle-colored one with low chroma.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 confirmed the possibility of mixed colors of plants, and suggested a direction of leading natural colors by presenting various colors by color mixing, not merely depending on chemical coloring material. Second, I made natural feeling of textile alive in producing work to make it harmonized with plant dyeing, and gained effective results by selecting various glossy materials and mixed textiles as well as silk, generally used for scarf. Third, I designed a scarf for various used, and developed new scarf items according to how to wear and how to use. Based on these results, I could find roles and individuality for consumers trends in the situation that demand of industrial art products are increasing rapidly. By continuous examinations and thorough analysis and study on plants coloring, I d like to make efforts on making modern dyeing practical.-
dc.description.tableofcontents1. 서론 = 1 1.1 연구의 목적 = 1 1.2 연구의 방법 및 범위 = 3 2. 식물염색연구 = 4 2.1 식물염색의 정의와 고찰 = 4 2.2 식물염색의 방법과 종류 = 13 2.3 식물염색의 특성 및 활용방안 = 21 3. 율피·소목을 이용한 식물염색연구 = 26 3.1 식물염료로서의 율피, 소목의 특성 = 26 3.2 율피, 소목의 색상연구 = 32 3.3 율피 소목 혼합염의 방법 및 색상연구 = 36 4. 스카프디자인 = 47 4.1 스카프와 패션 = 47 4.2 스카프의 구성과 새로운 트랜드 = 49 4.3 스카프 디자인 개발과정 = 52 5. 작품제작 및 분석 = 57 5.1 작품제작 의도 = 57 5.2 작품분석 = 58 6. 결론 = 91 참고문헌 = 93 ABSTRACT = 9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1750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디자인대학원-
dc.title율피 소목 혼합염에 의한 스카프 디자인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디자인대학원 염색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0. 8-
Appears in Collections:
디자인대학원 > 염색디자인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