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2 Download: 0

인형을 통한 자아인식의 표현

Title
인형을 통한 자아인식의 표현
Authors
이미영
Issue Date
2002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학부회화·판화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view and further study the context of the work of art in a systematic way in parallel with the creation of the work. My work of art is to express through dolls that can not live on their own the image of a person who has become tired of establishing relationships with others due to the feelings of emptiness or alienation he or she had felt or experienced through many kinds of relationships in daily lives, and the study in this theses is to make an in-depth analysis of the work. This work includes or encompasses psychological experiences or conditions I have had up until now, starting from the memories of my early childhood: I felt a sense of loss in my childhood by the separation with parents and I have experienced of feeling empty of alienated as a member of society due to the discontinuation or lack of communication since I entered into adulthood. All this has led me to ask myself questions about I as a being continuously. The experience of feeling alienated in everyday life is a human beings basic and essential issue. Every person experiences feeling becoming small (dwarf) in front of others, and the sense of alienation in human relationships drives the person into a space of isolation. I have, using the form of doll, materialized the psychological conditions or experiences humans encounter in everyday life. Dolls were modeled on me, and thus rendering the work an object that I can control with my hands and I can fix my gaze on. The dolls that were made out of me are an object to which psychological conditions of the subject (as opposed to object) have been transferred. This means that the realization (awareness) of I as the subject is made and at the same time I exist as a medium (an object) reflecting the realized self. The work that was created following this logic mirrors oneself. I intend to develop the thesis by posing questions about the way I exist and describing the process in which I seek answers to those questions. The way they ( I as the subject and I as the object materialized in the form of doll) exist can be explained by this logic: the word I spoken by the subject points to the speaking subject oneself and at the same time the subject to which the word I is spoken to. The moment the subject gets out the word I, the subject vanishes and instead the spoken I takes its place. By this logic, it follows that the created dolls leave the hands of me and become the eyes of another being, rendering the subject an object. The process in which an image of subject becomes the eyes of another that looks at the subject can be verified through mirror stage theory. In the same way a child in the mirror stage perceives the image of myself. However, the image of the subject that is facing me is separated from me as another being is. The dolls that have the figure of mine reflect the image of the subject and at th same time they exist as other beings that fix their gaze on the subject. The doll that shapes the image of the subject is another I just like a reflected image in the mirror: that is I and at the same time another being. It is through the process describes above that the subject is materialized as dolls. This work is based on my memory of playing with dolls in which I lives by switching between the reality and fantasy. Just as I identified myself with the dolls in the plays, the dolls now become an object to which my psychological experiences, in particular, the sense of alienation are projected. This is what is expressed by the work, and the work itself is designed to seek communication with viewers in real space. I intend to make an object that reflects humans basic experiences of feeling alienated through the medium of doll,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look at them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A figure of oneself that exists outside of oneself leads one to experience perceiving oneself as a different being from oneself. The eyes of a doll that are turned upon the subject guide the psychological reality the subject faces to be revealed and to be projected into another being, thereby rendering that what does not belong to the subject any more, that is, what belongs to another being that exists within oneself constitutes a method of psychological therapy. The work that started with questions as to I has the meaning of a realization process through which I have come to understand and confirm the being of myself. This study has helped me to organize my thoughts ton the work I have been engaged in by now. Furthermore, this study has helped me to set the tone for the attitude I should take in my art work: I will make an effort to make my works consistent with the lives I am leading through involving myself in such process of asking myself questions and seeking the answers as I have followed in this study. ; 본 논문은 작품의 제작과 병행하여 작업의 맥락을 체계적으로 검토하고, 이론적인 연구를 통해 작품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을 갖는다. 본인의 작업은 일상에서 축적되는 허무와 소외의 경험으로 인해 관계 맺기에 무기력해진 한 인간의 모습을 자립 불가능한 인형을 통하여 표현하고 있다. 따라서 작품은 아주 어린 시절의 기억들에서 출발하여, 현재에 이르기까지의 심리적 정황들과 체험들을 포괄하고 있다. 어린 시절 부모와의 분리에서 느낀 상실의 감정과 성인이 되어 사회의 일원으로서 겪은 소통의 단절에서 비롯된 허무와 소외에 대한 경험들은 <나>라는 존재에 대해 끊임없이 질문을 던져주었다. 일상에서 얻게되는 소외의 경험은 인간의 기본적이고 본질적인 문제이다. 인간은 누구나 타인들 앞에서의 왜소해짐을 경험하며, 인간 관계에서의 소외감은 주체를 고립의 공간으로 몰고 가버린다. 본인은 이러한 심리적 정황들을 인형이라는 형태를 빌어 물질화시켰다. 인형은 본인의 모습에 기초하여 제작되었고, 그럼으로써 작품은 본인의 손으로 제어 할 수 잇고 직시 가능한 대상이 된다. 인형은 본인으로부터 비롯된 것으로, 그것은 주체가 가졌던 심리적 정황들이 전이된 대상이다. 이러한 사실은 주체로서의 <나>를 인식하고, 인식된 자신을 반영하는 매체로서의 존재방식인 것이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작된 작업은 자전적인 성격을 띤다. 본인은 우선 스스로의 존재방식에 질문을 던지고, 그것에 해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기술하고자 한다. 주체인 <나>와 인형으로 형상화된 나는 언어의 발화형식을 통하여 설명될 수가 있다. 주체가 발화하는 나 라는 단어는 발화하는 주체를 지시하면서 동시에 발화된 주체를 지시하는 호칭이 된다. 주체가 나 라는 단어를 대화 속에서 발화하는 순간 주체는 사라지고 발화된 나 가 주체를 대신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원리로 제작된 인형은 본인의 손을 떠나 대상화된 주체, 즉 타자로서의 내가 된다. 주체의 이미지가 오히려 주체를 바라보는 타자의 시선이 되는 과정은 거울 단계 이론을 통하여 증명될 수 있다. 거울 단계의 어린 아이가 거울 속 자신의 이미지를 인식하는 것과 같은 원리로 주체인 <나>는 나의 이미지를 인지한다. 그러나 마주 보는 주체의 이미지는 타자처럼 분리되어 있다. 본인의 형상을 한 인형은 그 모체가 되는 주체의 이미지를 반사하는 동시에 주체에게 시선을 던지는 타자로서 존재한다. 주체의 이미지를 형상화한 인형은 거울 속 반사 이미지처럼 <나>에게서 분리된 또 다른 <나>로서, 그것은 <나>인 동시에 타자이다. 이러한 인식의 과정을 거쳐 주체는 인형으로 형상화된다. 작업의 근간이 되는 어린 시절 인형놀이의 기억은 현실과 공상을 오가며 불만족한 현실을 수정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었다. 놀이 속에서 본인과 동일시되었던 것과 같이 현재 인형은 본인의 소외감을 대신하는 심리적 경험의 투사체가 된다. 이러한 내용이 작품을 통하여 표현되고 있으며, 이는 실제 공간 속에서 관람자와의 소통을 시도하고 있다. 본인은인간이 기본적으로 갖게 되는 소외의 경험을 인형이라는 매체를 통하여 대상화시킴으로써 객관적으로 직시하고자 한다. 자신의 바깥에 존재하는 자신의 형상은 자기를 자신과 다른 것으로 지각하게 되는 경험을 하게 한다. 주체를 바라보는 인형의 시선은 주체의 심리적 현실을 밖으로 드러나도록 유도하며 그것을 객관화시켜, 더 이상 자기 자신이 아닌 타인의 것으로 만들어 준다. 자기 안의 타인을 자기 자신으로부터 분리하는 것은 심리학적 치유의 한 형태를 이루기도 한다. 스스로에 대한 존재물음으로 시작된 작업은 이렇게 본인에게 있어 자신을 이해하고 확인하는 인식의 과정으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를 통하여 본인은 그간에 전개된 작업들에 관하여 체계적인 정리를 할 수 있게 되었다. 스스로에 대해 질문을 던지고 그것에 해답을 찾아나가는 과정을 통하여, 항상 자신을 되돌아보고 각성하며 작업과 삶이 일치되기를 희망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