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9 Download: 0

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

Title
노인의 생활만족도 향상을 위한 기초연구
Other Titles
Family Support System and the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 Exploring a Casual Model
Authors
최혜경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대학원 가정관리학과
Keywords
노인생활만족도가족부양체계인과모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성연
Abstract
본 논문은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살펴보고, 가족부양체계를 통해 노인의 행복과 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한 보다 효과적인 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과 의의가 있다. 선행연구의 고찰을 통해 첫째, 노인에게 정서적 부양과 경제 및 서어비스적 부양을 제공해주는 주된 원천은 가족이고, 둘째, 가족 부양 체제의 효율성은 사회가 가족의 경제 및 서어비스적 부양을 보조함으로써 더욱 향상될 수 있다는 이론적 근거들을 얻은 후, 이를 가설적인 인과모형으로 구상하여 경험적으로 검증하였다. 조사대상은 서울시내에 거주하는 만 60세 이상된 노인들로 하되, 논문의 목적상 정상적인 가정생활을 영위하는 노인들만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따라서 사회복지시설에 수용되어 있거나 불완전 가족의 노인들은 제외하였다. 가설적인 인과모형의 검증을 통해 얻은 연구결과는 앞서의 이론적 근거들을 입증해주고 있다. 중요한 결과들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은 그 자녀와의 관계가 만족스러울 때 자신의 생활에 대해 더 만족한다. 둘째, 노인의 사회관계, 주거생활, 경제생활 등에 걸친 경제 및 서어비스적인 욕구가 충족될 때 노인과 그 자녀의 관계가 원만해지고 따라서 노인의 생활만족도도 향상된다. 특히 노인의 경제적인 욕구는 사회관계나 주거생활 등 다른 욕구의 충족을 좌우하는 기본적인 요소이다. 셋째, 교육정도, 가계소득, 결혼상태 등 노인의 주어진 조건들은 노인의 생활만족도와 가족내결속에 직접적으로는 영향을 미치지 않고 단지 경제 및 서어비스적 부양체계의 변수들을 매개로 하여 간접적으로만 영향을 미친다. 또한 건강도 노인의 생활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는 하지만, 그 전체효과 중 많은 부분이 가족부양체계를 통해 매개되고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들로부터 전략적 의미를 갖는 몇가지 결론을 다음과 같이 끌어낼 수 있다. 첫째, 노인의 생활만족도는 노인의 심리적, 환경적 요인과 생활역사 등 복합적인 요인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것이기는 하지만, 현재의 상태를 인위적으로 개선해줄 때 충분히 향상될 수 있다. 둘째, 노인의 부양은 가족이 담당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며, 사회는 부족한 가족자원을 보조해줌으로써, 가족의 노인부양을 돕는 것이 보다 타당할 것이다. 세째, 사회가 가족의 노인에 대한 부양을 보조해줌에 있어서, 가장 먼저 이루어져야 할 것은 노인을 위한 연금제도나, 노인부양가족을 위한 과세혜택 등의 재정적인 지원이다. 본 연구는 차후의 연구를 위하여 가족부양체계 내에서의 욕구충족과정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이에 촛점을 맞출 것을 제언하고 있다.;This thesis attempts to explore factors which affect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and thereby to identify the most efficient strategy to enhance their happiness and satisfaction with life by means of a family support system. Previous research suggests that the family is the main origin from which emotional and economic satisfaction of the aged evolves, and satisfaction is facilitated by societal assistance for the family to financially support old persons. These theoretical antecedents are incorporated into a causal model for empirical verification. To this end,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300 individuals who are 60 years old or over living in Seoul. The sample is limited to those who live a normal life in the sense that they are neither accommodated in institutions nor do live in imperfect home settings. The major findings of this study support the theoretical assertions of previous studies. The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amily solidarity is highly correlated with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The more intimate and harmonious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elderly and their descendants, the more satisfied they are with family life. Second, family solidarity is raised by the intensity of social association, satisfaction with housing(or physical living space), and financial resources of the elderly. To be more specific, the elderly who are actively involved in social association, feel comfortable residential surroundings and enjoy economic affluence are more likely to keep good relations with other family members and thus they are more satisfied with life itself. Third, education, income and marital status as exogenous variables do not directly affect life satisfaction and family solidarity despite their strong overall association. Causal effects of each variable are linked to family solidarity and then to life satisfaction through a family support system for the elderly. From the findings several tentative conclusions are drawn which give socio-political implications, Though life satisfaction of the elderly is caused by such complex factors as one's own life history, it can be manipulated by improving their present living conditions. The most efficient way of enhancing their life satisfaction is to activate the familial support system via harmonious family relationship. In addition, it is proposed that social welfare policy should be directed toward assisting poor family resources and relieving the strains and discords confronted within the family. Financial support from the government is made possible partly by expanding the pension system for the elderly and/or compensating for the family's financial burden; e.g., applying differential income tax rates to the family supporting elderly depen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소비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