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은화-
dc.contributor.author김태연-
dc.creator김태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6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85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82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850-
dc.description.abstract유아의 세계는 놀이 그 자체이며 유아가 다루는 놀이감은 놀이 활동을 풍부하게 해주므로써 새로운 세계의 경험을 얻게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놀이감의 수와 종류가 유아의 행동 양식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가를 발견하므로써 유아에게 적합한 놀이감 환경을 제공해 주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며 이를 위해서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놀이감의 종류와 수는 유아의 공격성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2. 놀이감의 종류와 수는 유아의 뺏음 행동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3. 놀이감의 종류와 수는 유아의 방해 행동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4. 놀이감의 종류와 수는 유아의 비참여 행동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5. 놀이감의 종류와 수는 유아의 창작 활동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6. 놀이감의 종류와 수는 유아의 신체 운동 활동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만 5세 아동 10명이었으며 남·녀 각 5명으로 구성하였다. 실험방법으로는 Time Sampling을 이용한 관찰법을 사용하였으며 관찰은 지정된 놀이 Setting에서 이루어졌고 관찰 항목은 공격성, 비참여 행동, 방해 해동, 뺏음 행동, 창작 활동, 신체 운동 활동이었으며 이의 빈도수를 관찰 목록표에 기록하여서 분산 분석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놀이감의 종류와 수는 공격성과 매우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Fo>F(0.01)) 2. 공격성은 성차와 매우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Fo>F(0.01)) 3. 놀이감의 종류와 수는 뺏음 행동과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4. 뺏음 행동에 있어서 성의 차이는 매우 유의한 관계로 나타났다.(Fo>F(0.01)) 5. 놀이감의 종류와 수는 방해 행동과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 6. 방해 행동에 있어서 성의 차이는 상황별로 다르게 나타났다. 즉 A상황에서는 α=0.05수준에서 유의차가 있었고 B, D상황하에서는 유의차가 없었으며 C상황에서는 α=0.01수준에서 유의차가 있었다. 7. 놀이감의 수와 종류는 유아의 비참여 행동과 매우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Fo>F(0.01)) 8. 비참여 행동에서는 성차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9. 놀이감의 수와 종류는 신체 운동 활동과 매우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Fo>F(0.01)) 10. 신체 운동 활동에 있어서 성의 차이는 없었다. 11. 놀이감의 수와 종류는 창작 활동과 매우 유의한 관계가 있었다.(Fo>F(0.01)) 12. 창작 활동에 있어서 성의 차이는 유의한 관계가 없었다.;The life of the pre-school children is a play itself. The play equipments which they handle enrich their play and make them undergo the experience of new lif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know how much the amount and variation of the play equipments of the pre-school children effects on the behavior patterns and be helpful to give them appropriate equipment environment. As a method, the observation with time sampling was used and done in the designed play setting. The elements of observation were aggression, unparticipated behavior, undesirable behavior (teasing, snatch), creative play and motor play. The frequency of them was recorded in the check list and the result of the ANOVA (analysis of variance) is like followings. 1. The amount and variation of the play equipments has very significant relation to the aggression. 2. The aggression has very significant relation to the sex difference. 3. The amount and variation of the play equipments has no significant relation to the taking behavior. 4. The taking behavior has very significant relation to the sex difference. 5. The amount and variation of play equipments has no significant relation to the teasing behavior. 6. The teasing behavior has no significant relation to the sex difference. 7. The amount and variation of the play equipments has very significant relation to the unparticipated behavior. 8. There is not sex difference in the unparticipated behavior 9. The amount and variation of the play equipments has very significant relation to the motor play. 10. There is no sex difference in the motor play. 11. The amount and variation of the play equipments has very significant relation to the creative behavior. 12. The creative behavior has no significant relation to the sex differenc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의의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3 C. 연구의 제한점 = 4 Ⅱ. 이론적 배경 = 5 A. 놀이의 중요성 = 5 B. 놀이감의 종류의 수가 유아행동에 미치는 영향 = 9 C. 놀이감의 종류와 분류 = 13 Ⅲ. 연구방법 = 16 A. 연구 대상 = 16 B. 관찰 상황 설정 = 16 C. 연구 절차 = 18 D. 관찰 목록 = 19 E. 결과 처리 = 20 Ⅳ. 결과 및 해석 = 22 Ⅴ. 요약 및 결론 = 44 참고문헌 = 48 부록 = 51 ABSTRACT = 5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5259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놀이감-
dc.subject종류-
dc.subject유아-
dc.subject행동-
dc.title놀이감의 종류와 수가 유아의 행동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f the Effect which the Variation and Amount the Play Equipment have on the Behavior of Pre-school Children-
dc.format.page6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교육학전공유아교육분야-
dc.date.awarded1985.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유아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