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강승애-
dc.creator강승애-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56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56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4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81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494-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발달장애아동들에게 감각통합운동을 기획하고 실행하였을 때 감각통합운동이 적응행동 및 사회적 기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함으로써 발달장애아동의 재활 및 교육을 성공적으로 이끌기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고자 시도되었다. 연구대상은 대상아동 선정기준에 의한 총 40명 중 실험집단 20명과 통제집단 20명으로 40회 동안 실시되었다. 감각통합운동 프로그램구성은 장애아동의 요구를 파악한 후 선행연구 분석과 참여한 지도자들의 사전회의 및 관련 자료를 참고하여 장애아동에게 적합한 감각통합운동을 선정하여 행하였다. 감각통합운동 프로그램의 효과를 규명하기 위하여 적응행동과 사회적 기능에 대한 변화를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감각통합운동에 참여한 발달장애아동은 적응행동이 통계적으로 p< .001 수준에서 유의하게 증가되어 긍정적인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적응행동의 5개 하위요인에서도 개인 요구충족(p< .05), 지역사회 요구충족(p< .05), 개인 및 사회적 책임(p< .05), 사회적 적응(p< .001), 개인적 적응(p< .01)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어 감각통합운동은 발달장애아동의 적응행동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감각통합운동에 참여한 장애아동은 사회적 기능의 3개 하위요인인 협력(p< .001), 자기주장(p< .05), 자기통제(p< .05)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여 감각통합운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사회적 기능 변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감각통합운동에 참여한 발달장애아동의 자폐성향 유무가 적응행동과 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로 자폐성향의 유무는 적응행동 수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하위 요인인 개인요구 충족 요인(p< .05), 개인 및 사회적 적응 요인(p< .01)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를 통해 5가지 적응행동의 하위요인 중, 개인요구 충족 요인과 개인 및 사회적 적응 요인은 자폐성향을 가진 아동의 경우 자폐성향이 없는 아동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영향을 받은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자폐성향의 유무가 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p< .01), 이는 감각통합운동에 참가한 발달장애아동 중 자폐성향이 있는 아동들이 자폐성향이 없는 아동들보다 사회적 기능의 향상도가 낮은 증가율을 나타내고 있다는 것을 증명하였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볼 때 발달장애아동을 대상으로 지속적인 감각통합운동 참여는 적응행동과 사회적 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장애아동의 교육 및 재활을 위해 감각통합운동이 매우 효과적임을 나타내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Activity on adaptive behavior and Social skill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The subjects were 40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for this study. 40 children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group was an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one was in a control group. The Sensory integration Activity consisted of 3 steps. These activities were administered with 60min/time during 40 times in 20 weeks. The adaptive Behavior was tested by the K-ABS(Korean-Adaptive Behavior Scale) under the criterion of Kim Seong Kuk in 1990. The social skill was tested using the Social Skill Rating System made by Gresham and Elliott in 199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the Wilcoxon Matched-Pairs Signed-Ranks Test, Mann-Whitny U Test, Kruskal-Wallis Test which had been based on SPSS-WIN 12.0 program.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sensory integration activity showed that increased in adaptive behavior. however, the control group was not.. These were also increased in the 3 sub-factors of adaptive behavior; conceptual adaptive behavior, social adaptive behavior, and realistic adaptive behavior. Also the experimental group participated in sensory integration activity showed increased with significant level(p<.01) in social adaptive behavior with significant level. It was found that the sensory integration Activity had positive way on adaptive behavior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effected in sensory integration activity showed that social skill increased with significant level(p<.001, p<.05), but not in the control group with significant level. These were also increased in the 3 sub-factors of social skill, Cooperation, Assertion, Self-Control with significant level(p<.001, p<.05). Thir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without autistic behavior attended in sensory integration activity showed that it more effected positive way in some sub-factors of adaptive behavior than children with autistic behavior in experimental group. An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without autistic behavior attended in sensory integration activity showed that social skill increased with significant level(p<.05) It could be concluded that the continual participation in sensory integration activity by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would assist to increase their adaptive behavior and social skill in the positive wa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v 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5 C. 연구의변인 및 가설 5 D. 용어의 정의 7 Ⅱ. 이론적 배경 9 A. 발달장애의 개념 및 특성 9 B. 감각통합운동 11 1. 감각통합의 정의 11 2. 감각통합의 과정 13 3. 감각통합운동의 접근 16 C. 발달장애아동과 적응행동 및 사회적 기능 18 1. 발달장애아동과 적응행동 18 2. 발달장애아동과 사회적 기능 20 Ⅲ. 연구방법 24 A. 연구대상 24 B. 연구절차 26 C. 연구도구 27 D. 검사도구 28 1. 적응행동 검사 28 2. 사회적 기능 검사 33 E. 감각통합운동 36 1. 감각통합운동의 구성원리 36 2. 감각통합운동 모형 42 3. 감각통합운동의 지도 및 적용 45 F. 자료처리 46 Ⅳ. 연구결과 및 논의 47 A. 적응행동의 분석 47 B. 사회적 기능의 변화 60 C. 자폐성향 유무가 적응행동 및 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69 1. 자폐성향 유무에 따른 적응행동 분석 69 2. 자폐성향 유무에 따른 사회적 기능 분석 73 Ⅴ. 결론 및 제언 75 A. 결론 75 B. 제언 77 참고문헌 79 부록 87 ABSTRACT 10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75867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감각통합운동이 발달장애아동의 적응행동 및 사회적 기능에 미치는 영향-
dc.typeDoctoral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Sensory Integration Activity on Adaptive Behavior and Social Skill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order-
dc.creator.othernameKANG, Seung-Ae-
dc.format.pagevi, 105-
dc.identifier.thesisdegreeDocto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체육학부-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체육과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