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8 Download: 0

상업고등학교 家政科 교육현황에 관한 조사연구

Title
상업고등학교 家政科 교육현황에 관한 조사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state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in commercial high schools
Authors
박정숙
Issue Date
1985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Keywords
상업고등학교가정과교육현황조사연구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problems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in commercial high schools in this country and the ways of solving them and improving the field of the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study consist of the nature of the home economics as a theoretical background, the nature of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and the direction of the education, all of which were studied through documents. The study also contains investigations of allotting time to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the school facilities and instruments for practice, the preparation of learning materials and the perceptions of teachers and students for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As a research tools here, guestionnaires were prepared for teachers and students respectively. As a survey sample, teachers of the home economics in all the commercial high school with girl students in this country and 360 students out of 3 schools were taken. The important findings of this study can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average 7.14 units are alloted to the home economics education as the units to study (the unit by law ranges 6 to 10 units), while 4.80 units will be given to the first year grader next year (the unit by law ranges 4 to 8 units). The textbook written for academic high school were in use. (the unit by law ranges 8 to 10 units) Second, 31.6 % of the home economics teachers are teaching other subjects, on the other hand 6.3 % of other subject teachers are teaching the home economics. Third, the contents which are included in the curriculum are being taught in the teachers own ways and the method of the evaluation, etc. vary from teacher to teacher. Forth, 49.8 % of the commercial high school give the students the practice in model house. This practice is essential for the girl student at commecial high schools, the aim of which lies in bringing the students education to complection. Fifth, only 51.6 % of the school has cooking room, while 32.6 % has no practice room and are practicing in the classrooms or multiple- purpose classrooms. Sixth, 14 instruments for practice of the whole 54 items are prepared up to the standard amount, 45.4 % of which are put to use. Seventh, teachers percieve with proper understanding the contents of the home economics and the aim of teaching and learning the subject, but some students perceive them from the traditional point of view. The results of the survey leads to the following conclusion: 1. New textbooks of home economics for the commercial high school must be written in consider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mmercial high schools, and at the same time, new arrangments of the study must be made to give the teachers sufficient time for their teaching. 2. The schools must be fully eguipped with instruments for practice and such facilities as cooking rooms, sewing rooms and model house. 3. With proper understanding, the students must be perceived the contents of the home economics and the purpose of learning the subject.;본 연구의 목적은 상업고등학교의 家政料 교육 현황을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찾고 개선 방향을 모색하는 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이론적 배경으로 가정학의 성격, 家政科 교육의 성격, 家政科 교육의 방향을 문헌으로 연구하였으며, 실태 조사로서 전국의 여학생이 있는 상업고등학교 家政科 교사 95명과 시 · 읍 · 면별로 세 학교 학생 358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에 의해 家政料 교육 과정 운영 실태, 교사의 실태와 지도면, 家政科 학습에 필요한 학교 시설 · 실습 기구 · 학습 자료 등의 구비 상황, 家政科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도를 조사 연구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 · 3학년의 家政料 이수 단위 배당은 7.14단위(기준 : 6~10단위)이며, 1학년은 4.80단위(기준 : 4~8단위)이었다. 둘째, 교과서는 인문계용을 사용하고 있으며, 교과서 내용에 비해 교과 이수단위가 부족하다는 의견이 교사는 95.8%, 학생은 63.4%이었고, 66.3%의 교사가 상업고중학교용 家政科 교과서가 따로이 마련되어야 한다는 의견을 나타냈다. 셋째, 교사의 실태로서 家政科 교사의 주당 수업 시간은 20.55시간이었고, 타교과 전공이 家政科를 맡은 경우가 6.3%, 家政科 교사가 타교과를 맡은 경우는 31.6%이며 두 과목의 타교과를 맡은 경우도 6.3%나 있었다. 넷째, 실습 지도 내용은 조리가 가장 많았고 家事科 내용인 자수와 편물이 家政科 내용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평가 후 성적 반영율은 교사 나름대로 정하고 있으며, 주된 실습 저해 요인은 교과 배당 시간부족과 학교 시설 · 실습 기구 부족을 들고 있다. 다섯째, 생활관 실습을 실시한 학교는 49.8%에 불과하며, 실습 내용은 절하기, 다도, 직장 예절 교육, 성교육, 음식 만들기, 미용 강좌 등이었다. 여섯째, 학교 시설 구비 현황은 조리실이 51.6%가 갖춰져 가장 많았고 생활관은 28.4%, 재봉실은 24.2%의 학교만이 갖추어져 있으며, 전용 실습실이 없는 학교가 32.6%나 되었다. 일곱째, 실습 기구 중 종류 별로 확보량이 기준량보다 많은 것은 54종에서 14종에 불과하며, 조리 기구에 비해 재봉 기구는 더 미비하였고, 사용률은 45.4%이었다. 여덟째, 대부분의 교사나 학생은 家政科에 대해 올바르게 인식하고 있으나 소수의 학생은 가정 생활에 필요한 기술, 즉 家事科 내용으로 인식하고 있었으며, 家政科가 생활에 도움을 주는가에 대해 교사보다 학생이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점으로는, 1. 상업고등학교의 특성을 고려하여 「家事」 내용과 직장 예절 교육 내용을 더 첨가한 상업고등학교용 家政科 교과서가 마련되어야 하며, 교과 내용을 충분히 학습할 수 있는 이수 단위 배당의 조정이 필요하다. 2. 家政科 교사는 가정교육학 · 가정학 전공자가 담당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론과 실습 지도를 병행해야 하는 家政科의 성격을 고려하여 교사 전체의 수업 시간 평형에만 치중한 타교과 담당은 개선되어져야 한다. 3. 家政科 교육을 효율적으로 실시할 수 있는 최소한의 시설로 조리실 · 재봉실 · 가정관리실과 실습 기구의 확충이 필요하다. 4. 생활관은 각 학교마다 설비하는 것이 바람직하겠으나 지방에는 소규모의 학교가 많으므로 시 · 군별로 시범적인 시설을 마련하고 家政科 교사 중에서 생활관 실습 지도 전담 교사를 배치하여 관내 모든 학교가 이용하는 방법의 연구가 필요하다. 5. 家政科 교사와 학생의 家政科에 대한 인식 조사에서 家事내용으로 인식하고 있는 학생에 대해 올바른 인식 지도가 필요하며,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가정 실습」 활용과 학교에서 실천해 볼 수 있는 실습실 활용에 대한 연구가 있어야겠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