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81 Download: 0

새로운 造形美의 追求

Title
새로운 造形美의 追求
Other Titles
(An) Approach to the Pursuit of New Beauty in the Formative Arts : with emphasis on themes and techniques
Authors
金惠媛
Issue Date
1983
Department/Major
대학원 회화학과
Keywords
조형미추구회화이론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
Abstract
現代의 繪畵는 날로 主題와 技法이 다양하게 擴大되는 狀況에 있다. 이것은 藝術의 根源的인 創意性의 發露인 동시에 現代의 文明化에 대한 反應이기도 하다. 특히 東洋畵에 있어서 이러한 狀況은 現代化와 傳統의 問題로 歸着되며, 그러한 問題意識은 크게 두 가지의 傾向으로 나타난다. 즉, 傳統的인 東洋精神을 살려 現代的인 새로운 表現技法을 추출해 나간다는 경향과 從來의 東洋畵라고 하는 觀念을 떠나 새로운 內容과 形式을 創造해 나가려는 경향이 그것이다. 이것은 또 하나의 傳統을 향한 과정이라고 볼 수 있으며 그러한 양상으로 볼 때 傳統이란 樣式的 固定性을 意味하는 것이 아니라 사물을 보는 方式이나 技法의 解釋에 의한 精神的 所産이라 생각된다. 따라서 精神的 要求와 當爲에 따라 양식은 오히려 변형되고 드디어 「오늘의」傳統이 또다시 탄생한다는 순환논리가 나타나게 된다. 本人은 이러한 觀點에서 作品을 제작함에 있어서 그 精神的 바탕을 老·蔣子의 自然主義 思想에 두고 이에 따른 作品의 형식을 模索하려고 한다. 老·莊子의 自然主義 思想에 의하면 天地萬物은 無에서 생겨난 有가 다시 그 根源인 無에 돌아가는, 無와 有의 去來關係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自然의 美는 모든 對象의 本然的인 自然性에서 흘러나오는 것이며 그러한 自然性의 把握은 오직 '莊子의 背後에 간직된 無를 보는 일' 즉, 靜觀에 의해서만 可能하다고 보았다. 이렇게 自然性의 신비를 把握하는 靜觀의 態度는 對象을 時間·空間의 관계로 바라보는 境地 즉, 對象의 本質的인 內的, 生成性을 바라보는 境地를 招來하였다. 本人은 作品을 제작함에 있어서 계단이나 보도 블럭 등에서 볼 수 있는 '龜裂'이라는 現象에 흥미를 느꼈으며 단순히 그 표면에 나타난 造形要素의 變化나 아름다움을 느꼈을 뿐 아니라 時間과 空間의 關係로 認識하게 되어 作品의 主題 設定을 東洋思想에 接近시켜 보려 한다. 이러한 內容을 表現하기 위한 형식으로는 觀點의 移動에 의한 畵面構成과 종이를 移用한 판화 기법을 통하여 表現의 可能性을 探究하려 한다. 結論的으로 東洋의 自然觀을 바탕으로 한 主題와 이것을 표출하기 위한 方法的 摸索을 통해서 새로운 감각의 造形美를 追求하려고 한다.;The modern painting is increasingly expanding its theme and techniques. This represents the manifestation of creativity, and simultaneously a response to an aspect of the modern civilization. Especially in the Oriental painting, this situation consists of modernization and tradition, then being represented in two ways. One is the pursuit of a new expressional technique on the basis of the Oriental spirit, and the other is the creation of a new style of painting with different contents, aside from the concept of traditional Oriental painting. It seems that this process indicates a new way toward another tradition. When viewed from this point of view, the tradition is considered to be a spiritual product by means of interpreting the methodology or techniques by which we see things, not to be a fixed style. Accordingly, there comes a circulating logic that a style can be transformed to another and today's tradition be newly created depending upon the spiritual needs and necessities. This study intends to grope for a style of painting on the basis of oriental thought, especially of the natural ism of Lao-tzu and Chuang-tzu. According to their naturalism, all creatures come from the traditional correlation between being and naught, and being from naught returns to its original state, naught. Natural beauty flows from its original nature. The grasp of the original can be made only by seeing the naught existing at the back of being, namely by serene contemplation. The attitude of the contemplation to grasp the mystery of nature provides one with an alternative to see things in terms of relation between time and space, especially with an alternative to see essential internal becoming. This study is keenly interested in the "cracks", a physical phenomenon, usually found on stairs or pedestrian's blocks, and an attempt is made to introduce a theme to the Oriental thought feeling not merely the formative variations and beauty appreared on the surface and understanding the correlation between time and space. A technique of printing by the formation of canvas seen from traditional views and by using a hard paper, was introduced, thereby a pursuit is made of new possibilities of expression. In conclusion, this study tries to pursue a new sense of formative beauty on the basis of the Oriental view of nature, and by a proper method to express i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