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8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은아-
dc.creator조은아-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5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5Z-
dc.date.issued2003-
dc.identifier.otherOAK-00000000364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76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3644-
dc.description.abstractTeacher s perception on both potentialities of students and ability of teachers themselves have an important effect on establishing teaching method and accomplishing instruction. Particularly as students with disabilities have specific traits, Special education teachers take important role in providing proper environment to their needs and planning individualized education. But till now in our country, there rarely were the studies on special teacher s perception on their ability, whether special teacher s personal teaching efficacy or perception have effect on whole teaching performance. Therefor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degree of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teaching performance, correlation between personal teaching efficacy of special teacher and teaching performance.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special teachers at both elementary and junior high special schools of mental retardation and emotional disturbance and special classroom of elementary and junior high schools in Seoul. This study used questionnaires survey and 176 responses from teachers was statistically researched. Measuring tools were used a personal teaching efficacy questionnaire based on Gibson and Dembo(1984)’s scale and a teaching performance questionnaire. As a result analysis, teacher s background variables like distinction of sex, age, educational experience, educational level, workplace and sort of schools are calculated with frequency and percentage. And to verify differences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teaching performance according to background, responses were analyzed by t-test and one way ANOVA. The Pearson s simple product moment was calculated for correlation analysis of a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teacher s degree of teaching performa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rsonal teaching efficacy are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level, experience of teacher. Age thirties showed higher teacher efficacy than twenties, and owner of master s degree than of bachelor s degree, experience of from 10 to 15 years than less than 5 years. Second, degrees of teaching performance are statistically different according to age, educational level, experience of teacher. Age thirties showed higher teacher efficacy than twenties, and owner of master s degree than of bachelor s degree, experience of from 10 to 15 years than less than 5 years. Third, personal teaching efficacy of special teacher shows high correlation with degrees of teaching performance. Therefore, in reference to special teacher s personal teaching efficacy and degrees of teaching performance, it found that special teachers need practical study and training programs about teacher efficacy and teaching performance . ; 교사가 학생의 가능성을 어떻게 인식하느냐, 교사로서 자신의 능력을 어떻게 인식하느냐는 교육의 방향성을 설정하고 교수를 수행하는데 있어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특히 특수교사는 장애학생들이 지니는 특성으로 인해 그들의 필요에 적합한 환경을 제공하고 개별화된 교육을 계획하고 실시하는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현재까지 우리나라는 특수교사가 자신의 능력을 어떻게 인식하는지를 다룬 개인적 교수효능감에 대한 연구나 교사의 전반적인 교수수행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특수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개인적 교수효능감, 교수수행정도의 차이를 파악하고,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교수수행정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에 있는 정신지체, 정서장애 특수학교 초등부와 중학부,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특수학급에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176부의 설문지를 사용하여 연구결과를 얻었다. 연구도구는 개인적 교수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하여 Gibson과 Dembo(1984)의 설문지에 근거하여 제작된 설문지를 기초로 문항을 구성하였으며, 교수수행정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미국 특수교육협회(Council for Exceptional Children : CEC)가 1995년에 제시한 특수교사에게 필수적으로 요구되는 교수수행과 관련된 목록을 수정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결과분석은 교사의 배경변인인 성별, 연령, 교육경력, 학력, 학교과정, 교육기관에 따른 분포를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배경변인에 따른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교수수행정도의 차이가 유의미한가를 검증하기 위하여 두 독립표본 t검증, 일원분산분석(ANOVA)을 하였다.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Scheffe 사후분석을 하였다. 또한 특수교사가 지각한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교수수행정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교사의 연령, 경력, 학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20대 교사보다는 30대 교사가, 경력 5년 미만의 교사보다 10년 이상 15년 미만의 교사가, 대학을 졸업한 교사보다 대학원을 졸업한 교사가 유의하게 높은 점수를 높였다. 둘째, 교수수행정도는 교사의 연령, 경력, 학력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20대보다는 30대 교사가, 경력 5년 미만의 교사보다 10년 이상 15년 미만의 교사가, 대학을 졸업한 교사보다 대학원을 졸업한 교사가 유의하게 높은 교수수행정도를 나타냈다. 셋째, 특수교사가 지각한 개인적 교수효능감은 교수수행정도와 높은 상관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특수교사의 연령, 경력, 학력에 따라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교수수행정도가 차이가 있고, 또한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교수수행정도의 상관관계가 높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특수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을 높이고, 교수수행정도를 증진시킬 수 있는 교사교육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고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ix I. 서론 =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1 B. 연구 문제 = 4 C. 용어의 정의 = 5 II. 이론적 배경 = 6 A. 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 = 6 1. 개인적 교수효능감 = 6 2. 개인적 교수효능감에 대한 평가 = 10 3.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개인적 교수효능감의 차이 = 13 B. 특수교사의 교수수행정도 = 14 1. 특수교사의 교수수행 = 14 2. 특수교사의 교수수행에 대한 평가 = 16 3.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교수수행정도의 차이 = 20 C.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교수수행정도와의 상관관계 = 21 III. 연구방법 = 25 A. 연구대상 = 25 B. 연구도구 = 26 C. 자료수집 절차 = 31 D. 통계처리 방법 = 33 IV. 연구 결과 = 35 A.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특수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의 차이 = 35 B. 교사의 배경변인에 따른 특수교사의 교수수행정도의 차이 = 41 C. 특수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교수수행정도의 상관관계 = 54 V. 논의 및 제언 = 55 A. 논의 = 56 B. 제한점 = 61 C. 제언 = 62 참고 문헌 = 63 부록 = 71 영문초록 = 7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1628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특수교사의 개인적 교수효능감과 교수수행정도 분석 : 교사 배경변인별 차이와 상관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dc.date.awarded2003.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