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2 Download: 0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을 위한 지역사회 통합 준비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교사들의 인식 비교 연구 : 특수학급 교사와 원적학급 교사를 중심으로

Title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을 위한 지역사회 통합 준비 교육과정 운영 실태 및 교사들의 인식 비교 연구 : 특수학급 교사와 원적학급 교사를 중심으로
Authors
최윤희
Issue Date
200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serve as a basis for better integrated education for the disabled students and their more smooth integration with community, by surveying the reality of high school special class, which didn t yet get on the right track, and teacher awareness of the content and necessity of curriculum for their integration with community.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1 special class teachers and 187 general class teachers in high schools with special class across the country. The 187 general class teachers were initially in charge of disabled children. For attaining the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First, what is reality of high school special class? Second, do teacher variables make a difference to the subjects opinions on the current curriculum? Third, do teacher variables make a difference to the subjects opinions on the requirements for(or necessity of) future curriculum? Fourth, is there any disparity between the current curriculum and their requirements for(or necessity of) future curriculum? Fifth, is there any difference of opinions on future curriculum management between special class teachers and general class teachers?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First, concerning the actual state of special class, the motivation of teaching special class students was different between the special class and non- special class teachers, as many special class teachers told they were in charge of them to learn special education, whereas the general class teachers came to teach them just because disabled students were assigned to their classes. In most cases, special class used the same kind of name as general class, and the name of special class itself was used widely. The most largely exhibited type of disability was mental retardation, followed by emotional disturbance and learning disability. In many cases, the whole students of special class were integrated together into general class at a time. Most special class teachers had a qualification certificate for special teacher, and asked other teacher s advice on disabled student matter more than the general class teachers. And special class was run on part-time basis in many cases. Second, teacher variables made a difference to the subjects view on the current curriculum in general. Specifically, statistical difference was generated by the following sub-factors: individualized curriculum implementation for each student, community adaptation program implementa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vocational training, personal management training implementation, the presence or absence of leisure training, governmental or business involvement in special class, and teacher s own efforts for better understanding of special class students. Third, there also was a difference in the requirements for future curriculum between the special class teachers and the general class teachers. Among sub-factors, statistical disparity was produced by the necessity of community adaptation program and the necessity of vocational training. Fourth, there was a general gap between the current curriculum and the requirement for(or necessity of) future curriculum. Among sub-factors, they showed higher demand for another curriculum, and significant difference existed in every item. The statistical gap also was observed between the special class teachers views on every item, except for personal management training implementation. For the general class teachers, there also was a gap in every item. Fifth, as a result of investigating the two teacher groups opinions on future curriculum management, there was a disparity between their ideas about curriculum management, teaching method, teaching content and assessment method, among the items which were listed as things to be corrected in future curriculum. Besides, the two teacher groups had different opinions on the time for providing community integration program for special class students and student s own efforts for community integration. ; 고등학교 특수학급 학생들은 졸업과 동시에 지역사회의 구성원으로서 살아가야 하는 역할을 부여받는다. 그러나 준비되지 않은 상태로 역할이 주어질 때에는 성인의 삶을 영위해 나가는데 많은 어려움에 부딪치게 된다. 따라서 고등학교 특수학급에서는 특수학급 학생들이 지역사회에 통합되기 위한 준비가 필요하며 이러한 필요성에 의해 특수학급 교사들과 원적학급 교사들은 지역사회 통합 준비 교육과정에 대해 계획하고 실행하여 특수학급 학생들이 지역사회에서 구성원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고 삶의 질을 높일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아직 정착되어 있지 않은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실태를 알아보고, 특수학급 학생들의 지역사회 통합 준비를 위한 교육과정의 운영 현황과 필요성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들과 원적학급 교사들의 의견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특수학급 학생들에게 질 높은 통합 교육의 기회를 제공하도록 할 뿐 아니라 지역사회로의 통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도록 하는 데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다. 본 연구의 대상은 전국에 특수학급이 설치되어 있는 34개 고등학교 특수학급 교사 61명과 원적학급 교사 187명이며, 연구 도구로는 지역사회 생활을 위한 장애학생 통합 준비 교육과정에 대한 이론과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자가 직접 만든 설문지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교 특수학급의 운영 실태에서는 특수학급 학생들을 지도하게 된 동기에서 특수학급 교사들은 특수교육에 대해서 배우는 자세를 가지고 라는 의견이 지배적이었다. 특수학급의 명칭은 원적학급과 같은 학교가 가장 많았으며, 특수학급 학생들의 장애 유형은 정신 지체, 정서장애, 학습장애 순 이었고, 전체 학생이 원적학급에 통합되고 있으며, 시간제특수학급으로 운영하고 있었다. 특수학급 교사들의 대부분은 특수교사 자격증을 가지고 있었고, 원적학급 교사들에 비하여 특수학급 학생에 관하여 다른 교사와 의논하는 비율이 높았다. 둘째, 현재의 지역사회 통합 준비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의견에서 특수학급 교사들의 경우, 특수학급 학생에 대한 개별화된 교육과정 실행을 가장 많이 실행하였고, 원적학급 교사들은 특수학급 학생에 대한 교육과정 실시가 전체적으로 보통이하 이지만 그중 직업훈련의 실행 을 가장 많이 실시하였다. 특수학급 교사들과 원적학급 교사들의 현재 교육과정 운영에서 학생별 개별화된 교육과정 실행 , 지역사회 적응 프로그램 실행 , 직업훈련 실행 , 개인관리 훈련 실행 , 여가훈련 실행 , 기관이나 사업체에 특수학급 학생의 참여 , 특수학급 학생에 관한 이해도 증진을 위한 교사 자신의 노력 등에서 의견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셋째, 지역사회 통합 준비 교육과정에 대한 요구사항(필요성)에 있어서 특수학급교사들과 원적학급 교사들은 직업훈련 실행에서 가장 높은 필요성을 나타내었다. 앞으로의 교육과정 운영 방향에 대한 요구사항(필요성)에서 특수 학급 교사들과 원적학급 교사들의 의견을 살펴본 결과 지역사회 적응 프로그램 실행 , 직업훈련 실행 에서 의견의 차이가 나타났다 넷째, 현재의 지역사회 통합 준비 교육과정 운영과 요구사항(필요성)에 대한 특수학급 교사들과 원적학급 교사들의 의견에서는 교육과정 전체에서 차이를 보였고, 현재 상황에 비하여 필요성에 대한 요구가 높게 나타났다. 특수 학급 교사들의 의견에서는 교육과정 전체에서 개인관리 훈련 실행을 제외한 모든 문항의 필요성이 부각되면서 의견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원적학급 교사들에 있어서도 교육과정 운영 전체에서 필요성을 강하게 보이면서 현재와 필요성 사이에 유의한 의견의 차이를 나타내었다. 다섯째, 향후 지역사회 통합 준비 교육과정 운영 방향에 대하여 특수학급 교사들은 교수내용 교수방법 을, 원적학급 교사들은 평가방법 과 교수형태 를 우선 순 으로 수정하여야 한다고 하였다. 지역사회 통합을 위한 계획이 시행되어야 하는 시기에 있어서 특수학급 교사들은 고등학교라고 응답한 반면 원적학급 교사들은 고등학교 졸업 후라고 대답하였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볼 때, 특수학급 학생들은 일반학교에 통합을 하고 있으면서도 비장애학생들과 분리된 환경에서 생활하고 있으며 원적학급 교사들은 특수학급 학생의 지역사회 통합 준비 교육과정에 대하여 필요성은 인식하고 있으나 현재 실행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수학급 학생이 지역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비장애인들과 함께 살아가는데 도움을 주기 위해서는 원적학급 교사들이 지역사회 통합을 준비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실행할 수 있도록 자질을 갖추어야 할 것이며, 또한 특수학급 학생들의 통합교육 현장에서 특수학급 교사들과 원적학급 교사들의 의사소통을 증가시킴으로써 지역 사회 통합을 위한 적절한 훈련이 실행될 수 있도록 상호 연계적인 지원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