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79 Download: 0

중등학교 초임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멘터링 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연구

Title
중등학교 초임교사의 전문성 발달을 위한 멘터링 방법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연구
Authors
김설미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행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유경
Abstract
교사 양성 기관을 졸업하교 학교 현장에 갓 들어간 초임교사는 ‘학생’에서 ‘교사’의 입장으로 힘겨운 역할의 전환 과정을 맞게 된다. 그러나 초임교사들이 하는 일들은 다른 전문직의 초기 과정과 달리 교직 초기부터 경력 교사들과 본질적으로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초임교사들은 학교 현장에 부임하자마자 심리적인 여유나 안정을 찾을 겨를도 없이 학급을 담당하게 되고 즉시 수업활동을 해야 한다. 물론 초임교사는 직전 교육을 통해 여러 가지 내용을 학습하지만, 실제로 교육 활동을 수행해 나가는데 충분하지 않다. 다른 전문직에 비해 실무를 접할 수 있는 기회가 적으며, 짧은 교육 실습 기간만 마치면 자격증을 교부받을 수 있다. 교육 실습 개선의 요구가 거세지만, 아직 획기적인 해결책을 찾기는 어렵다. 또한, 직전 교육이 아무리 우수하다고 해도 교육 현장에서 겪게 될 모든 구체적인 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가르칠 수는 없다. 그러나 초임교사의 이런 어려움에도 불구하고, 학교 현장에의 원활한 적응과 문제 해결을 위한 충분한 도움이 주어지지는 않는다. 초임교사를 지원하는 것은 교직에 쉽게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장기적으로 초임교사의 전문적 성장을 지원하는 수단이기도 하다. 경력교사들로부터 학습 경험을 많이 제공받은 초임교사 일수록 조직 내 역할에 쉽게 적응하며, 직무만족도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우리나라에서는 2001년 대전광역시 교육청에서 멘터링을 도입한 후 초등학교와 일부 지역 중등학교에서 초임교사를 지원하기 위해 멘터링 프로그램을 도입하여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형식적으로 짝이 맺어져 있을 뿐 실제적으로 멘터링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으며, 멘터링 프로그램이 있다는 사실을 모르는 교사도 많다. 초임교사를 지원하기 위한 좋은 수단으로 인정되어 도입된 프로그램이 그 본래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고 형식적으로만 운영되는 것은 안타까운 일이 아닐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중등학교에서의 초임교사를 대상으로 한 멘터링의 바람직한 방법에 대한 의견조사를 통해 초임 교사의 교직 적응과 전문적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멘터링의 방법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위의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 내용은 다음과 같다. 1. 멘터링 관계는 어떤 방법으로 형성되어야 하는가? 2. 멘터링 활동은 어떤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하는가? 3. 멘터링의 활성화를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 4. 멘터링 활동의 평가 방법은 어떤 것이 적당한가? 본 연구에서는 위와 같은 연구 내용을 탐구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변인을 성별, 교육경력, 직급, 학교 급, 설립구분, 학교 규모, 경력 5년 미만 교사 비율로 설정하고. 서울시 교육청 내 50개 중등학교를 무선 표집하여 교사 5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통계 자료는 SPSS v.12.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멘터링 관계는 어떤 방법으로 형성되어야 하는가?”라는 첫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0년 이상 경력의 동학교 교사 중 담당 부서장의 추천과 초임교사의 희망을 고려하여 멘터의 지원 혹은 동의를 받아 멘터 인력을 확보하는 것이 적절하다는 응답이 많이 나왔다. 또한 동교과나 동학년을 담당하는 멘터 중 멘터의 의견과 초임교사의 의견을 조율하여 1 대 1로 짝을 맺어 주어야 한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멘터를 위한 교육은 겨울방학 내지 봄방학 기간 중 7일 정도 내에서 멘터링, 교사 발달, 교수-학습에 관한 내용으로 실시하는 것이 좋으며, 멘터 간의 모임이나 대화창구를 개설하여 상호 조언과 협조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지원체제를 구축해야 한다. “멘터링 활동은 어떤 방법으로 이루어져야 하는가?”라는 두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멘터링 활동은 1년 동안 주 1회의 공식적인 만남을 포함하여 활동하는 것이 적절할 것으로 예상되며, 동교과나 동학년 등 멘터와 초임교사 간의 공통점이 많을수록 원만한 관계 형성에 더 좋을 것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멘터와 초임교사의 의지가 겸해지면 더욱 의미있는 멘터링 활동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 멘터링의 영역은 학생 생활지도와 교수-학습지도, 학급 경영에 두루 초점을 맞추어야 하나, 학교 급 또는 학교 설립 구분에 따라 초점 영역의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멘터링의 활성화를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라는 세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제반 여건이 잘 되어 있지 못하고 방법도 모르는 상태에서 형식적으로 짝을 맺는 것이 멘터링 활동에 어려움의 원인으로 나타났으며, 따라서 멘터의 다른 업무를 줄여 시간을 확보해 주어야 하며 수당을 지급하는 등 행정적 지원이 필요하다. 더불어 보람과 자부심이 멘터의 심리적 동기 요인으로 작용할 것으로 다수가 응답하였다. 멘터링 활동은 다른 학교 구성원에게도 새로운 자극과 동기를 부여하는 기회가 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마지막으로 “멘터링 활동의 평가 방법은 어떤 것이 적당한가?”라는 네 번째 연구문제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초임교사의 적응도 및 직무 만족도 조사가 적절하다는 응답이 가장 높았으며, 초임교사의 활동 보고서나 일지가 그 다음으로 나타났으며, 변인 간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멘터링 프로그램은 교육실습의 기회를 충분히 가지지 못한 상태에서 현장에 바로 투입된 초임교사들이 직무를 수행하면서 전문성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나의 대안이 될 수 있다. 멘터로 참여한 경력교사들은 초임교사를 돕기 위해 그 동안 지켜온 원칙이나 방법을 재점검 해보고, 초임교사로부터 참신한 아이디어를 얻으며, 보람과 자부심을 느낄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직접적으로 멘터링 활동에 참여하지는 않지만 그 과정을 지켜보는 다른 학교 구성원에게는 새로운 자극과 동기 부여의 기회가 되며, 학교 조직 내 대화와 이해 증진에도 도움이 된다. 그러나 본 연구의 결과와 같이 제반 여건이 잘 되어 있지 못하고 멘터링의 방법도 모르는 상태에서 형식적으로 짝을 맺는 것은 멘터링 활동의 효과를 감소시키는 중요한 방해요인이다. 멘터링 프로그램을 도입하기 전에 업무 경감과 시간 확보 등의 제반 여건을 구축하고 멘터링에 대한 교육과 상담 창구 개설, 행정적 지원 등 세심한 지도와 배려가 필요하다.;A newly appointed teacher who graduated from teacher training schools has faced with the challenging role shift from 'a student' to 'a teacher.' But, in contrast to other professionals, the starting teachers have performed the same roles in the early stage of the career as teachers with careers. Upon being appointed to schools, the starting teachers have to be charged with a class and have a lesson, no time to recover his/her composure and to be relaxed psychologically. Although the starting teachers have learned many things from pre-training, it is not enough for them to use what they learned in practice. Compared to other professions, there is so little opportunity to bring into practice, so teachers can be issued a certificate after completing a short-term practice teaching course. Even though the voices of improving practice teaching have been strong, it is still difficult to find an epoch-making solution. Besides, however best a pre-training may be, would-be teachers cannot be taught A to Z on how to deal with what they would face in the field. Nevertheless the starting teachers have been provided with insufficient support for smooth adaption to and problem solution in the field. To support the starting teachers is to make them adapt to the teaching career with ease, and is a way to support their professional growth for a long-term. The starting teachers who have heard career teachers' learning experiences are more likely to be adapted to the roles within the organization. This study aims to find a means of mentoring that would support the starting teachers in adapting to schools and growing as professionals by way of request survey on mentoring with the starting teachers in middle schools. For the study, the subject are as follows; 1. What kind of mentoring relationships should be stablished? 2. What mentoring activities should be taken? 3. What will make mentoring spread? 4. How mentoring activities should be evaluated? To examine the subject specified above, prior studies were reviewed to identify variables by gender, teaching career, job position, school ranks, establishment division, school size, and percentage of teachers with careers of less than 5 years. Then, 50 middle schools were randomly selected under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500 teachers were asked to participate in questionnaire survey. The SPSS V.12.0 was used to process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Results of the 1st subject “What kind of mentoring relationships should be established?" are summed as follows: Many respondents said that it would be good to have mentor teachers by volunteering or by agreement in consideration of the chief teacher's referral(out of teachers with more than 10 years career in the same school) and the starting teacher's hope. Also, it is found that mentors and mentees who are in charge of the same subject or the same grade should be paired one-to-one taking the opinions of the mentor and the starting teacher into account. Training for mentors should be arranged focusing on mentoring, teacher development, and teaching-learning for 7 days in Winter or Spring vacation. And a support system should be made for mutual advice and cooperation, such as gathering of mentors or talk room. Results of the 2nd subject “What mentoring activities should be taken?" are summed as follows: Respondents believed that mentoring activities should be managed including formal meetings on a session a week for a year basis and that the more things mentors and the starting teachers have in common, the better relationships they will have. It is expected that the combination of the mentor's and the starting teacher's will leads to the more significant mentoring activities. Respondents said that the domain of mentoring will focus on student guidance, teaching-learning guidance, and class management thoroughly, but it is found there is a gap in focus domain according to school ranks or establishment division. Results of the 3rd subject “What will make mentoring spread?" are summed as follows: Respondents said that the difficulty in mentoring lies in making a pair formally without knowing general conditions and how to do mentoring. So, it required administrative support, such as reducing a mentor's other duties and giving an allowance accordingly. In addition, many of respondents said that a mentor will be psychologically motivated by fruitful labors and pride. It is expected that mentoring activities will give another stimulus and motives to other faculty members. Finally, results of the 4th subject “How mentoring activities should be evaluated?" are summed as follows: Most of respondents said that the starting teachers' adaptation and job satisfaction are suitable, followed by their activity report and daily journal, with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variables. A mentoring program will be an alternative plan of helping the newly appointed teachers with insufficient teaching practices perform their work and raise their professionality. For the part of career teachers as mentors, mentoring gives many opportunities to reexamine the existing principles and methods, to get new ideas from the starting teachers, and to feel the worth of labors and pride. For the part of other faculty members who do not participate in the mentoring directly but observe the process, it represents opportunities to give new stimulus and motivation and to help enhance the conversation and understanding within the school organization. However, the challenging factor is to make a pair formally without knowing how to do mentoring under the insufficient general conditions, which reduces the effect of mentoring activities. Before introducing mentoring programs, it needs thoughtful guidance and consideration, such as satisfying the general conditions, having mentoring training, opening the counseling route, and preparing administrative suppor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행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