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현숙-
dc.contributor.author서현정-
dc.creator서현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3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60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74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602-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중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효과적인 문학 교수-학습을 위한 발문 전략을 모색하고 그 효과를 검증하는데 목적이 있다. 문학교육이 지향하는 것은 학습자가 능동적인 의미생성자로서 새로운 의미를 구성하고 소통할 수 있는 장을 마련하는 것이다. 본고에서는 반응 중심 문학교육이론을 토대로 문학교육의 의의를 정립하고, 학습자 중심의 문학 수업을 실현할 수 있는 구체적인 교수-학습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에 본고에서는 전통적인 교수법인 발문법을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감상을 이끌어내는 도구로 삼았다. 발문을 학습자가 의식하고 있지 않았던 것에 대하여 문제의식을 갖게 하거나 사고 활동을 유발하며, 표현 활동을 촉구하는 중요한 매개로 보고, 효과적인 문학 수업을 위한 전략을 살펴보았다. 즉 효과적인 문학교육의 발문전략으로 교사의 단계적 발문과 학습자 주도의 발문을 제시하고, 교사의 계획적인 발문을 토대로 감상의 층위를 확장시키도록 하였으며, 학습자 주도의 발문을 중심으로 대화 및 토론을 유도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이해와 감상의 수준을 확인하는 도구로서 후속활동을 마련하여 능동적 감상의 결과물로 삼았다. Ⅰ장에서는 효과적인 문학교육을 위해 발문법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선행 연구를 검토하여 본 연구를 위한 구체적인 연구방법과 범위를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문학교육의 의미를 고찰하고, 이론적 배경이 되는 발문의 개념을 밝혀 문학교육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발문전략의 틀을 제안하였다. 또한 교사들의 발문에 대한 인식과 적용 실태를 분석하기 위해 중등교사 3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여 교사 발문의 중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현장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교사의 발문전략과 학습자 주도의 발문전략의 방안을 설계하고,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였다. Ⅳ장에서는 발문전략 중심의 교수-학습의 실제를 분석하기 위해 중학생들로 구성된 소집단 대상의 수업을 진행하여 교사의 단계적 발문과 학습자 중심의 발문전략의 효과를 살펴보았다. Ⅴ장에서는 이상에서 논의된 사항들을 통해 도출될 수 있는 결론을 정리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실시한 발문 중심 수업의 한계점을 지적하여 보았다. 요약하면, 주어진 텍스트의 기본적 이해를 위한 발문과 심화된 차원의 이해를 이끌어낼 수 있는 확장형 발문을 단계적으로 적용하고, 교사주도의 수업에서 학습자 주도의 수업으로 전이되도록 시도한 본 연구는, 다양한 발문을 토대로 토의 활동 및 쓰기 활동 등의 후속활동과 연계시켜 사전·사후 활동을 비교·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교사 주도의 단계적 발문은 학습자의 문학 작품에 대한 이해와 감상의 폭을 확장시키는데 효과적이었다. 2. 학습자가 주도하는 발문을 토대로 문학 수업을 전개할 때, 학습자들의 적극적인 감상 태도가 형성되었다. 문학 수업에서 학습자의 문학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발문의 유형과 전략은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의 의의는 현장 수업에서 적용할 수 있는 발문을 활용하여 학습자가 유의미한 문학 감상교육을 원활하게 할 수 있음에 둔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question strategy and to examine the effect of literary class in middle school. The literary education aims to offer learners motive for the development of thinking and interacting. This study based on the response-centered theory identifies significance of literary education and suggests a practical teaching-learning method to realize the ideal lea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Hence this study develops questions as a traditional teaching method to guide learners' active appreciation on literatures. Question is regarded as a medium that lets leaners have a critical mind about the matters they have never thought and induces thinking activities and enhances various expression activities. This study inquires effective strategies such as teacher-directed question-generation and leaner-directed question-generation for significant literary education : an intentional teacher-directed question can expand the width of appreciation and a leaner-directed question-generation can derive active conversation and debate. The succeeding activity is set to define literary capability and is made of the result of active appreciation as well. The chapter I shows that the necessity of questions for meaningful literary education, examines previous studies, and presents the practical method and the range of research. The chapter II, which inquires the significance of learner-centered literary education makes the conception of question as a theoretical background clear and suggests a framework of question strategies which can be applied in literary class. Also this chapter executes a questionnaire to 30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confirms the importance of teacher's question. The chapter Ⅲ plans the program of teacher-directed question strategies and learner-directed question strategies and shows the teaching-learning model. The chapter Ⅳ, which presents that a survey conducted on the group consisted of 5 middle school students to analyze the practice of question strategy-centered class, shows the effect of teacher-directed question strategies and learner-directed question strategies. The chapter Ⅴ presents the conclusion by the above methods and points out the limitation of question strategy-centered class which was practiced in this study. In short, this study shows the effect of teacher-asking questions for basic comprehension and divergent questions step by step for appreciation of a deepened dimension on the literary text and tries to change from teacher-directed to leaner-directed. This study connects literary teaching-learning focusing on question strategy and succeeding activities like discussing and writing and compares the results of the pre-class and the post-class. The results are following like this : 1. A teacher-directed question strategy step by step is effective in expanding the width of comprehension and appreciation on literary works. 2. A literary class based on learner-directed question-generation forms an active and independent appreciation-attitude. The pattern of the question and strategy are very important in order to enhance learner's literary ability.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leaners can appreciate literatures easily and completel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ⅶ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및 연구사 검토 = 1 B. 연구 방법 및 범위 = 7 Ⅱ. 이론적 배경 = 9 A. 학습자 중심의 문학교육 = 9 B. 발문의 이론적 기저 = 12 C. 문학교육의 발문전략 = 15 D. 발문에 대한 교사의 이해와 적용 실태 = 22 Ⅲ. 문학교육의 교수-학습을 위한 발문전략 = 29 A. 교사 주도의 단계적 발문전략 = 29 B. 학습자 주도의 발문전략 = 36 C. 발문전략 중심의 교수-학습 모형 = 38 Ⅳ. 발문전략 중심의 교수-학습의 실제 = 43 A. 발문전략 중심의 교수-학습 개요 = 43 B. 교사 주도의 발문전략을 통한 교수-학습 적용 = 47 C. 학습자 주도의 발문전략을 통한 교수-학습 적용 = 53 D. 학습결과 분석 및 교육기대 효과 = 58 Ⅴ. 결론 및 제언 = 67 A. 요약 및 결론 = 67 B. 제언 = 69 참고문헌 = 70 부록 = 74 ABSTRACT = 11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66496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문학교육을 위한 발문전략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Question Strategy for Literary Education-
dc.creator.othernameSeo, Hyun-Jung-
dc.format.pageviii, 115-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