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구본관-
dc.contributor.author공윤정-
dc.creator공윤정-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3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2594-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744-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2594-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give a diagnostic evaluation and a desirable program in high school grammar education based o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Usually, the foremost aim of the Korean Langage Education is to improve the learner's creative ability of using Korean Language. So by that point, the study considered the way of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and the contents in Korean Knowledge part of grammar textbook. Specifically, this study focused on the inquiry activities as adapting 'honorific expressions', 'causative expressions' and 'passive expressions' in the chapter of 'sentence' of high school grammar textbook. The reasons of selecting the chapter as a study target are in the appropriateness of using the inquiry activities adapting the knowledge of the subjects on the offered realistic conversation situations and the interesting factors that make the learners excited and active. The first part of the thesis is a observation whether the studies of grammar education is fully applied the aims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that makes the learners establishing the systematic knowledge about the Korean language and its cultural value through insights and logical thinking by the inquiry activities, using mother tongue right and having an attitude to contribute. If there's a problem in accomplishing those aims, an alternative must be suggested by the studies of the grammar education. In chapter Ⅰ, it's been represented for the purpose of this thesis and the overlook of the previous studies to suggest the way of conducting a desirable grammar education. The position of grammar education i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is discussed in chapter Ⅱ, and also the grammar education in textbook is examined as a embodiments of the curriculum. In other words, it's been checked whether the system contains not only the organized sentence rules but also the context situation that is using, and whether it deals with the meaning and function as well as form of the Korean language importantly. Therefore, it has to improve the ability of using Korean language. Knowing the Language Knowledge rightly means not knowing the organized knowledge system but knowing the context such as the specific meaning of the words in certain situation. Thus, grammar education have to make the students learn the language knowledge and the specific situation that is using together. Inquiry activity is one of the teaching methods that is used in grammar education in the seventh National Curriculum, so in chapter Ⅲ inquiry activity is explored and through those process, the problems of the 'inquiry' activities in grammar education are explained. From those revealed problems, it is possible to make a guideline for an advanced future education.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Korean language knowledge part, the grammar textbooks have to suggest the knowledge factors what the learners have to obtain and the activities as a learning process simultaneously. However, it is not suitable for the current textbook to give a 'inquiry' activities as a self-oriented learning process of the language knowledge. The problems of the inquiry activities in grammar textbook are those five. First, there aren't various activities which evoke to learn a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Second, there's none of the activities that expands the learner's thoughts. Third, it is a problem to leads a form-centered education. Fourth, it fails to induce the learner's interests and motivations. Fifth, the textbook is consisted with the language materials whose unit is not bigger than sentence. Based on those studies in chapter Ⅳ, the advanced plan of the inquiry activities and the elucidatory examples are presented which help the learners to have a interest and participate in the activities. These activities function to lead the students learn the knowledge through the process, so the study materials are related to the students everyday life. Those plans can help the current grammar education directly in the part of the 'inquiry' activities that can changes the difficult situations in today's school. At last, this thesis is concluded with summaries and comments in chapter Ⅴ.;본 논문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에 비추어 고등학교 문법 교육의 문제점을 진단해 보고 바람직한 학습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연구의 목적으로 삼았다. 이를 위하여 ‘학습자의 창의적 국어 사용 능력의 신장’을 최상위 목표로 하는 국어과 교육에서 국어지식 영역의 앞으로의 교육 내용과 교수-학습 방법에 대해 살피고 이를 문법 교과서에 반영할 수 있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그리고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의 ‘탐구’ 활동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개선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가운데서도 문법 교과서에서 다루고 있는 문장 단원의 ‘높임 표현’, ‘사동 표현’, ‘피동 표현’을 중심으로 개선 방안을 마련하였다. 문장 단원을 중심으로 하려는 이유는 각 소단원에서 다루고 있는 주제가 문장 단위만으로는 설명하기 어려운 담화성이 강한 내용을 갖기 때문이다. 이러한 특성은 ‘탐구 ’활동에서 새로운 사태의 문제를 해결하는 활동을 가능하게 하고 실제의 언어 생활을 학습의 재료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학습자에게 보다 흥미로운 내용을 제공해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 먼저 문법 교육에 대한 연구는 교육과정에 제시되어 있는 ‘국어에 대한 탐구 과정을 통한 통찰력과 논리적 사고력을 바탕으로 언어와 국어의 문화적 가치 및 국어에 대한 체계적인 지식을 갖추고, 국어를 올바르게 사용하여 국어의 발전에 기여하는 태도를 지닌다.’라는 문법 교육의 목표가 적절한 교육 내용으로 구체화되어 효과적으로 현장에서 적용되고 있는가를 검토해 보았다. 만일 그 과정에 문제가 있다면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는 차원에서 문법 교육의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염두에 두고 문법 교육의 바람직한 실현 양상을 제시하기 위해 우선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 선행 연구를 검토한 뒤, 연구 방법을 제시하였다. Ⅱ장에서는 제7차 교육과정과 문법 교육을 살펴봄으로써 문법 교육의 문제점을 짚어 보고 이를 토대로 문법 교육의 앞으로의 방향에 대해 고찰해 보았다. 즉,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에서 문법 교육이 어느 위치에 놓여 있는가를 검토하고 교육과정의 구현물이라 할 수 있는 교과서에 문법 교육의 내용이 얼마나 잘 구현되고 있으며 그 문제점은 무엇인지를 살펴보았다. 다시 말해, 문법 교육은 구조화된 문장의 규칙과 함께 그것이 사용되는 상황을 내용에 포함시켜야 하며, 국어의 형태뿐만 아니라 의미와 기능을 국어지식의 내용으로 중요하게 다루어야 한다. 나아가 이것을 활용하여 국어 사용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문법 교육이 담당해야 할 내용이다. 국어지식을 정확하게 안다는 것은 구조화된 지식 체계를 안다는 것이 아니라, 구체적인 언어 사용 상황에서 그것이 어떻게 사용되며, 어떤 의미를 갖는지를 안다는 것이다. 따라서 문법 교육에서는 국어지식이 사용되는 구체적인 상황을 학습자가 익힐 수 있게 해야 한다는 것이다. Ⅲ장에서는 문법 교육에 활용되는 방법으로써 제7차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에 반영된 학습방법의 하나인 탐구학습에 대해 살펴보고 현행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에 제시된 ‘탐구’ 활동의 검토를 통해 ‘탐구’ 활동 부분이 갖는 문제점을 밝혀 보았다. 현행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의 ‘탐구’ 활동이 갖는 문제점은 앞으로의 문법 교육이 나아갈 바람직한 방향을 설정하는 지침이 된다. 문법 교과서에서는 국어지식 영역의 특성에 따라 학습자가 습득해야 할 국어지식 요소를 선정하여 체계적으로 보여 주는 동시에 결과를 학습해 가는 과정으로서의 학습자의 활동을 제시해야 한다. 현행 문법 교과서의 단원 구성 체제에 이를 적용하면, 내용 항목에서는 학습자가 학습해야 할 국어지식을 체계적으로 설명하고 ‘탐구’ 활동에서는 학습자가 국어지식을 주체적인 활동을 통해 습득해 가는 과정을 제시해 주어야 한다. 그러나 현행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의 ‘탐구’ 활동은 이러한 역할을 제대로 수행하지 못하고 있다. 문법 교과서의 ‘탐구’ 활동 부분을 검토해 본 결과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발견하였다. 첫째, 다양한 언어 활동을 통해 국어지식을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다. 둘째, 학습자의 사고를 확장시킬 수 있는 활동이 포함되지 않았다. 셋째, 형태를 중심으로 한 문제가 중심이 되고 있다. 넷째, 학습자의 흥미나 동기를 유발시키지 못하였다. 다섯째, 문장을 최대 단위로 하는 언어 자료를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탐구학습을 적용한 고등학교 문법 교과서 ‘탐구’ 활동 개선 방안 마련하고 구체적으로 ‘탐구’ 활동 개발의 예를 제시하였다. 이는 단계적이고 다양한 활동을 통해 국어지식을 학습해 가는 과정을 안내하고 학습자가 흥미를 갖고 주체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중점을 두었다. 이를 위해서 학습자가 쉽게 느끼고 접할 수 있는 자료를 활용하였다. 이것은 현행 문법 교과서의 ‘탐구’ 활동 부분이 갖는 문제점을 개선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나아가 계속해서 새로운 탐구학습을 방법을 적용하여 구체적인 교수-학습에 직접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그리고 Ⅴ장에서는 앞에서 한 논의에 대한 요약 및 정리로 마무리하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 개요 = ⅵ Ⅰ. 서론 = 1 A. 연구의 목적 = 1 B. 선행 연구의 검토 = 3 C. 연구의 방법 = 7 Ⅱ. 문법 교육과 문법 교육의 문제점 = 9 A. 제7차 교육과정과 문법 교육 = 9 1. 제7차 국어과 교육과정 = 9 2. 문법 과목의 교육과정 = 19 3. 교육과정으로 본 문법 과목의 검토 = 24 B. 문법 교육의 문제점 = 27 1. 문법 교육에 대한 인식의 문제 = 27 2. 문법 교과서의 문제 = 30 3. 문법 교육의 교수-학습 방법의 문제 = 32 C. 문법 교육의 방향 = 34 1. 문법 교육의 내용 = 34 2. 문법 교육의 방법 = 36 Ⅲ. 문법 교과서의 ‘탐구’ 활동의 검토 = 40 A. 검토의 방법 = 41 B. 검토의 실제 = 41 1. 탐구학습 이론 = 41 2. 문법 교과서의 ‘탐구’ 활동 = 48 C. ‘탐구’ 활동의 문제점 = 54 Ⅳ. 문법 교과서의 ‘탐구’ 활동 개선 방안 = 57 A. 개선의 방향과 방법 = 57 B. ‘탐구’ 활동 개선의 예 = 58 1. ‘높임 표현’ 단원 = 58 2. ‘사동 표현’과 ‘피동 표현’ 단원 = 72 Ⅴ. 결론 = 79 참고문헌 = 82 ABSTRACT = 8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99384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고등학교 문법 교과서의 '탐구' 활동 개선 방안-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advanced plan of 'the inquiry' activities in high school grammar textbook-
dc.creator.othernameKONG, YUN-JEONG-
dc.format.pageviii, 87-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