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미현-
dc.contributor.author안정은-
dc.creator안정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3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3Z-
dc.date.issued2006-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012-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7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012-
dc.description☞ 이 논문은 저자가 원문공개에 동의하지 않은 논문으로, 도서관 내에서만 열람이 가능하며, 인쇄 및 저장은 불가합니다.-
dc.description.abstractThe initiation story basically refers to story which carries on the process of an immature and imperfect boy/girl stepping into the adulthood experiencing emotional sorrows and growth and deals with the perception of the reality and the process of seeking his/her notion of ego. Especially, this story is intensively related to literature education for adolescents in that it focuses on telling the processes where the innocent and immature character is getting matured and starts to perceive their new ego and their present state by forming self-characteristics. The adolescent period is a time when the anxieties and inquiries of the juveniles increase by looking things through a new vision. Questions about their existence are seriously raised, and they begin to struggle trying to find the answer. That is, this period is when the effort of self-investigation for straightening their true self-characteristics is actively occurred the most. Here, we can see that there are important factors that Initiation story contribute to teenagers by helping them form self-characteristics. This thesis deals with the educational aspects of literature in initiation story focusing on such connections. The purpose is to make known the meaning and the usage of initiation story by finding the educational elements of initiation story and suggesting the educational method to be able to make such elements effective. Initiation story helps learners take interests in story reading by minimizing aesthetic distance between learners and main characters, so such interests enables learners to read other kinds of story. In addition, learners experience culture of aesthetic sentiments and have the chances to be awakened to the present state. Thus, Initiation story makes learners’ internalization happen and also it would have an important influence on learners’ forming self-characteristics and confirming their own values. This thesis emphasizes the educational value of initiation story in the aspects of adolescent literature education. The educational value is very important in that the purpose of literature education is forming self-characteristics. That is, it is necessary to try to find in initiation story teaching and learning schemes which could be used in the act of literature education because initiation story could be used as a text for helping learners' forming self-identity in a very useful way. This thesis first treats of the features of literature education and methods of novel education to study initiation story in the educational aspects of literature. It is for finding educational elements of initiation story based on the features of literature education and novel education. Through the processes, we find that in initiation story, when individual activities are used with group activities, learners could maximize the process searching for what a story really means to them. Especially, we examined that in initiation story teaching and learning through a character could be a good way for effective education. This teaching and learning strategy through characters makes learners immersed in a story by putting their growth process and characters’ growth process in a same category, so it heightens learners’ interests and motive for story reading. Furthermore, it could affect the forming a good reading attitude. Initiation story conforms to the basic aim of the seventh curriculum, the learner-centered curriculum, so it seems very useful in that curriculum. Also, it includes lots of possibilities and values to be used in literature education in that writers’educational intension is strong. Especially, open ending of initiation story stimulates learners’ literacy imagination and makes them try to unify their lives and a story. Such process could be connected to literacy creative works, so it would be very meaningful in creative reconstruction of literature. That is, by dealing with the growth and realization of ego initiation story is the essence embodying human centered views on education which the whole curriculum is wanting for.;일반적으로 성장소설이란 ‘미성숙하고 불완전한 소년(소녀)이 성숙하고 완전한 성인의 세계로 들어서기까지 겪는 정서적 아픔과 정신적 성장, 현실 인식의 과정을 주로 다루는 소설’을 지칭한다. 순수하구 미숙한 인물이 더욱 성숙한 모습으로 발전해 나가는 과정, 자아정체성을 형성하여 새로운 자신과 현실의 모습을 인식해 나가는 과정을 중점적으로 다룬다는 점에서 성장소설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문학교육과 특히 밀접한 관련을 갖는다. 중등학교에 재학하는 청소년기는 새로운 시각에서 자기 자신과 세계에 대해 탐색하고 고민하는 시기이다. 존재에 대한 여러 가지 물음을 심각하게 제기하고, 이에 대한 해답을 찾기 위해 노력하게 된다. 즉, 자아정체성 정립을 위한 자기 탐색의 노력이 활발하게 일어나는 시기인 것이다. 여기에 청소년의 자아정체성 형성에 성장소설이 기여할 수 있는 요소가 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연관성에 주목하여 성장소설의 문학 교육적 측면을 조명하였다. 성장소설의 교육적인 요소를 추출하고, 그러한 요소를 효과적으로 발현할 수 있는 교육 방안을 제시하여 문학교육에 있어서 성장소설의 의미와 활용 방안을 밝히고자 한 것이다. 성장소설은 학습자와 주인공의 심미적 거리를 최소화할 수 있어 소설 독서의 흥미를 이끌어내며, 이러한 흥미는 다른 소설 독서로의 전이를 기대할 수 있게 한다. 또한 학습자가 등장인물의 성장 과정에 수반되는 정서적 아픔을 공유함으로써 정서 교육을 경험하고, 현실 인식을 확대하는 계기를 체험하게 된다. 따라서 성장소설은 학습자의 내면화를 이끌고 자아정체성 형성과 가치관 확립에 도움을 준다고 할 수 있다. 논의를 위하여 성장소설의 개념과 특성을 정리하고, 성장소설이 가지는 교육적 특성이 청소년들의 문학교육적 측면에서 지니는 교육적 의의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성장소설의 이러한 교육적 가치는 문학교육이 추구하는 목표인 ‘자아정체성 형성’이라는 맥락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즉 성장소설은 학습자의 자아정체성을 형성하기 위한 텍스트로 매우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으므로, 문학교육의 현장에서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교수 · 학습 방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성장소설을 문학교육의 측면에서 탐구하기 위해서는 우선 문학교육의 특성 및 소설교육의 방법을 고찰하여야 한다. 문학교육과 소설교육의 방법적 특성을 근거로 하여 성장소설의 교육적 요소를 추출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논의를 통하여 성장소설에서는 개인 탐구 활동과 함께 소그룹별 토의 활동이 적절히 병행될 때, 그 의미 구성 과정을 더욱 극대화할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특히 성장소설에서는 인물을 통한 교수 · 학습이 효과적인 교육 방안으로 선택될 수 있다. 인물을 통한 교수 · 학습 전략은 등장인물의 성장 과정에 학습자가 동일시를 느껴 쉽게 소설에 몰입되게 하고, 이를 통한 소설 독서의 전이력은 읽기에 대한 흥미, 동기를 높일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긍정적인 읽기 태도 형성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성장소설은 학습자가 중심이 되어서 탐구하기에 적절하므로 제7차 교육과정 구성의 기본 방향, 즉 학습자 중심의 구성주의 교육과정에서도 유용성을 띤다. 또한 작가의 교육적 의도가 짙다는 점에서 문화교육에서의 활용 가능성과 가치를 함의한다. 특히 성장소설의 열린 결말구조는 학습자의 문학적 상상력을 자극하고, 자신의 삶과의 통합을 시도하게 한다. 이러한 과정은 문학의 창작으로 연결되어 문학의 창조적 재구성에도 매우 의미 있게 교육될 수 있다. 즉 성장소설은 자아의 성장과 실현을 다루는 바, 교육과정이 전체적으로 지향하는 인간 중심의 교육관을 구현하는 실체가 된다고 하겠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 1 A. 연구 필요성 및 연구 목적 = 1 B. 연구사 검토 및 연구 방법 = 3 Ⅱ. 문학교육에서의 성장소설 = 9 A. 문학교육과 자아정체성 확립 = 9 B. 성장소설의 교육적 특징과 의의 = 18 Ⅲ. 성장소설의 교수 · 학습 방안 = 26 A. 소설 교육의 교수 · 학습 단계 = 26 B. 성장소설의 교수 · 학습 계획 = 37 Ⅳ. 성장소설의 교수 · 학습 실제 = 50 A.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수록된 성장소설 = 50 B. 7학년「소나기」를 통한 성장소설의 교수 · 학습 = 59 C. 중학교 성장소설 교육의 반성과 새로운 모색 = 82 Ⅴ. 결론 = 87 참고문헌 = 91 ABSTRACT = 9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6238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title중학교 문학교육에서의 성장소설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study of Initiation story in literature education - centered on the seventh grade, 『Sonagi』--
dc.creator.othernameAhn, Jeong Eun-
dc.format.pagevii,97-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국어교육전공-
dc.date.awarded2006.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