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조장은-
dc.creator조장은-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2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47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73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470-
dc.description.abstract시각예술(視覺藝術)에 있어서 공간성(空間性)의 표현은 시각 조형물 혹은 시각 요소 그 자체가 갖는 의미만큼이나 중요하다. 공간의 해석이 어떻게 되느냐에 따라서 그 의미의 차이가 클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공간은 더 이상 아무런 의미없이 비어있는 칸이 아닌 구성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미적(美的) 요소가 되고, 작가가 갖는 의식세계의 표출을 위한 장이 될 수 있다. 또한 공간은 우리가 알고있는 실재(實在)하는 세계의 반영일 수도 있고, 과거의 경험이나 기억의 재생에서 벗어난 상상 속의 허구(虛構)적 공간일 수도 있다. 그러므로 공간이 갖는 의미의 자유로움은 무한하다고 할 수 있다. 점·선·면 등의 시각 요소들은 평면 혹은 입체 안에서 물리적 공간을 점유하고 또한 공간 자체가 갖는 의미와 결합하여 기하학적 조형성(造形性) 그 이상의 의미를 갖는다. 또한 사물들은 공간 안에 존재하며 어떠한 공간 안에 위치하느냐에 따라서 그 사물이 갖는 특성이 전혀 새로운 의미로 바뀔 수 있다. 이러한 방법으로 초현실주의 작가들은 고정관념의 틀을 깨어버림으로써 공간의 의미를 변화시키는데 한 몫을 했다. 우리는 3차원적 대상에 대한 시각 경험을 통하여 입체적인 사고를 할 수 있다. 실제 생활에서 보여지는 것들은 대부분 입체적 요소를 갖고 있기 때문에 우리의 눈은 입체공간 지각에 익숙해져 있다. 따라서 2차원의 평면이라도 여러가지 공간감을 표현하는 요소들-길이·면적·각도·방향 등-에 의하여 3차원의 입체로 착각할 수 있다. 착각을 한다는 것은 외계의 사물을 실제와는 다르게 보는 것으로 지각의 과정에서 일어나며, 이것을 착시(錯視, illusion)라 한다. 시각적으로 보여지는 것과 본질에는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착시현상을 이용한 다양한 공간 활용은 공간성의 표현에 있어 시각적 흥미와 공간감의 깊이를 더해줄 수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착시를 활용한 공간성의 표현의 이론적 배경으로 II장에서는 시각 예술에 있어서 공간의 개념과 인식을 바탕으로 공간 지각에 관한 기본적 내용을 서술하였다. 그리고 시각 표현에 있어서 2·3차원에서의 공간감의 표현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살펴보았다. 또한 공간의 일루젼과 과거 미술 사조에서의 공간성 표현과 함께 공간의 조형성과 해석의 문제를 다루었다. 본인의 작품에서는 하나의 캔버스 안에 여러개의 공간이 분리되면서 표현 또한 다양한 소재와 구성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다양한 표현 양식에의 접근을 통하여 새로운 표현 방법을 찾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다양한 사고를 통한 발상의 전환으로 새로운 공간 표현의 방법을 찾는데 중점을 두었다. 작품 속에 어떤 물체가 놓여질 때 그것은 하나의 소재가 될 뿐, 그 사회에서 정해놓은 일반적 의미에 맞추어 해석을 부여할 필요는 전혀 없다. 사람들은 새로운 것에 흥미를 느끼며, 의외의 것이 오히려 주목의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조형적 형태로서의 역할과 함께 기존의 의미에서 벗어난 새로운 재미를 찾을 수 있는 시각적 요소를 찾는 것이 중요하겠다. 작품 전개에서는 선(線)을 이용한 공간의 분리를 주된 공간 표현의 방법으로 삼았다. 선의 구성은 착시의 효과를 이용한 것으로 다양한 시점에서의 표현이 가능하며 시·공간의 분리에 있어 도구적(道具的)인 역할을 한다. 또한 착시 효과의 활용은 시각적 흥미를 더해줄 뿐만 아니라 공간감의 표현에도 용이하다. 기존의 착시 효과들을 활용하여 시각적 재미와 더불어 선과 면의 리듬감있는 구성에 초점을 맞추었다. 본 논문을 통하여 착시와 공간이라는 두 요소를 결합하여 초현실주의적 발상을 통한 시각 표현을 연구하고자 하였다. 이는 성격이 다른 두 가지 요소를 혼합하여 화면을 구성할 때 주제 표현에 있어서 그 의미 전달의 효과를 높이고자 한 것이다. 보는 이로 하여금 흥미를 느끼고 그림 속에서 재미를 찾을 수 있도록 상상력을 발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하여 실재하는 공간과는 다른 새로운 공간 구성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표현의 세계를 확대시킬 것으로 생각한다. ; Representing space in visual arts has the great significance as visual moldings or visual elements themselves do since the meaning could be changed by interpreting space in art works. Space is no longer an empty area; rather it becomes an important factor to constitute visual arts, providing a field to manifest artists? consciousness. Furthermore, it could be reflection of daily lives, presently observed and fictional area in imagination beyond our past experience and revival of our memory. Thus, space has a great degree of freedom in its meaning. Visual elements such as dots, lines, and faces comprise physical spaces in plane and/or cubic dimensions, but further create new meanings beyond geometric molding being combined with space. In addition, the characteristics of objects in space could have new properties by changing their positions in space. The concept of space has been emphasized in surrealism because surrealists have broken prejudice and provided daily objects with new roles. The cubic way of thinking can be made by visual experience of cubic objects. Human eyes are familiar with spatial perceptual process because most objects seen in daily lives possess cubic aspect. Two-dimension figures can be perceived as three-dimension ones using several spatial elements such as length, dimension, angle, and direction. Illusion, occurring in the process of visual perception, refers to the fact that human beings view objects different from as they are. Illusion often occurs in our daily lives. Applying illusion to various spaces could provide viewers with visual interests and depth of space. This study discussed the fundamentals of spatial perception in visual arts and spatial illusion occurred by visual errors. It also dealt with the issue of spatial representation, molding and interpretation in the history of visual arts. Space is perceived as different feature or meaning when having the relationship with objects. It plays an important role to reveal the variety of representation. This study, in particular, has focused on developing new ways to illustrate space. If an object were given, it would not be necessary to attribute conventional meaning to the object. New things could drive human interests and atypical objects could be paid attention to. It is important to find out visual elements, which create new interests beyond the conventional meaning, containing the role of molding figures. Dividing space with lines was adopted as a major way to represent space in the present work. Lines allowed a variety of representations from various points of view, leading to an instrumental role to divide time and space, resulting in the effect of illusion. The use of illusion enhanced visual interests and made an easy access to spatial representation, as well as to surrealistic illustration. Real visual elements such as time, space, and energy exist in physical world. The present work tried to express quadratic dimension within plane, and provided rhythm and interests through the division of space and the stories of the work, respectively. It was intended to demonstrate a new visual expression by combining space and illusion with respect to surrealism. This study showed that the combination of two different elements could create new meaning and it could lead to viewers? imagination. This study expanded the range of illustration through constituting new space, which is different from real world.-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i I. 서론 A. 연구의 목적 =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II. 공간 표현의 이론적 배경 A. 공간 지각과 인식 = 4 1. 공간의 개념 = 4 2. 공간지각 = 6 3. 공간성의 인식 = 7 가. 형태인식 = 8 나. 공간인식 = 10 B. 공간과 환영 = 11 1. 시각 표현에서의 공간 = 11 가. 평면적 공간 = 11 나. 환영적 공간 = 12 다. 실제 공간 = 12 2. 환영적 공간 기법 = 13 가. 착시 = 14 나. 원근법 = 18 다. 왜곡 = 19 3. 미술 사조에서의 공간성 표현 연구 = 20 가. 초현실주의 = 20 나. 입체파 = 22 다. 옵아트 = 23 C. 공간 표현의 중요성 = 24 1. 공간과 조형성 = 25 2. 공간의 해석 = 25 III. 작품 제작 및 분석 A. 제작의도 = 35 B. 제작과정 = 36 C. 작품분석 = 39 IV. 결론 = 53 참고문헌 = 55 Abstract =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45693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착시를 활용한 그래픽 디자인에서의 공간표현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시각정보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