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주연-
dc.creator김주연-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2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2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468-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728-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468-
dc.description.abstract새로운 세기가 시작되면서 예술과 사회 전반에 걸쳐 많은 변화가 일어났다. 사회 과학 분야의 급속한 발전과 함께 보다 윤택한 생활을 영위하게 되었지만, 이와 함께 발생한 여러 가지 문제도 생각해 보아야만 한다. 인간 관계, 자연 환경, 사회조직의 파괴 등 현대가 발전해 가면서 일으키는 많은 부작용들을 간과해서는 안 된다. 이러한 문제들은 현재 뿐 아니라 19세기에서 20세기로 넘어갈 때에도 똑같은 양상으로 나타났다. 그러한 문제들을 예술분야에서 개혁하고자 나타난 것이 아르누보(art nouveau)양식이다. 산업화, 기계화에 혐오감을 표시하며 인간을 자연과 결합함으로써 진정한 아름다움을 추구할 수 있다는 자연주의적 영향을 띠고 있는 것이 아르누보 양식인 것이다. 현대의 각박한 삶에서 인간의 정서를 조금이라도 더 순화시키기 위해서 택한 양식이 아르누보 양식이라면 표현대상은 자연, 그 중에서도 식물에서 찾았다. 자연은 전 세기를 통해서 예술에서 없어서는 안 되는 소재였다. 모든 예술가들이 사람들에게 감동을 주기 위해 자연이란 소재를 선택했고 이러한 자연은 예술가들의 기대에 결코 실망감을 주지 않았으며 예술을 수용하는 자들 또한 자연에서 감흥과 안정감을 찾았다. 이러한 자연을 아르누보라는 양식에 따라 식물의 아름다움과 조형성을 관찰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식물을 표현대상으로 선정하여 아르누보 양식에 나타나는 가장 화려하고 유동적이며 섬세한 선과 색을 이용하여 형태와 표면문양에서 식물의 이미지를 도자 조형화 하는데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아르누보 양식의 일반적 고찰과 기존의 아르누보양식의 작품 중 식물을 표현한 작품과 현대의 식물의 이미지를 조형화한 선행 작품을 도판으로 제시하고 연구하였다. 작품의 조형 과정에서는 아르누보의 특성을 근거로 식물의 형태를 이용한 것과 각 구조의 부분들이 지니고 있는 특성을 이용하는 것이 있고 아르누보의 독특한 형태와 표면 장식, 화려한 색으로 표현하였다. 제작 방법으로는 주로 아르누보의 가장 큰 특징인 유기적인 선들을 강조하기 위해서 세밀한 표현이 잘 나타날 수 있고 반복제작이 가능한 이장주입성형을 하였고, 나머지 작품은 형태에서 아르누보의 특징을 살리기 쉬운 코일링과 판 작업을 하였다. 태토는 큰 형태인 경우는 제작이 용이한 석기질 점토를 이용하였고 주입성형 기법을 사용한 경우엔 자기질 점토를 이용하였다. 유약은 섬세한 선을 표현하기 위해 무유로 제작하거나 아르누보의 화려한 색 변화를 위해 파스텔 톤의 유약을 분무시유하였다. 소성은 0.5㎥ 가스 가마와 1.5㎥ 가스 가마에서 마침온도 900℃로 8시간 동안 1차 소성하고, 2차 소성 역시 0.5㎥ 가스 가마와 1.5㎥ 가스 가마에서 마침온도 1250℃ 9시간동안 환원염(작품1, 2, 3, 5)과 산화염(작품4, 6, 7, 8, 9, 10)으로 나눠 소성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식물은 조형성에서 식물 그 자체만으로도 보는 이에게 즐거움과 감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조형적으로 더 아름다운 형태를 만든다는 것이 결코 쉽지 않음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식물의 조형적 특성을 작가가 주관적인 감성과 아르누보라는 유미적인 양식을 이용하여 도자 예술을 표현할 때 예술의 수용하는 관객에게 보다 더 진한 감동을 줄 수 있고 대중을 도자 예술이라는 장르에 쉽게 다가오게 할 수 있다고 본다. ; As a new millennium has begun, many changes have occurred through out the world at large. A form of the art was not an exception. Although these revolutionary changes brought prosperity to our lives with rapid growth in technology, they also created controversial issues in our society. As a matter of fact, we should never connive at the side effect of the radical changes such as ethical collapse, environmental pollution, and social corruption. However, these problems were considered as a phenomenon that appeared at the end of every century. In the field of formative art, Art Nouveau style was introduced against a surge of industrialization and mechanization at the end of 19th century. Under influence of naturalism, Art Nouveau style pursues the genuine beauty by combining mankind with nature. Since Art Nouveau styles intention was to make peoples emotion a bit tender, its subject was reasonably focused on one of the great nature, the plant that has been a subject matter of art for many centuries. Many artists choose nature as a subject of their work with expectation that it would deliver a sensation among the people, and nature has never disappointed them. Also, people were inspired and relief from this form of the art. Therefore, I would like to observe the nature focused on the beauty and unique shape of the plant according to the Art Nouveau styl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to transform an image of a plant to shapes and patterns that are formed with splendid, dynamic and also delicate lines and colors, which a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Art Nouveau style. Throughout my study, I presented and analyzed the basic concept of the Art Nouveau style with its historical and contemporary formative art works on the plants. During the designing process, I tried to put various characteristics of the Art Nouveau style into my works. Some of them were molded based on entire plants form, or specific part of the plant. In other pieces, I tried to express the Art Nouveau style using patterns, surface decoration and magnificent color. The main method that was used during the production of the art pieces was slip casting since this method has strength on detailed expression. I could emphasize the organic lines, which is one of the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the Art Nouveau, on my works. Coiling and slab construction method were also used to express Art Nouveaus structural distinctiveness in other pieces. To make it easier to mold larger ceramic models, stoneware clay was used, and silky porcelain was used for models that would produced by slip casting method. Without glaze, it was possible to express the fine lines of some of my work. But, to achieve Art Nouveaus gorgeous color change, pastel tone glaze were sprayed on surface of other pieces. All my works were fired in a 0.5㎥ gas kiln and a 1.5㎥ gas kiln at 900℃ for 8 hours, then they were fired again in a 0.5㎥ gas kiln and a 1.5㎥ gas kiln at 1250℃ for 9 hours. During the second firing process, some of them were fired in oxidized atmosphere, and the others were fired in reduction atmosphere. Through this research, by just looking at the plant itself gives pleasure and excitement to people, so I found that expressing the plant into a form of the art is not easy at all. However, when artist uses subjective sensitivity and aesthetic style to express ceramic art, Art Nouveau, the audience who appreciate art may be more impressed and will be able to become more familiar to the genre called ceramic ar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X I. 서론 = 1 A. 연구의 동기 및 목적 =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 2 II. 아르누보 양식에 대한 일반적 고찰 = 4 A. 아르누보 양식의 개념 및 형성 배경 = 4 B. 아르누보 양식의 조형적 특성 = 7 III. 식물의 이미지와 조형 = 11 A. 식물의 조형적 특성 = 11 B. 식물의 이미지를 표현한 아르누보 작품 사례 = 13 C. 식물의 이미지를 표현한 현대 작품 사례 = 18 IV. 작품 제작 및 해석 = 32 A. 조형 과정 = 32 B. 작품 제작 과정 = 45 C. 작품 해석 = 51 V. 결론 = 71 참고문헌 = 73 ABSTRACT = 74-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585143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아르누보 양식을 통한 식물의 도자조형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공예학부도자예술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