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52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배만실-
dc.contributor.author진숙미-
dc.creator진숙미-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1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1Z-
dc.date.issued1984-
dc.identifier.otherOAK-000000013780-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7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1378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조선시대 민예품인 보자기에 대하여 조사 분석하여 보자기의 전통적인 미와 그 특성을 찾고자 전반적인 고찰을 시도 하였다. 또한 보자기를 수보, 조각보, 염색보, 금박보, 식지보 등의 유형별로 구분하여 그에 나타난 재료, 기법, 문양, 색채 등에 대하여서도 알아 보았다. 본 연구의 자료는 허 동화씨의 소장품 중에서 「한국전통보자기」에 수록된 150점의 자료와 국립민속박물관, 온양민속박물관, 각대학박물관, 개인소장가를 방문하여 사진촬영 및 실측을 하고 관계 문헌과 선행연구를 참고로 하여 이론을 뒷받침 하였다. 이상의 자료와 이론의 고찰을 통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보자기는 계급의 상하, 남녀의 구별없이 일상 생활에 두루쓰인 우리나라의 고유한 생활 용품이다. ② 규방의 여인들이 침선의 즐거움의 하나로 일정한 규격이나 격식에 구애됨이 없이 자유롭게 제작 하였다. ③ 다른 공예품이나 민예품에서 볼 수 없는 독특한 문양이 많으며 다양한 색채의 표현은 우리선조들의 염색 기술의 발달상을 엿볼 수 있다. ④ 일상 생활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천과 종이를 사용하여 다양한 표현 기법으로 표현을 장식한 것으로 「용」과「미」를 동시에 추구하였다. ⑤ 개폐시 용적의 신축이 용이하고 보관이 간편하므로 주거공간이 협소한 우리나라에 매우 적합한 용구이다. 이상과 같이 조선조 보자기는 그 뛰어난 기능성과 미적인 조형성을 지니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많은 용기의 발달과 생활의 변천으로 인하여 우리 가정에서 보자기의 사용이 사라져 가고 있는 이때에 본 연구는 이를 통하여 보자기의 조형성을 새로이 인식하고 그 문양이나 색상, 구성기법이 현대의 조형 예술에 영감을 제공하는 계기를 마련하는데 필요하다고 생각된다.;This study represent an overall attempt to give light upon the traditional beauty and features of Korean Wrapping Cloth, one of the items of the folk art provailed in the era of Yi Dynasity. It also cover classification of wrapping cloth into typical kinds such as embroidery cloth, pieces cloth, dyed cloth, gold-foiled cloth and shikji cloth for the materials used, techniques applied, designs and clours of each type. Dates for this study were furnished with 150 items recorded in the pictorial, "Korean Traditional Wrapping Cloth" which constitute a part of Mr. Huh Dong Hwa's collection, and with photographed and actually measured items held by the National Folklore Museum, Onyang Folklore Museum, and Museum of Universities, or sources of private collection, supplemented by close study of relevant literatures, records of previous survey. Observation of those dates and theoretical study have resulted following findings. 1) Wrapping Cloth is one unique item of neccessities of the daily life of our people, regardless different status of people, mean or noble, male or female. 2) Women living in an old time boudoir used to manufacture them only for the purpose of enjoying needlworks with free size and from. 3) Multiple unique designs and diverse colors make itself distionctive among many folklore arts or applied arts and the expression of diverse colours can tell how our ancestors were good at dyeing. 4) Any cloth or paper available for people to get easily in a corner of their daily life space could be turned into a material of art through decoration made on surface of it with technique of varied expressions. It pursued "Usefulness and "Beauty" at the same. 5) It is easy to keep and allows minimized space and volume when folded and so it is a suitable implement for Korean people who are usually provided with narrow space of living. As we can see in the above described study, changes of mode of living and development of other sorts of implements of Korean people have made obscure the wrapping cloth produced in the era of Yi Dynasity despite its functional merits and asthetic features. It is wished that this study shall provoke renewed recognition of the form of our traditional wrapping cloth for its designs, colcous and the formative technique applied which must inspire modern artists into preserving the traditional art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목차 = ⅲ 논문개요 = ⅸ Ⅰ. 서론 = 1 A. 연구목적 = 1 B. 연구의 범위 및 방법 = 2 Ⅱ. 보에 관한 일반적 고찰 = 3 A. 보(褓)의 사적 고찰 = 3 B. 보의 조형적 고찰 = 6 Ⅲ. 보의 유형별 분류 = 20 A. 수보(繡褓) = 20 B. 조각보 = 27 C. 염색보(染色褓) = 35 D. 금박보(金箔褓) = 40 E. 식지보(食紙褓) = 43 Ⅵ. 결론 = 62 참고문헌 = 64 ABSTRACT = 6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25453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조선조-
dc.subject-
dc.subjectWRAPPING CLOTH-
dc.subjectYI DYNASITY-
dc.subject.ddc700-
dc.title조선조 褓에 관한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WRAPPING CLOTH OF YI DYNASITY-
dc.format.page7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1984.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