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0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uthor김인기-
dc.creator김인기-
dc.date.accessioned2016-08-26T03:08:40Z-
dc.date.available2016-08-26T03:08:40Z-
dc.date.issued2002-
dc.identifier.otherOAK-000000004463-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19571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jsp/common/DcLoOrgPer.jsp?sItemId=000000004463-
dc.description.abstractA geometrical figure may be said to be the simplest and most refined form shaped out of the intellectual way of thinking of man, having the advantage of quick transmission of visual sensation with such factors as can cope with the needs of the times such as definiteness, objectivity, etc. Inasmuch as the logical and rational nature that the geometrical figure includes in itself gives a strong impression, it is widely used for works of art in diverse fields, including painting, sculpture, architecture, technical arts, etc., being expressed in varied forms in fiber art and works of comtemporary embroidery. Among these geometrical figures, the regular hexahedron is the most fundamental cubic figure, has the definite determination of a static form with six regular squares with the same area and is represented as an isolated form by creating a closed world totally severed from its peripheries. The simplicity that a geometrical figure has in itself makes it feasible to eliminate what is unnecessary and insignificant and instead have the freedom of original express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inquire into the visual cubic expression effects of geometrical figures by depicting them with embroidery through the repeated factors of the formative principle centering around regular hexahedrons among geometrical figures. Theoretical backgrounds included, first, the grasp of the concept of the geometrical figure and a review of expressions of diverse geometrical figures in compliance with the principles of formativeness. Second, a scrutinization was conducted of th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the regular hexahedron among geometrical figures and an analysis was carried out of regular hexahedrons expressed in contemporary art and fiber art. Third, a comparison and an analysis was executed of expressive techniques and forms by dividing geometrical figures expressed in fiber art into works of fiber art and those of embroidery. Expression of works was based on simplifying and symbolizing into geometrical forms the tendency gradually unified in the way of thinking of moderns due to the co-ownership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 creation of works emphasized in expression linear factors centering around regular hexahedron forms and constructed them with repetition based on regular hexahedrons. Materials of works used texture of mesh and chiffon with transparency for repetitive expression through overlaps, induced a sense of space and depth on the picture by partly using opaque polyester and gave changes in the thickness, density and direction of thread by using silk thread. Besides, steel structures, acryl and so forth with easy transformation for cubic assembly of works. Embroidering techniques depended upon lines and sides in expressing geometrical figures by using outline stitch, satin stitch and applied embroidery techniques and excluded chromatic colors and instead used achromatic colors to emphasize figure forms. Results were obtained out of having created and analysed works of embroidery along with an inquiry into geometrical figures, as follows: First, the orderly simplicity that a regular hexahedron has in itself was appropriate for symbolically expressing themes by containing their implications in it. Second, the characteristics of thread with a strong linear factor were proper to the expression of geometrical figures by embroidery techniques. Furthermore, changes in the direction and density of lines seemed to be effective in expressing the cubic sense of figures on a plane. Third, the overlap of regular hexahedrons embroidered on transparent mesh generated a sense of moire´ and an optical illusion effect, which led to create a new space and made it possible to cubically express regular hexahedrons. Fourth, the active installation method using steel frames, acryl, etc. away from plain or atonal forms suggested the possibility of diversified methods of installation in the space of embroidery. It is hope that more follow-up depth studies and creative attempts would be conducted of geometrical figures based on such results as these. ; 기하학적 도형의 형태는 인간의 이지적인 사고체계에 의해 형성된 가장 단순하고 정제된 형태이며, 시대적 요구에 부합하는 명확성과 객관성 등의 요소를 가지고 있어 시각전달이 빠른 장점을 가진다. 기하학적 도형의 형태가 지니는 논리적이고 합리적인 성격은 강한 인상을 주기 때문에 회화, 조각, 건축, 공예에 이르는 여러 분야에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으며, 섬유예술 및 현대자수 작품에서도 다양한 형태로 표현되고 있다. 이러한 기하학적 도형 중에서 정육면체는 가장 기본이 되는 입체도형으로, 면적이 동일한 여섯 개의 정사각형으로 구성되어 정적인 형태의 완결성을 가지며, 주위와 차단된 폐쇄된 세계를 이루어 고립된 형태로 나타난다. 정육면체가 가지는 단순성은 불필요하고 무의미한 것을 제거하여 근원적인 표현의 자유를 갖게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하학적 도형 중 정육면체를 중심으로 하여 조형원리의 반복적인 요소를 통해 이를 자수작품으로 표현함으로써 기하학적 도형의 입체적 시각표현 효과를 연구하는 데 있다. 이론적 배경으로는 첫째, 기하학적 도형의 일반적인 개념을 파악하고 조형원리에 따른 기하학적 도형의 다양한 표현방법을 알아보았다. 둘째, 기하학적 도형 중 정육면체의 개념과 특성에 대하여 알아보고, 현대미술과 섬유예술에 표현된 정육면체를 분석하였다. 셋째, 섬유예술 속에 표현된 기하학적 도형들을 섬유작품과 자수작품으로 나누어 기법과 형태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다. 작품표현은 현대인들의 다양한 특성 중에서 지식과 정보의 공유로 점차 획일화되어 가는 현대인들의 사고방식을 기하학적 도형의 형태로 단순화하여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작품제작은 정육면체의 형태를 중심으로 선적인 요소를 강조하여 표현하였고, 크기의 변화를 주어 반복적으로 구성하였다. 작품의 재료로는 중첩을 통한 반복적 표현을 위해 투명성을 지닌 메쉬(Mesh)와 쉬폰(Chiffon)을 바탕천으로 사용하였고, 부분적으로 불투명한 폴리에스테르(Polyester)를 사용하여 화면에 공간감과 깊이감을 유도하였다. 실은 주로 견사를 사용하여 실의 꼬임과 굵기, 밀도와 방향에 변화를 주었다. 이밖에도 작품의 입체적 조립을 위하여 형태의 변형이 용이한 철제 구조물과 아크릴 등을 사용하였다. 자수 기법으로는 이음수와 평수, 응용 자수기법을 이용하여 기하학적 도형의 형태를 선과 면으로 표현하였고, 도형의 형태를 강조하기 위해 가능한 유채색을 배제하고 주로 무채색을 사용하였다. 기하학적 도형에 대해서 연구하고 이것을 이용한 자수작품을 제작하고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정육면체가 가지는 질서 있는 단순성은 그 간결함 속에 함축적 의미를 담아 주제를 상징적으로 표현하기에 적합하였다. 둘째, 선적인 요소가 강한 실의 특성은 기하학적 도형의 형태를 자수기법으로 표현하기에 적절하였고, 선의 방향과 밀도의 변화를 줌으로써 평면에서 도형의 입체감을 표현하는 데 효과적이었다. 셋째, 투명한 메쉬 위에 수 놓여진 정육면체들이 중첩됨으로써 화면에 모아레(Moire´)현상이 생기고 착시효과가 일어나 새로운 공간이 형성되어 입체적인 시각표현이 가능하였다. 또한 투명한 바탕천과 불투명한 바탕천의 대비효과는 화면에 공간감과 깊이감을 가져오게 하였다. 넷째, 평면이나 부조의 형태에서 벗어나 철제 프레임과 아크릴 등을 이용한 적극적인 설치방법은 자수에 있어서 공간에서의 다양한 설치방법의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바탕으로 기하학적 도형에 대한 보다 깊이 있는 연구와 다양하고 창의적인 시도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논문개요 = vii I. 서론 = 1 A. 연구 목적 = 1 B. 연구 내용 및 방법 = 1 II. 이론적 배경 = 3 A. 기하학적 도형의 일반적 고찰 = 3 1. 기하학적 도형의 개념 = 3 2. 기하학적 도형의 조형원리 = 9 3. 정육면체의 개념 및 특성 = 15 B. 작품을 통한 기하학적 도형 분석 = 21 1. 정육면체를 이용한 작품 분석 = 21 2. 섬유예술 작품에 표현된 기하학적 도형 = 29 3. 자수 작품에 표현된 기하학적 도형 = 34 III. 작품제작 및 분석 = 47 A. 작품제작 = 47 B. 작품분석 = 50 IV. 결론 = 62 참고문헌 = 64 ABSTRACT =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6794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title자수에 의한 기하학적 도형 연구 : 정육면체를 중심으로-
dc.typeMaster's Thesis-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공예학부섬유예술전공-
dc.date.awarded2002.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