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1 Download: 0

노인의 정보인식이 정보접근과 정보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itle
노인의 정보인식이 정보접근과 정보 활용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Research on the effect of old man's information awareness that affects information access and information practical usage
Authors
정소희
Issue Date
2006
Department/Major
사회복지대학원 사회복지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혜
Abstract
고령사회로 전이되어 가는 현대사회에 있어서 또 다른 특징은 소위 인터넷으로 대변되는 정보화 사회로의 전환이다. 정보화 사회란 ‘노동과 자본, 에너지를 투입하여 생산 활동을 하는 것보다는 지식과 정보의 활용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이 중시되는’ 지식기반경제사회이며, ‘사회가 지식기반 경제로 변화함에 따라 인류 사회는 산업사회의 많은 문제와 폐해를 일신하며, 인류복지를 더욱 향상시킬 것으로 기대’되는 새로운 사회적 관계의 사회이다. 노인 자신들도 새로운 사회의 변화에 적응해 나가야 한다. 정보화 사회에서 노년층이 정보화 사회에서 낙오가 되고 소외받는 계층이 되지 않기 위해서는 정보의 자기화가 필요하다. 오늘날 정보화 사회는 다양한 정보획득의 수단인 컴퓨터라고 하는 장비와 함께 살아가고 있다. 그러나 노인들은 정보화 사회에서 무방비로 노출되어 있어서 정보화 사회로부터 소외감과 새로운 문화를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받지 못하고 있다. 신체적 능력이나 사회적 활용가치가 떨어지는 노인에게 있어서는 해결 불가능한 높은 벽을 만난 것이다. 그러나 정보화는 그 특성상 현재 노인들이 직면하고 있는 신체적, 인지적 제약을 완화시키거나 벗어나게 해주어 삶을 보다 편리하게 해 주며 세대간의 교류 및 생산활동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함으로써 경제적인 조건뿐만 아니라 노인의 역할상실에서 오는 소외감이나 무기력감을 해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를 통해서 노인들에게 나타날 가능성이 있는 정보격차 현상을 알아보고자 우리사회에서 대표적 뉴 미디어로 자리 잡은 컴퓨터를 통하여 노인들의 정보인식수준을 알아보고, 정보격차의 구성요소는 정보 접근성과, 정보 활용성으로 구분하여 각각의 정보에 의한 격차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요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활용 격차에는 성별, 수입, 지역이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으며 한글 소프트웨어 활용 대하여 연령과 교육수준이 유의미하게 나타났으며, 엑셀 소프트웨어 활용은 과거 직업, 인터넷 활용은, 연령, 교육수준, 과거 직업, 시스템 관리는 과거 직업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정보인식이 정보 접근과 정보 활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로 정보접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징에서는 교육수준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정보인식의 차이에 따라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성별, 연령, 한 달 수입, 사무직, 자영업, 지역 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정보인식과 정보 활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인구사회학적 특징에서는 연령, 교육수준, 과거 직업중 사무직이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고 정보인식의 차이에 따라서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월수입, 과거 직업중 자영업, 지역 등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가 사회복지의 실천에 주는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정보화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기 위해 소수에게 편중되기보다는 다수에게 골고루 혜택이 갈 수 있도록 정부의 정책적 지원이 필요하다. 둘째, 현재의 노인의 정보인식의 차이 해소를 위한 사업지원은 노인만을 대상으로 실시하고 있으나 현재의 노인들에게만 기회를 제공하기 보다는 장래의 노인이 되는 장년층을 위한 다양한 서비스 지원도 개발하여 시행한다면 향후 노인의 정보화를 한층 끌어올리는 효과가 나타날 것이다. 마지막으로 노인들의 정보화 인지도를 높여 나가야 할 것이다. 정보취약계층의 정보역량강화에 대한 정부의 관심은 증가하고 있는 반면 현재 70세 이상의 대다수 노인들은 정보화에 대해서 매우 낮은 인지도를 가지고 있다. 또한 현재의 생활에서 정보화나 정보통신기기의 활용성 효과성 등은 매우 미미하다. 이러한 결과를 보면서 현재의 획일적이고 일방적인 정보격차 해소 정책을 지양하고, 노인에게 정보 접근에 대한 수요조사를 폭넓게 실시하여 필요를 느끼는 노인들에게는 정보 활성화 사업을 심화하여 실시하되, 정보화 교육에 대해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대다수의 노인들에게도 자원봉사활동 또는 가족 내의 자녀 및 손자녀 등을 통하여 정보접근의 중요성을 인식시키며, 정보활성화 사업에 직접적인 참여를 유도하기보다는 가정 및 사회적인 관계들로부터의 고립을 예방할 수 있도록 교통비, 노인수당 등 다른 지원방법을 선택하여 소외된 노인들에게 혜택을 주는 방법을 고려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A characteristic in modern society that is in transit to Aging Society is conversion to the information-oriented society that is spoken for the internet so-called.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s knowledge-based economy that the creation of an added value using information and knowledge is more important than the production with the labor, capital, and energy, and is society of new social relation in which we expect that the transit to knowledge-based economy renews many problems in the industrial society and improves the man's welfares. Old men must adapt themselves to the social change that is new. Also they need to learn information and make it their own in order not to get into the estranged class i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In this paper, we study the old men's information awareness level through computer that catch seat by the representative of New Media on our society in order to search information gap phenomenon that is possible to appear to old men. 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information gap consists of information accessibility and information usage. Consequently, we have to expend the current program to solve the lack of old men's information awareness to the elderly who become future old men. Then we can upgrade the old men's information hereafter. Futhermore, if we make old men recognize the importance of information access, widen comprehension about old men's information, and drive old men to direct participation in information activation, then we may prevent old men's isolation from social rela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사회복지대학원 > 사회복지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